$\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PRECEDE-PROCEED 모형 적용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중재 효과
The Effects of a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ECEDE-PROCEED Model in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원문보기

지역사회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v.21 no.4, 2010년, pp.419 - 428  

김정남 (계명대학교 간호대학) ,  이은영 (대구태전초등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measure the effects of a school safety education program based on the PRECEDE-PROCEED model for upper grade elementary students. Methods: One hundred ten 6th-grade students sampled from an elementary school in D City were divided into the education group (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PRECEDE-PROCEED 모형 적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의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으며 저학년보다 상대적으로 활동량이 많아 안전사고 위험에 많이 노출되어 있는 초등학교 6학년을 대상으로 3~4월에 안전교육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경우 3, 4, 5월보다는 상대적으로 6월에 안전사고가 많이 관찰되는 것으로 보아(Chun, 1997) 예방적 차원의 안전교육을 3, 4 월에 실시하여 앞으로 일어날 수 있는 안전사고를 미리 예방하고 새학기 특성상 아동들이 새로운 마음가짐으로 무엇인가를 변화시키려는 강한 동기를 가지고 있으므로 학교 안전교육이 아동들이 지식 및 습관 형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을것으로 사료되어3, 4월에안전교육을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초등학교 고학년의 학교 안전교육 중재 효과를 분석하는 것이며 본 연구의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PRECEDE-PROCEED 모형 적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중재 효과를 연구한 것으로 학교 안전교육 실시 전 ․ 후의 교육군, 비교육군의 학교 안전지식, 실천행위, 안전사고 발생빈도의 변화에 대해 살펴보았으며 본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 이에 본 연구자는 안전교육의 계획에서부터 실시, 평가까지 대상자를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다양한 측면의 사정(assessment)을 통해 안전교육 행위와 관련한 복합성을 분류하고 조직할 수 있는 체계적 접근 방법을 제시하는 Green, Kreuter, Deeds와 Patridge (1980)가 개발한 PRECEDE-PROCEED 모형을 활용한 학교 안전 교육을 실시 후 그 전 · 후의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PRECEDE- PROCEED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가정, 지역사회 안전사고 빈도가 비교육군에 비해 낮아질 것이다.
  •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안전실천행위는 비교육군보다높을것이다.
  •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안전지식 수준은 비교육 군보다높을것이다.
  • 가설 4.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가정, 지역사회 안전사고 빈도가 비교육군에 비해 낮아질 것이다.
  • 가설 2.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안전실천행위는 비교육군 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1.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안전지식 수준은 비교육군 보다 높을 것이다.
  • 가설 3. PRECEDE-PROCEED 모형 활용을 통한 학교 안전교육 프로그램 실시 후 교육군의 학교 안전사고 빈도가 비교육군에 비해 낮아질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필자가 좀 더 장기적인 안전교육 프로그램 적용을 통해 대상자의 안전지식 뿐 아니라 실천행위까지 변화시켜 안전생활을 내면화 할 수 있는 프로그램 개발과 운영이 필요하다고 한 이유는 무엇인가? 6건의 감소를 보여 두집단에서 모두 통계적으로유의미하여가설4는 기각되었다. 이는 최근 매스컴에서 연일 방송되고 있는 아동 성폭행 사건을 계기로 외부강사초빙의 학부모, 학생교육 및 하계 방학을 앞두고 학교에서 실시한 물놀이, 놀이기구, 유괴, 납치 등에 대한 계기 교육이 교육군뿐 아니라 비교육군에서의 안전사고 발생 빈도를 낮추는 계기가 되었다고 볼 수 있다. 그 예로 본교 학기 초 자전거 등교학생이 50여명이었고 그중 안전 장비를 갖춘 학생이 극소수에 불과 했으나 학교에서 자전거 안전장비 착용 및 자전거 등교에 대한 안전교육을학교 차원에서 실시한 결과자전거 등, 하교생이 10명 내외로 줄었고 또한 안전장비 착용으로 등, 하교시 안전사고 발생 비율이 현저하게 준것이 가정, 지역사회 안전사고 발생 빈도를 줄이는 한 요인이 되었다고 보여지며 특히, 자전거 등교가 주로 고학년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본 연구의 표본이 크지 않은 점도 비교육군의 안전사고 발생 빈도에 영향을 미쳤다고 보여 진다.
초등학교 아동들 무엇 때문에 조그만 활동 중에도 사고로 연결되는 수가 많아지는가? 4%가 개인의 부주의에 의해 발생한다는 (Newsis, 2010) 자료와 상반되는 인식을 가지고 있으므로 학교 안전교육을 통해 안전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심어주는 것이 중요하다고볼 수있다. 학교는 학생들이 대부분의 시간을 보내며 많은 수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이 가능하고 안전교육을 실시 할 수 있는 교육 시설과 인력을 확보하고 있음과 동시에 안전교육의 효과 역시 학교에서 실시할 때 극대화 되며(Jun, 1998), 특히, 초등학교 아동들은 그들이 처한 주변 환경에 대한 상황 판단이 정확하지 못하고 주의력과 사고에 대한 안전의식이 부족하기 때문에 조그만 활동 중에도 사고로 연결되는 수가 많으므로(Kim, 2007), 학교를 통한 초등학생 안전교육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일부교과의관련 단원에 산재되어 있던 안전교육은 보건교과의 신설과 함께 2009년 3월1일부터 초, 중등학교 보건 교과의 한 영역으로 지도하게되어(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Official
우리나라의 14세 미만 아동 사망 사고율은? 우리나라의 14세 미만 아동 사망 사고율은 2007년 인구 10만 명당 8.7명으로 OECD국가 중 3위를 기록하고 있으며, OECD 어린이 사고사망 평균 10만 명당 5.6명에 비해 여전히높고특히, 가장낮은사망률을기록한스웨덴의2.7명에 비하면 3.2배나 높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2007년 사고에 의해 사망한 어린이는 총561명으로 어린이총사망자의 3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Back, K. W., & Lee, M. S. (2001). A diagnostic study of safet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based on PRECEDE model. Health Education and Promotion, 18 (1), 35-47. 

  2. Choi, J. H. (2009). The survey of child accident. Seoull: Korean Consumer Agency. 

  3. Chun, C. O. (1997). The study of school negliance in eli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Chungwon. 

  4. Green, L. W., Kreuter, M. W., Deeds, S. G., & Patridge, K. B. (1980). Health education planning: A diagnostic approach. California: Mountain View. 

  5. Guyer, B., Gallagher, S. S., Chang, B. H., Azzara, C. V., Cupple, L. A., & Colton, T. (1989). Prevention of child injuries: Evaluation of the statewide childhood injury prevention program (SCIPP).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9 (11), 1521-1527. 

  6. Hays, D. M., & Fors, S. W. (1990). Self-esteem and health instruction: Challenge for curriculumn development. Journal of School Health, 60 (5), 208-211. 

  7. Huh, S. K., Jang, S. K., & Noh, B. S. (2002). The practice of industrial safety. Seoul: Hakmoon Company. 

  8. Jun, S. T. (1998). A study on the safety education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nam University, Kyungnam. 

  9. Jung, M. A. (2004).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Taegu. 

  10. Kim, J. U., Park, B. S., Kim, K. C., Suh, J. Y., Yi, S. H., Park, C. W., et al. (2010). Physical education. Seoul: Kyohak Publishing. 

  11. Kim, S. H. (2007). A prediction model of health promotion behavior for school children. Unpublished doctorial dissertation,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12. Korea Consumer Agency(2009). The survey of safety negligent to educational institution. Retrieved May 8, 2009, from http://www.kca.go.kr 

  13. Kwang, H. S. (1993). A study on the pedestrian safety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Health Education, 10 (1), 61-71. 

  14. Kwon, S. H. (2005). Development and effect of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higher grade students of elementary school. Unpublished master's thesis, Yonsei University, Seoul. 

  15. Lee, E. Y. (2001). The effect of safety education on safety knowledge and behavior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 Unpublished master's thesis,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16. Lee, K. Y. (2005). The effect of theoretical and practical reinforced instruction of traffic safety on elementary student's traffic safety rule behavior. Unpublished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17. Loesher, L. J., Taylor, A., Christensen, D. H., & Mckinney, M. (1995). Educating preschoolers about sun safety.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5 (7), 939-943. 

  18.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Technology Official Announcement (2008, September, 12). Repaired curriculum in the health education. Retrieved September 12, 2008, from http://www.mest.go.kr 

  19. Newsis (2010, September 26). The frequency of school negligency & pay a bounty during past 3 years. Retrieved September 26, 2010, from http://www.newsis.com/ar_ detail/view.html?ar_idNISX20100926_0006259509&cID 10201&pID10200 

  20. Renaud, L., & Suissa, S. (1989). Evaluation of the efficacy of simulation games in traffic safety education of kindergarten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79 (3), 307-309. 

  21. Sim, M. Y., No, H. Y., Cho, S. S., Cho, Y. J., Choi, M. S., Shin, H. J., et al. (2009). Health. Daegu: Sukyung Publishing. 

  22. Son, J. H. (2006). The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participatory road traffic safety education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 in Korea. Unpublishe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23. Statistics Korea. (2008). 2007 Social survey in education, safety, environment. Retrieved October 21, 2008, from http:// kostat.go.kr/wnsearchNew/search.jsp 

  24. Yoon, S. Y., Lee, K. S., Lee, H. J., Shin, Y. M., Kim, C. M., & Choi, J. M. (2000). Health promotion. Seoul: Soomoon Publishing.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