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비만 아동을 위한 영양 - 운동 병행 체중조절 프로그램 운영에 관한 연구
Implementation & Evaluation of Nutrition-Exercise Program on Weight Control for Obese Children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6, 2010년, pp.727 - 739  

이정민 (국립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윤지영 (숙명여자대학교 Le Cordon Bleu 외식경영) ,  이주희 (국립경상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valuation of nutrition and exercise education program on weight control for obese childre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8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 living in Geyongnam area. The weight control program consisted of exercises for children and n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거창지역 일부 과체중 및 비만 초등학생과 중학생 그리고 그들의학부모를 대상으로 3개월간 운동처방과 함께 식이상담 및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영양지식을 향상시키고 비만을 개선하고자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시행 1년 후 참여 학생의 신체계측과 영양지식을 측정하고 지식활용 정도를 조사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지속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거창군에 거주하는 BMI 23 이상의 과체중 이상의 초·중학교 비만 학생 중에 체중조절을 희망하는 33명중 프로그램에 끝까지 참여한 28명을 대상으로 11주간 영양교육과 운동처방을 중심으로 한 체중조절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 프로그램이 비만학생의 식습관, 체위, 영양지식변화에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기 위해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비만아동들을 대상으로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한 것으로 영양교육, 운동요법의 병행을 통하여 과체중 이상의 아동이 스스로 체중조절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가지게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으며 특히 초등학교 아동들의 경우에는 식품선택이나 식습관에 있어서 본인 스스로의 의지보다는 부모와 가족에게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부모의 영양교육을 함께 실시하고 영양교육 평가도 실시하여 그 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 이를 위해서 학생들의 대부분 생활이 이루어지는 학교현장에서 영양서비스 프로그램을 시행하면 보다 전문적이고 철저한 관리가 될 수 있어 비만아동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이에 본 연구는 거창지역 일부 과체중 및 비만 초등학생과 중학생 그리고 그들의학부모를 대상으로 3개월간 운동처방과 함께 식이상담 및 영양교육을 실시하고 영양지식을 향상시키고 비만을 개선하고자 체중조절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시행 1년 후 참여 학생의 신체계측과 영양지식을 측정하고 지식활용 정도를 조사하여 체중조절 프로그램의 지속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소아 비만의 예방 및 치료의 목적은? 소아 비만의 예방 및 치료는 단기적으로 체중을 감소시키기보다 과다한 체중증가를 억제하면서 장기적으로 올바른 식품섭취 방법과 운동을 습관화하여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으므로 비만아동의 연령과 성장단계에 부합하는 비만관리 프로그램이 요구된다. 특히 아동의 체중조절은칼로리와 영양소 필요량, 규칙적인 운동의 중요성에 대하여가족 모두에게 교육하는 것이 필요하며, 청소년의 경우는 자신의 동기유발 정도에 따라 체중조절의 성패가 좌우된다(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1).
비만은 어떤 병의 원인이 되는가? 최근 우리나라는 서구화된 식습관과 사회경제적 수준의 급속한 향상에 따라 비만환자가 증가하고 있다(Son 등 2004). 비만은 외관상의 문제뿐만 아니라 각종 성인병 특히 고지혈증, 고혈압, 관상동맥질환 등의 순환계 질환과 당뇨병 같은합병증을 일으키는 원인이 된다(Kim 1990; Lee 등 1991; Cha 1994).  
소아비만 증가의 원인 중 문화적 원인은? 소아비만 증가의 원인은 경제수준의 향상과 어머니의 사회활동 참여 증가로 아동들이 스스로 식사를 해결하면서 인스턴트식품 섭취나 잦은 외식으로 인한 영양의 불균형과 식사속도, 식사량, 식사태도 등 올바른 식습관을 습득하지 못하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경제적 여건뿐만 아니라 문화적 환경에도 크게 영향을 받게 되는데, TV를 통한 식품광고는 무분별한 식품의 선택을 조장하며, TV시청이나 컴퓨터게임 등도 소아의 활동을 줄여 소아비만의 증가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보고되었다(Kim 200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Cha YS (1994): Comparison of body metabolism in middle-aged women depending upon swimming practice. Korean J Nutr 28(5): 395-405 

  2. Choi HJ, Seo JS (2003): Nutrient intakes and obesity-related factors of obese children and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Korean J Community Nutr 8(4): 477-484 

  3. Chung YJ, Han JI (2000): Prevalence of obesity, living habits and patent's characteristic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boys in Daejon city. J Korean Nutr 33(4): 421-428 

  4. Kim EK, Park J, Ryu SY, Kang MG (2006):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obesity and childhood obesity cognition and weight-related behaviors. J Korean Soc Matern Child Health 10(2): 159-168 

  5. Kim KH (2001): The effect of body weight control program for obese children. Korean J Diet Culture 16(2): 89-98 

  6. Kim KH (2002) The effect of parent's nutritional education for body weight control of obese children. Korean J Diet Culture 17(2): 185-196 

  7. Kim MW, Jin YS, Kim JH, Kim YK, Lee HJ (1997): The changes of anthropometry and blood lipid level and functional capacity through exercise session of obesity women. Korean J Sports Med 15(2): 310-318 

  8. Kim YS (1990) : Symposium: recent progress in obesity research. Korean J Nutr 23: 337-340 

  9. Kim YS, Lee SY, Kim YO (2002): Nutrition education effect in obesity treatment for childre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 1011-1017 

  10. Korean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05): Korean National Health and National Survey. Available from http:// knhanes.cdc.go.kr 

  11. Korean Society for the Study of Obesity (2005): Clinical Obesity. Korea Medical Book, Seoul 

  12. Kwon SI, Kwon TW (2005): The relationship of obesity level to obesity stress and sociability among school children. Korean J Sports Science 14(2): 243-253 

  13. Lee KJ, Kim HK (1997): Effect of aerobic exercise and diet therapy in obese women. Sports J Phys Edu 36(1): 256-265 

  14. Lee KM, Moon JM (2004): A study on obese realities and factor analysis, education program development of obese children in elementary school. J Phys Growth Motor Devel 12(1): 31-60 

  15. Lee KY, Jang MR, Kim EK, Huh KB (1991): A study on body fat distribution in obese human. Korean J Nutr 24(3): 157-165 

  16. Lyznicki JM, Young DC, Riggs JA, Davis RM, Council on Scientific Affairs. American Medical Association (2001): Obesity: assessment and management in primary care. Am Fam Physcian 63(11): 2185-2196 

  17. Must A, Strauss RS (1999): Risks and consequences of childhood and adolescent obesity. Int J Obese Relat Metab Disord 23(Suppl 2): S2-11 

  18. Nam JH (2007): Effects of weight control program on anthropometric measurements and serum lipid profiles of obese elementary students. Korean J Food & Nutr 20(1): 88-95 

  19. Perron M, Endres J (1985): Knowledge, attitudes and dietary and dietary practices of female athletes. J Am Diet Assoc 85: 573-576 

  20. Shin EK, Lee HS, Lee YK (2004): Effect of nutrition education program in obese children and their parents(II). Korean J Community Nutr 9(5): 578-588 

  21. Son SM, Lee JH, Lim KS, Cho YY (2004): Diet and Body Shape Management. p. 20, Kyomunsa, Seoul 

  22. Song YJ, Joung HJ, Kim YN, Park HY (2006): The physical development and dietary intake for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s: body composition and obesity prevalence. Korean J Nutr 39: 44-49 

  23. Story M, Altonz (1991): Current perspective on aldolescent obesity. Top Clin Nutr 6: 51-56 

  24.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1): Clinical Nutrition Management Guide. p. 2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