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사진을 이용한 식사섭취량 조사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Application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원문보기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ommunity nutrition, v.15 no.6, 2010년, pp.760 - 775  

권종숙 (신구대학 식품영양과) ,  김경민 (배화여자대학 식품영양과) ,  김혜경 (가톨릭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validity of food photographs for estim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s and compare it with other dietary assessment methods. Subjects were 7 professors, 2 researchers, 12 dietitian and 16 graduate students majoring in food and nutrition. Among the subjec...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사섭취량조사법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개인 또는 집단의 영양 상태평가를 위한 식사섭취량조사법으로 식품빈도법, 식사기록법, 24시간 회상법, 실측법 등이 주로 사용된다. 조사목적과 집단의 특성에 따라 이들 중적당한 방법을 선택하나 어느 방법도 오차 없이 정확한 자료를 얻기는 어렵다(Block 1982; Schatzkin 등 2003).
식품섭취빈도법의 의미와 제한점은? 식품섭취빈도법은 개인의 일상 섭취정보를 알아내기 위해 널리 사용되는 방법이지만 정확한 개별 섭취량을 알아내기는 어렵다는 제한점을 가지고 있다. 개인의 섭취량은 일별 차이가 많을 수 있고, 비만인의 경우에는 섭취한 양보다 적은 양을 조사자에게 보고하는 경우가 있었다(Kretsch 등 1999).
디지털 카메라를 이용한 식사섭취량 분석의 장점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디지털 카메라는 휴대하기 편리하고, 대부분의 휴대폰은 디지털 카메라가 부착되어 있는 카메라 폰으로 젊은 층에서는 언제 어디에서나 사진을 찍고, 저장하고, 다른 휴대폰이나 컴퓨터로 사진전송을 하는 것이 이미 보편화 되어있다. 그러므로 본인이 섭취한 음식을 찍어 이를 영양전문가에게 전송하여 식사섭취량을 분석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식사섭취자료를 신속하게 얻을 수 있고, 기억력에 의한 오차를 줄일 수 있으며, 섭취장소에 관계없이 식사섭취 조사를 비교적 쉽게 할 수가 있어 기존의 식사섭취조사 방법들의 여러 제한점을 극복할 수 있었다(Wang 등 2002; Williamson 등 2003; Wang 등 2006; Chang & Ko 2007). 그러나 우리나라 음식의 경우에는 조리법과 식재료들이 다양하여 음식사진 분석에 의한 식사 섭취량추정이 식사섭취조사법으로서 정확하고 타당성 있는 방법인지에 대해서 다각적인 방면에서의 연구와 시도가 필요하다고 여겨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Basiotis PP, Welsh SO, Cronin FJ, Kelsay JL, Mertz W (1987): Number of days of food intake records required to estimate individual and group nutrient intakes with defined confidence. J Nutr 117(9): 1638-1641 

  2. Block G (1982): A review of validation of dietary assessment methods. Am J Epidemiol 115(4): 492-505 

  3. Chang UJ, Ko SA (2007): A study on the dietary intake survey method using a cameraphone. Korean J Community Nutr 12(2): 198-205 

  4. Cho YE, Lee SL, Cho EH, Lomeda RAL, Kwak EH, Kim YH, Kwun IS (2006): Comparison of nutrient intakes of Korean elderly people living in rural area between 24-hour recall and food frequency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35(6): 698-707 

  5. Faggiano F, Vineis P, Cravanzola D, Pisani P, Xompero G, Riboli E, Kaaks R (1992): Validation of a method for the estimation of food portion size. Epidemiology 3(4): 379-382 

  6. Friedman BJ, Hurd-Crixell SL (1999): Nutrition intake of children eating school breakfast. J Am Diet Assoc 99: 219-221 

  7. Jeong SH, Park JH, Lee HO, Choue R (2007): Effects of nutrition counseling on quality of diet, iron status and hematic parameters in college women who have self-recognized anemic symptoms. Korean J Community Nutr 12(1): 68-79 

  8. Kim YO (1995):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s analyzed by using food frequequency and recall method. J Korean Soc Food Nutr 24(6): 887-891 

  9. Kim KM, Kwon JS (2004): Nutrition and health status of the elderly living in songnam II. Dietary habits and nutrient intakes. Korean J Food Nutr 17(4): 420-428 

  10. Koo NS, Kim HS, Lee KA, Kim MJ (2006): Food sensory evaluation. Kyomunsa, Paju, pp.80-81 

  11. Kretsch MJ, Fong AK, Green MW (1999): Behavioral body size correlates of energy intake under reporting by obese and normal weight women. J Am Diet Assoc 99(3): 300-306 

  12. Lee SY, Ju DL, Paik HY, Shin CS, Lee HK (1998): Assessment of dietary intake obtained by 24-hour recall method in adult living in Yeonchon area (1): Assessment based on nutrient intake. J Korean Nutr 31(3): 333-342 

  13. Lee JS (2006): A comparative study on the dietary attitudes and nutritional status of preschool children in different income levels in Busan. Korean J Community Nutr 11(2): 161-171 

  14. Mullen BJ, Krantzler NJ, Grivetti LE, Schutz HG, Meiselman HL (1984): Valid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the determination of individual food intake. Am J Clin Nutr 39(1): 136-143 

  15. Samaras K, Kelly PJ, Campbell LV (1999): Dietary under-reporting is prevalent in middle-aged British woman and is not related to adiposity (percentage body fat). Int J Obes Relat Metab Disord 23(8): 881-888 

  16. Schatzkin A, Kipnis V, Carroll RJ, Midthune D, Subar AF, Bingham S, Schoeller DA, Troiano RP, Freedman LS (2003): A comparison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with a 24-hour recall for use in an epidemiological cohort study: Results from the biomarker-based Observing Protein and Energy Nutrition (OPEN) study. Int J Epidemiol 32(6): 1054-1062 

  17. Seo JS, Lee JH, Yun JS, Cho SH, Choi YS (2008): Nutritional assessment. Powerbook, Seoul, p.112 

  18. Shankar AV, Gittelsohn J, Stallings R, West KP Jr, Gnywali T, Dhungel C, Dahl B (2001): Comparison of visual estimates of children's portion sizes under both shared-plate and individualplate conditions. J Am Diet Assoc 101(1): 47-52 

  19. Simons-Morton BG, Forthofer R, Huang IW, Baranowski T, Reed DB, Fleishman R (1992): Reliability of direct visual estimate of school children's consumption of bag lunches. J Am Diet Assoc 92(2): 219-221 

  20. Turconi G, Guarcello M, Gigli Berzolari F, Carolei A, Bazzano R, Roggi C (2005): An evaluation of a colour food photography atlas as a tool for quantifying food portion size in epidemiological dietary surveys. Eur J Clin Nutr 59(8): 923-931 

  21. Wang DH, Kogashiwa M, Ohta S, Kira S (2002): Validity and reliability of dietary assessment method: The application of a digital camera with a mobile phone card attachment. J Nutr Sci Vitaminol 48(6): 498-504 

  22. Wang DH, Kogashiwa M, Kira S (2006): Development of a new instrument for evaluating individuals' dietary intake. J Am Diet Assoc 106(10): 1588-1593 

  23. Willet WC, Hu FB (2007):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16(1): 182-183 

  24. Williamson DA, Davis Martin P, Allen HR, Most MM, Alfonso A, Thomas V, Ryan DH (2002): Changes in food intake and body weight associated with basic combat training. Mil Med 167(3): 248-253 

  25. Williamson DA, Allen HR, Martin PD, Alfonso AJ, Gerald B, Hunt A (2003): Comparison of digital photography to weighed and visual estimation of portion size. J Am Diet Assoc 103(9): 1139-1145 

  26. Zulkifli SN, Yu SM (1992): The food frequency method for dietary assessment. J Am Diet Assoc 92(6): 681-685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