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음식섭취빈도조사법과 식사기록법에 나타난 주요 음식의 섭취빈도와 섭취량 비교 분석
Comparison of Frequency and Amount of Dishes Reported in Semi-Quantitative Dish-based Frequency Questionnaire vs. 12-day Dietary Records 원문보기

韓國營養學會誌 = The Korean journal of nutrition., v.43 no.6, 2010년, pp.638 - 652  

송나연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민경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희영 (서울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정효지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  김정선 (국립암센터 암역학연구과) ,  박소희 (국립암센터 암역학연구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 valid food or dish frequency questionnaire needs to be developed in Korea for accurate dietary assessment because the dietary practices of Koreans are ver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countrie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the newly developed, semi-quantitative, dish-b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상자의 성별, 연령에 따른 두 방법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서 대상자별 두 방법의 섭취빈도, 1회 섭취량, 1일 섭취량에 따른 상관계수를 산출한 후 각각의 상관계수의 4분위 그룹에 따라 연령과 성별의 차이가 존재하는지 알아 보았다. 또한 대상자들이 12일 동안 섭취한 총 음식 종류의 수를 확인하여 음식 종류의 수가 많은 사람에서 두 방법의 상관관계가 더 높게 나오는지 알아보았다.
  • 이에 본 연구는 암과 영양 연구를 위해서 만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반정량적 음식섭취빈도조사지(Semi-quantitative dish-based frequency questionnaire)를 계절별로 3일씩 총 12일간 조사한 식사기록법(12-day dietary records)의 자료를 기준으로, 음식 별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음식섭취빈도조사지가 식사섭취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구인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음식종류에 따른 상관성을 파악하고 대상자의 특성이 음식섭취빈도 조사법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여 앞으로 빈도지를 개발할 때 참고가 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반정량적 음식섭취빈도조사지를 총 12일 식사기록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음식 별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비교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고, 성별, 연령 같은 대상자의 특성과 계절이 음식섭취빈도조사법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서 수행되었다.
  • 본 연구는 반정량적 음식섭취빈도조사지를 총 12일 식사기록지의 자료를 기준으로 음식별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비교하여 타당도를 검증하고 대상자의 특성이 음식섭취빈도 조사법의 타당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두 방법의 섭취빈도와 섭취량에서 높은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음식의 특징은 자주 섭취하고 섭취량이 일정하거나 (쌀밥, 우유, 주류) 단일식품으로 구성된 음식 (단무지, 달걀부침/달걀후라이)이었으며,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음식이 아니거나 (닭죽, 회덮밥 등) 한 항목에 여러 음식이 포함된 경우 (고추잎나물/도라지나물/배추나물/시금치나물/취나물/콩나물 등)에서 상관계수는 매우 낮게 나타났다.
  • 본 연구는 영양소나 식품을 이용한 기존의 타당도 연구와 다른 맥락의 타당도 연구로 대상자가 빈도지에 표시한 섭취빈도와 섭취량이 기록지에 나타난 음식의 섭취빈도와 섭취량과 어느 정도 일치하는지를 직접적으로 비교할 수 있었다. 또한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서 음식섭취 빈도와 분량 추정의 정확도를 알 수 있게 해주었다는 점에서 이 연구는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 이에 본 연구는 암과 영양 연구를 위해서 만 30세 이상의 성인을 대상으로 개발된 반정량적 음식섭취빈도조사지(Semi-quantitative dish-based frequency questionnaire)를 계절별로 3일씩 총 12일간 조사한 식사기록법(12-day dietary records)의 자료를 기준으로, 음식 별 섭취빈도와 섭취량을 비교하고 이를 토대로 음식섭취빈도조사지가 식사섭취상태를 파악하는데 유용한 도구인지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사람들의 평상시 식사를 반영하기 위해서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을 통해서 식사섭취조사를 하지만, 장시간을 회상하 기 때문에 기억의 한계에 의해서 조사를 실시한 계절의 영향을 크게 받을 수 있으며, 특히 계절마다 식사가 달라지는 한국인 식생활의 특성으로 1년 동안을 회상하는 것에 더 큰 부담이 존재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able 7에 제시한 음식항목들 (잡곡밥, 우유, 커피, 김치찌개, 배추김치 등)의 계절에 따른 두 방법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여 대상자들이 빈도지를 조사한 계절의 영향을 받았는지 알아 보았다. 그 결과 대부분의 음식항목에서 빈도지를 실시한 계절인 겨울에 상관계수가 좀 더 높았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은 무엇인가? 현대사회에서 대두되고 있는 만성질환은 식생활과 관련성이 높으며, 식생활 관리를 통해 만성질환의 예방과 관리가 가능하다는 과학적 증거자료가 발표되면서, 다양한 영양역학 연구와 식생활 관리 사업 분야에서 정확한 식사섭취를 측정하는 방법에 대해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식사섭취조사 방법의 하나인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은 특정한 식품목록을 제시하고 섭취빈도를 조사하는 방법으로, 일반적으로 1주 이상에서 1년 이상까지의 장기간의 일상적인 섭취실태를 평가하는데 쓰인다. 이 방법은 자료 수집과 분석에 비교적 적은 시간이 들고 인건비를 절약할 수 있어서 대규모 역학 조사에서 많이 이용되고 있다.
다른 국가에 비해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의 상관관계가 더 낮게 나타나는 한국인의 식사특성에는 무엇이 있는가? 특히 한국인에서 실시한 타당도 연구의 결과는 다른 국가에 비해서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의 상관관계가 더 낮게 나타났는 데4) 그 원인은 한국인 식사특성에 있다고 보인다. 일반적으로 한국음식은 서양과는 달리 음식에 다양한 식품이 섞이고 여러 가지 양념류가 들어가며, 밥과 국을 제외한 찌개나 반찬의 경우 여럿이서 나누어 먹는 특성을 지니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특성으로 대상자들이 자신이 섭취한 식품의 섭취량을 정확하게 기억하기 어려울 수 있다.
식품항목으로 구성된 빈도법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영양소 섭취량 평가를 통해서는 식사의 적합성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는 있지만, 여러 영양소를 포함하는 식품들의 섭취를 통하여 식품간의 상호작용으로 영양소 흡수 정도가 변할 수 있기 때문에 식사와 질병간의 관련성을 규명하는 데 식품이 더 좋은 지표가 될 수 있다30)는 연구 결과에 따라 식품을 중심으로 분석하는 타당도 연구들이 시도되고 있다. 그러나 식품항목으로 구성된 빈도법을 통해서는 음식에 포함된 여러 가지 양념류들이 주는 영향을 고려하기 어렵고,4) 음식에 포함된 식품들의 섭취량을 추정하기 어렵다. 특히 한국인에서 실시한 타당도 연구의 결과는 다른 국가에 비해서 식품섭취빈도 조사법의 상관관계가 더 낮게 나타났는 데4) 그 원인은 한국인 식사특성에 있다고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Willet W. Nutritional Epidemiology Second ed: Oxford University; 1998 

  2. Vandevijvere S, De Vriese S, Huybrechts I, Moreau M, Temme E, De Henauw S, De Backer G, Kornitzer M, Leveque A, Van Oyen H. The gap between food-based dietary guidelines and usual food consumption in Belgium, 2004. Public Health Nutr 2009; 12(3): 423-431 

  3. Dumartheray EW, Krieg MA, Cornuz J, Whittamore DR, Lovell DP, Burckhardt P, Lanham-New SA.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use in elderly Swiss women. J Hum Nutr Diet 2006; 19(5): 321-330 

  4. Kim YO, Kim MK, Lee SA, Yoon YM, Sasaki S. A study testing the usefulness of a dish-based food-frequency questionnaire developed for epidemiological studies in Korea. Br J Nutr 2009; 101(8): 1218-1227 

  5. Ovaskainen ML, Paturi M, Reinivuo H, Hannila ML, Sinkko H, Lehtisalo J, Pynnonen-Polari O, Mannisto S. Accuracy in the estimation of food servings against the portions in food photographs. Eur J Clin Nutr 2008; 62(5): 674-681 

  6. Tokudome Y, Kuriki K, Imaeda N, Ikeda M, Nagaya T, Fujiwara N, Sato J, Goto C, Kikuchi S, Maki S, Tokudome S. Seasonal variation in consumption and plasma concentrations of fatty acids in Japanese female dietitians. Eur J Epidemiol 2003; 18(10): 945-953 

  7. Tokudome Y, Imaeda N, Nagaya T, Ikeda M, Fujiwara N, Sato J, Kuriki K, Kikuchi S, Maki S, Tokudome S. Daily, weekly, seasonal, within- and between-individual variation in nutrient intake according to four season consecutive 7 day weighed diet records in Japanese female dietitians. J Epidemiol 2002; 12(2): 85-92 

  8. Ahn Y, Kwon E, Shim JE, Park MK, Joo Y, Kimm K, Park C, Kim DH. Validation and reproducibilit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genome epidemiologic study. Eur J Clin Nutr 2007; 61(12): 1435-1441 

  9. Barclay AW, Flood VM, Brand-Miller JC, Mitchell P. Validity of carbohydrate, glycaemic index and glycaemic load data obtained using a semi-quantitativ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Public Health Nutr 2008; 11(6): 573-580 

  10. Tokudome Y, Goto C, Imaeda N, Hasegawa T, Kato R, Hirose K, Tajima K, Tokudome S. Relative validity of a short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assessing nutrient intake versus three-day weighed diet records in middle-aged Japanese. J Epidemiol 2005; 15(4): 135-145 

  11. Shu XO, Yang G, Jin F, Liu D, Kushi L, Wen W, Gao YT, Zheng W.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ed in the Shanghai Women's Health Study. Eur J Clin Nutr 2004; 58(1): 17-23 

  12. Villegas R, Yang G, Liu D, Xiang YB, Cai H, Zheng W, Shu XO.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used in the Shanghai men's health study. Br J Nutr 2007; 97(5): 993-1000 

  13. Parr CL, Barikmo I, Torheim LE, Ouattara F, Kaloga A, Oshaug A. Validation of the second version of a quantitative food-frequency questionnaire for use in Western Mali. Public Health Nutr 2002; 5(6): 769-781 

  14. Stuff JE, Goh ET, Barrera SL, Bondy ML, Forman MR. N-nitroso compounds: assessing agreement between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and 7-day food records. J Am Diet Assoc 2009; 109(7): 1179-1183 

  15. Petkeviciene J, Simila M, Becker W, Kriaucioniene V, Valsta LM. Validity and reproducibility of the NORBAGREEN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Eur J Clin Nutr 2009; 63(1): 141-149 

  16. Date C, Fukui M, Yamamoto A, Wakai K, Ozeki A, Motohashi Y, Adachi C, Okamoto N, Kurosawa M, Tokudome Y, Kurisu Y, Watanabe Y, Ozasa K, Nakagawa S, Tokui N, Yoshimura T, Tamakoshi A. Reproducibility and validity of a self-administered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ed in the JACC study. J Epidemiol 2005; 15 Suppl 1: S9- S23 

  17. Tokudome S, Imaeda N, Tokudome Y, Fujiwara N, Nagaya T, Sato J, Kuriki K, Ikeda M, Maki S. Relative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versus 28 day weighed diet records in Japanese female dietitians. Eur J Clin Nutr 2001; 55(9): 735-742 

  18. Deschamps V, de Lauzon-Guillain B, Lafay L, Borys JM, Charles MA, Romon M. Reproducibility and relative validity of a food-frequency questionnaire among French adults and adolescents. Eur J Clin Nutr 2009; 63(2): 282-291 

  19. Kim YO.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s Analysed by Using Food Frequency and Recall Method.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5; 24(6): 887-891 

  20. Paik HY, Choi JS, Ahn YJ, Moon HK.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ary Assessment of Korean Adults in Rural Area. Korean J Nutr 1995; 28 (9): 914-922 

  21. Lee HJ, Kim JH, Kim CI, Chang K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mputeriz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Program for Evaluating the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2): 277- 285 

  22. Kim MY, Nam CM, Yoon JY, Shim JS, Oh KW. The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Simple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the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tion Consumption. Korean J Nutr 2002; 35(2): 250-262 

  23. Oh SY, Hong MH. Development of a Simpl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Using the Contribution of Specific Foods to Absolute Intake and Between-Person Variation of Nutrient Consumption for the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2000; 33(4): 429- 437 

  24. Lee SY, Paik HY. Comparative assessment of nutrient intake and quality obtained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nd 24-hour recall method in Korea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J Korea Home Econ Assoc 1998; 36(1): 143-155 

  25. Won SH, Kim WY.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to Evaluate Nutritional Status of the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2000; 33(3): 314- 323 

  26. Kim WY, Yang EJ. A Study on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s. Korean J Nutr 1998; 31(2): 220-230 

  27. Anh YJ, Paik HY, Lee HK, Park YS. Comparison of Food Intakes between Newly Diagnosed Diabetics and Nondiabetics by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n Adults Living in Rural Area of Korea. J Korean Soc Food Sci Nutr 1998; 27(1): 182-190 

  28. Oh SY, Hong MH. Repeatabil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of the Korean Elderly. Korean J Nutr 1998; 31(7): 1183-1191 

  29. Shim JS, Oh KW, Kim MY, Sohn CY. A Study on Validity of a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Korean Adults. Korean J Community Nutr 2002; 7(4): 484-494 

  30. Neuhouser ML, Patterson RE, Thornquist MD, Omenn GS, King IB, Goodman GE. Fruits and vegetables are associated with lower lung cancer risk only in the placebo arm of the beta-carotene and retinol efficacy trial (CARET). Cancer Epidemiol Biomarkers Prev 2003; 12(4): 350-358 

  31. Ministry for Health, Welfare and Family Affairs,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dish-based semi-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for diet and cancer research; 2009, 0720660 

  32. Jung HJ, Moon SJ, Lee LH, Yu CH, Paik HY. Evaluation of Elementary School Lunch Menus Based on Maintenance of the Traditional Dietary Pattern. Korean J Nutr 2000; 33(2): 216-229 

  33. Marks GC, Hughes MC, van der Pols JC. Relative validity of food intake estimates using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is associated with sex, age, and other personal characteristics. J Nutr 2006; 136(2): 459-465 

  34. Lee GS, Yi MS, Joung HJ. Response Experiences with a Semi- Quantitative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A Qualitative Study using Cognitive Interview. Korean J Nutr 2007; 40(6): 566-575 

  35. Thompson FE, Subar AF, Brown CC, Smith AF, Sharbaugh CO, Jobe JB, Mittl B, Gibson JT, Ziegler RG. Cognitive research enhances accuracy of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reports: results of an experimental validation study. J Am Diet Assoc 2002; 102 (2): 212-225 

  36. Paalanen L, Mannisto S, Virtanen MJ, Knekt P, Rasanen L, Montonen J, Pietinen P. Validity of a food frequency questionnaire varied by age and body mass index. J Clin Epidemiol 2006; 59(9): 994-1001 

  37. Hansson LM, Galanti MR, Bergstrom R. Factors affecting reproducibility of dietary reports using food frequency questionnaires. Eur J Clin Nutr 2000; 54(8): 658-664 

  38. Bernstein MA, Tucker KL, Ryan ND, O'Neill EF, Clements KM, Nelson ME, Evans WJ, Fiatarone Singh MA. Higher dietary variety is associated with better nutritional status in frail elderly people. J Am Diet Assoc 2002; 102(8): 1096-110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