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굴 자숙향의 발현성분
The Precursors and Flavor Constituents of the Cooked Oyster Flavor 원문보기

한국수산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isheries and aquatic sciences, v.43 no.6, 2010년, pp.606 - 613  

강진영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노태현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황석민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김영아 (국립수산물품질검사원) ,  최종덕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  오광수 (경상대학교 해양식품공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elucidate a mechanism responsible for the development of the odor characteristics of cooked, desirable-flavored shellfish, oysters were extracted using various solvents and the resulting extracts were evaluated organoleptically after cooking. The 80% aqueous methanol extract was found t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Fig. 1의 방법과 같이 처리하여 얻은 생굴의 투석외액 (F-C 획분)을 동결건조한 후 일정량의 순수에 녹여 냄새성분의 수용성 전구물질부를 조제하였다. 이를 10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하였고, 가열 전후의 수용성 전구물질부의 성분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굴 자숙향의 발현에 미치는 수용성 전구물질부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GC 분석은 SDE 추출액 3 μL를 DB-1 fused silica gel column (60 m × 0.32 mm i.d., film thickness 0.25 μm, J&W Scientific Co., USA)이 장착된 HP 5890 GC (Hewlett-Packard Co., USA) 에 주입하여 분석하였고, GC/MS 분석은 상기의 DB-1 capillary column이 장착된 HP 5890A GC /5970 MS (HewlettPackard Co., USA)에 SDE 추출액을 주입하여 GC와 같은 분석 조건 (Oh et al., 2001)으로 splitless mode에서 분석하였다.
  • Lickens-Nickerson SDE 장치를 이용하여 굴 자숙향의 전휘 발성성분을 추출하고, GC 및 GC-MS로써 분석․동정한 결과는 Fig. 2와 3, 그리고 Table 9와 같다. 굴의 자숙향기성분으로 총 106 성분이 동정되었으며, 총함량은 cyclohexanol을 기준으 로 26.
  • 각 획분 1 mL에 순수 3 mL를 가하여 pH를 7.5로 조정한 후 삼각플라스크에 옮겨 솜마개로 막고 이를 알루미늄박으로싼 다음 100℃ 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실온까지 방냉한후, 동일한 방법으로 가열처리한 대조구 냄새와 비교하였다. 각 획분별로 얻어진 시험구에서 나는 냄새를 7인의 panel이대조구와 비교하여 그 관능적 특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 5로 조정한 후 삼각플라스크에 옮겨 솜마개로 막고 이를 알루미늄박으로싼 다음 100℃ 수조에서 30분간 가열하여 실온까지 방냉한후, 동일한 방법으로 가열처리한 대조구 냄새와 비교하였다. 각 획분별로 얻어진 시험구에서 나는 냄새를 7인의 panel이대조구와 비교하여 그 관능적 특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 추출잔사도 같은 방법으로 용제를 제거한 후 소량의 탈이온수를 가해 생굴과 같은 수분함량이 되도록 하였다. 각종 용제추출액, 추출잔사 및 대조구로서 마쇄한 무처리 생굴을 각각 삼각플라스크에 넣어 솜마개를 하고 이를 알루미늄박으로 싼 후, 100℃수조 상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삶은 패류 냄새에 익숙하도록 숙달시킨 7인의 panel을 구성하여 각 추출용제별로 얻어진 시험구에서 나는 냄새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그 관능적 특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 마쇄한 시료 굴 30 g에 acetone, 냉수, chloroform:methanol (2:1) 혼합용액, mathanol 및 ethanol과 같은 추출용제 150 mL를 가해 5분간 균질화한 후 1,000×g에서 20분간 원심분리하여 추출액을 얻었고, 추출잔사에 대하여 이 조작을 2회 반복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사람들이 즐겨먹고 있는 대표적인 패류 중의 하나인 굴을 시료로 하여 바람직한 굴 자숙향에서 유래하는 바람직한 핵심 향기발현의 전구물질부를 분리·구명하였고, 아울러 SDE apparatus, GC 및 GC/MS를 이용하여 굴의 자숙향성분을 추출분리, 동정 및 정량하였다.
  • , 2001)으로 splitless mode에서 분석하였다. 분리된 화합물은 Mass Spectrum Data Book과의 spectrum 일치및 화합물의 mass spectrum을 Standard MS Library Database에 의해 검색하여 relative similarity가 85% 이상인 화합물에 대하여 동일물질로서 유의성을 인정하였다. 한편, 각 화합물의 함량은 cyclohexanol을 내부표준물질로 하여 GC chromatogram 상의 각 peak 면적비를 계산하여 상대함량으로 나타내었다.
  • 유리아미노산은 시료 엑스분을 일정량 취하고 여기에 5'-sulfosalicylic acid를 10% 첨가하여 제단백시켜 감압건고하였고, Li-citrate buffer (pH 2.20, 0.20 M)로서 정용한 후 아미노산 자동분석계 (LKB-4150α, LKB Biochrom LTD., England) 로 분석하였다.
  • 2 mg을 함께 추출용기(1 L)에 넣고, 추출용매로서 재증류한 diethyl ether를 사용하여 LickensNickerson형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SDE) 장치로 상압하에서 3시간 동안 증류,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20℃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얼음층을 제거하고, Kuderna-Danish 농축장치로써 농축한 다음 무수 Na2SO4를 가하여 탈수한 후 일정량으로 재농축하여 휘발성성분 분석용 SDE 추출액으로 하였다.
  • 1의 방법과 같이 처리하여 얻은 생굴의 투석외액 (F-C 획분)을 동결건조한 후 일정량의 순수에 녹여 냄새성분의 수용성 전구물질부를 조제하였다. 이를 100℃에서 30분간 가열 처리하였고, 가열 전후의 수용성 전구물질부의 성분 변화를 분석함으로서, 굴 자숙향의 발현에 미치는 수용성 전구물질부의 영향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 모은 추출액은 용제취가 나지 않을 때까지 40℃ 이하에서 용제를 감압제거한 후, 시료 생굴의 수분함량이 80% 내외가 되도록 탈이온수를 가해 24 mL로 하였다. 추출잔사도 같은 방법으로 용제를 제거한 후 소량의 탈이온수를 가해 생굴과 같은 수분함량이 되도록 하였다. 각종 용제추출액, 추출잔사 및 대조구로서 마쇄한 무처리 생굴을 각각 삼각플라스크에 넣어 솜마개를 하고 이를 알루미늄박으로 싼 후, 100℃수조 상에서 30분간 가열하고, 실온까지 냉각한 다음 삶은 패류 냄새에 익숙하도록 숙달시킨 7인의 panel을 구성하여 각 추출용제별로 얻어진 시험구에서 나는 냄새를 대조구와 비교하여 그 관능적 특징을 기술하도록 하였다.
  • 휘발성성분의 추출은 세절한 참굴 300 g과 내부표준물질인 cyclohexanol(Merck제) 9.2 mg을 함께 추출용기(1 L)에 넣고, 추출용매로서 재증류한 diethyl ether를 사용하여 LickensNickerson형 simultaneous steam distillation and solvent extraction (SDE) 장치로 상압하에서 3시간 동안 증류, 추출하였다. 이 추출액을 -20℃에서 하룻밤 방치하여 얼음층을 제거하고, Kuderna-Danish 농축장치로써 농축한 다음 무수 Na2SO4를 가하여 탈수한 후 일정량으로 재농축하여 휘발성성분 분석용 SDE 추출액으로 하였다.

대상 데이터

  • 본 실험에 원료로 사용한 참굴 (Crassostrea gigas, 체중 ;17.9±2.6 g, 체장 ; 6.0±0.6 cm)은 통영인근 해역에서 양식된 것으로, 2009년 1월 탈각한 활(活)상태로 구입하여 -25℃에 저장하면서 시료로 사용하였다.

이론/모형

  •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 및 총질소량은 semi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으로 측정하였고(AOAC, 1995), 환원당은 Bertrand법(Ohara, 1982)으로 분석한 후 Bertrand 당류정량표로부터 glucose 함량을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pH는 시료를 균질화한 다음 pH meter(Basic, Fisher Co., USA)로써 측정하였고, 휘발성염기질소 (VBN) 함량은 Conway unit를 사용하는 미량확산법(KSFSN, 2000)으로, 아미노질소 함량은 Formol 적정법(Ohara, 1982)으로 측정하였다.
  • 굴 자숙향의 전구물질부를 구명하기 위해 전보 (Ohshima et al., 1991; Oh, 2002)와 같은 방법으로 Fig. 1과 같이 각 전구물질부를 추출한 후 투석 및 이온교환수지법으로 분획하였다.
  • 무기성분 중 양이온은 시료 엑스분을 회분 도가니에 일정량 취해 500~550℃에서 5~6시간 건식회화 (Ohara, 1982) 시킨 후 ashless filter paper로 여과하여 일정량으로 정용한 다음, ICP (Inductively coupled plasma atomic emission spectrometer, Atomscan 25, TJA Co., USA)로써 Na, K, Ca, P, Cu, Mg, Fe 및 Zn의 함량을 분석하였고, PO4의 함량은 Fiske and Subbarow의 방법 (1925)에 따라 정량하였다.
  • 베타인 (betaine)은 Konosu and Kaisai의 방법 (1961)에 준하여 Dowex 50 w×20 (H+-form)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한 column chromatograph 및 ammonium reineckate염과의 반응을 이용한 비색법으로 정량하였다.
  • 수분은 상압가열건조법, 조단백질 및 총질소량은 semimicro Kjeldahl법, 조지방은 Soxhlet 추출법, 조회분은 건식회화법으로 측정하였고(AOAC, 1995), 환원당은 Bertrand법(Ohara, 1982)으로 분석한 후 Bertrand 당류정량표로부터 glucose 함량을 환산하여 나타내었다. pH는 시료를 균질화한 다음 pH meter(Basic, Fisher Co.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식품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냄새인 가열향기는 무엇에 기인하는가? 80% methanol 추출성 굴 엑스분의 총질소량은 가열처리 후 약간 감소하였으며, 아미노질소량 역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유리아미노산 등 저분자량의 질소성분들이 가열처리 중 일부 분해되었거나, Maillard 반응에 관여하여 약간씩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냄새를 가열향기라고 부르는데, 이는 주로 식품성분 중 당-아미노기 성분 상호간에 일으키는 Maillard 반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Ho et al., 1989).
굴 자숙향의 전구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80% methanol 추출성 엑스분을 가열 처리했을 때 휘발성 염기질소량이 상당량 증가한 것은 무엇 때문인가? 그러나, 환원당의 함량은 가열처리에 따른 변화가 거의 없었는데, 이는 Maillard 반응의 중간생성물 중에는 강한 환원력을 나타내는 물질이 생성된다는 점 (Kim, 1985)을 고려할 때 가열향기의 생성에 환원당이 일부 관여함에도 불구하고 환원당 함량에 변화가 없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휘발성염기질소량의 경우는 가열처리에 의해 상당량 증가하였는데, 이는 단백질의 일부가 열분해되어 생성된 아민류나 암모니아와 같은 저분자 염기성물질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이에 따라 pH 값 역시 약간의 증가를 나타내었다.
굴 자숙향의 전구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80% methanol 추출성 엑스분을 열처리한 것의 아미노질소가 감량하는 이유는 무엇으로 판단되는가? 굴 자숙향의 전구물질을 확인하기 위해 80% methanol 추출성 엑스분을 100℃에서 30분간 가열처리한 후 굴 엑스분 조성의 변화를 살펴본 결과를 Table 6~8에 나타내었다. 80% methanol 추출성 굴 엑스분의 총질소량은 가열처리 후 약간 감소하였으며, 아미노질소량 역시 약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유리아미노산 등 저분자량의 질소성분들이 가열처리 중 일부 분해되었거나, Maillard 반응에 관여하여 약간씩 감소한 것으로 생각된다. 일반적으로 식품을 가열할 때 발생하는 냄새를 가열향기라고 부르는데, 이는 주로 식품성분 중 당-아미노기 성분 상호간에 일으키는 Maillard 반응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Ho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AOAC. 1995.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6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C, U.S.A., 69-74. 

  2. Bligh EG. and Dyer WG. 1959. A rapid method of total lipid extraction and purification. Can J Biochem Physiol 37, 911-917. 

  3. Cha YJ, Baek HH and Hsieh TC. 1992. Volatile components in flavor concentrates from crayfish processing waste. J Sci Food Agric 58, 239-243. 

  4. Cha YJ, Cadwallader KG and Baek HH. 1993. Volatile flavor components in snow crab cooker effluent and effluent concentrate. J Food Sci 58, 525-529. 

  5. Cha YJ and Kim EJ. 1996. Flavor compounds in powdered skipjack hydrolysate. J Korean Soc Food Sci Nutr 25, 617-626. 

  6. Choi BD and Ho CT. 1995. Volatile compounds of ascidian, Halocynthia roretzi. Korean Fish Soc 28, 761-769. 

  7. Chung HY 1999. Volatile components in crab meat of Charybdis feriatus. J Agric Food Chem 47, 2280-2287. 

  8. Fiske CH and Subbarow Y. 1925. Th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phosphorus. J Biol Chem 66, 375-377. 

  9. Hayashi T, Yamaguchi K and Konosu S. 1981. Sensory analysis of taste-active components in the extract of boiled snow crab meat. J Food Sci 46, 479-483. 

  10. Hayashi T, Ishii H and Shinohara A. 1990. Novel model experiment for cooking flavor research on crab leg meat. Food Reviews International 6, 521-536. 

  11. Heath HB and Reineccius G. 1986. Flavor Chemistry and Technology. MacMillan Pub., Basingstoke, U.K., 121. 

  12. Ho CT, Bruechert LJ, Zhang Y and Chiu EM. 1989. Thermal Generation of Aroma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5. 

  13. Ho CT and Carlin JT. 1989. Flavor Chemistry, Trend and Developments. American Chemical Society, Washington D.C., U.S.A., 92. 

  14. Kim DH. 1985. Food Chemistry. Tamgudang, Seoul, Korea, 155-157. 

  15. Koizumi C, Ohshima T and Lee EH. 1990. Volatile constituents of processed squid product. J Korean Soc Food Nutr 19, 547-554. 

  16. Konosu S and Kaisai E. 1961. Muscle extracts of aquatic animals-3. Bull Japan Soc Sci Fish 27, 194-198. 

  17. KSFSN(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2000. Handbook of Experimental in Food Science and Nutrition. Hyoil Pub. Co., Seoul, Korea, 627-629. 

  18. Moga JA and Sizer CE. 1973. Pyrazines in foods. J Agri Food Chem 21, 22-26. 

  19. Oh KS, Kang ST and Ho CT. 2001. Flavor constituents in enzyme hydrolysates from shore swimming crab and spotted shrimp. J Korean Soc Food Sci Nutr 30, 787-795. 

  20. Oh KS. 2002. The character impact compounds of odor evolved from cooked shore swimming crab flesh. J Korean Fish Soc 35, 122-129. 

  21. Ohara T. 1982. Food Analysis Handbook. Kenpakusha Pub. Co., Tokyo, Japan 51-55, 205-209, 264-267. 

  22. Ohshima T, Yokohama T, Wada S, Lee EH and Koizumi C. 1991. Studies on precursors of the odor evolved from cooked squid mantle flesh. Bull Japan Soc Sci Fish 57, 1743-175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