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confirm the distributon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in the South Sea of Korea, data on bycatch, stranding, and drifting of finless porpoises from 1999 to 2009 were used and a sighting survey was conducted from the R/V Tamgu No. 9 and 10 in June and November, 2009 and March, 201...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처럼 우리나라 서해안에서의 상괭이에 대한 연구는 몇몇 연구자들에 의해 수행되어오고 있지만 남해안 상괭이에 대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남해안에서의 상괭이에 대한 연구를 수행하는 데 있어서 가장 기초가 되는 분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하며, 이는 앞으로 남해안 상괭이의 자원량을 추정하고 상괭이 자원의 평가와 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제공하고자 한다.
  • 그러나 이러한 자료의 보고 및 관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으면 중요한 자료라 하더라도 이용하는 데는 한계에 부딪친다. 마찬가지로 본 연구의 대상 해역인 남해안에 상괭이의 혼획 및 좌초 (표류) 자료를 1999년부터 2009년까지 해양경찰서에 보고되어 있는 자료를 이용하고자 하였다. 보고된 개체수는 총 607마리였으나 혼획 및 좌초(표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자료가 186마리밖에 되지 않았고, 또한 여수를 중심으로 서부 해역에는 거의 보고된 자료가 없어 혼획 및 좌초 (표류)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판단하게 할 수 있다.
  • (2004)은 서해안 상괭이의 분포특성 및 풍도에 대한 연구결과에서 춘계와 하계 상괭이의 밀도차이를 계절에 따라 분포와 자원량의 변화에 기인한 것으로 볼 수 있으며, 또는 자원량의 변동에 기인된 것으로 볼 수 있음을 지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계절에 따른 분포변화를 확인하기 위하여 춘계, 하계 및 추계에 조사를 실시하였다. 일반적으로 기상에 따라 발견율이 달라지지만 이를 무시하고 나타난 결과를 보면, 상괭이의 분포는 춘계 및 하계 보다는 추계에 육지가 가까운 섬이나 내만으로 이동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상괭이 중 우리나라 서해에 분포하는 상괭이의 주 먹이는? 서해에서 각 생물군의 영양단계를 분석한 결과, 상괭이가 최고 포식자로 나타났으며, 생태계 기여도에 있어서도 높은 영양단계에 속하는 생물군으로 나타났다. 서해 상괭이의 주 먹이는 갑각류, 어류, 두족류 순으로 나타났으며, 생활 초기에는 새우류 등 갑각류를 주로 먹다가 성장하면서 두족류 및 어류와 같이 큰 먹이를 먹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족류와 어류 그리고 몇몇 새우류는 서해 어업에서 목표로 하는 종으로 상업적 가치가 커 수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언급하고 있다.
상괭이란? 상괭이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는 고래목 이빨고래아목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돌고래로 분포영역은 서쪽으로는 페르시아만에서 동쪽으로는 인도, 인도차이나 반도, 중국, 우리나라 연안을 따라 일본 북부까지 이르며, 남쪽으로는 자바의 북부 연안까지 이르고, 양쯔강에서는 바다로부터 약 1,600 km 상류에서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Jefferson and Hung, 2004). 우리나라는 서해에서 다량으로 관찰되고 남해와 동해의 섬 주변, 강 하구나 항 입구 혹은 항내에서도 주년 빈번히 관찰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Kim et al.
상괭이의 분포영역은? 상괭이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는 고래목 이빨고래아목 쇠돌고래과에 속하는 돌고래로 분포영역은 서쪽으로는 페르시아만에서 동쪽으로는 인도, 인도차이나 반도, 중국, 우리나라 연안을 따라 일본 북부까지 이르며, 남쪽으로는 자바의 북부 연안까지 이르고, 양쯔강에서는 바다로부터 약 1,600 km 상류에서도 발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Jefferson and Hung, 2004). 우리나라는 서해에서 다량으로 관찰되고 남해와 동해의 섬 주변, 강 하구나 항 입구 혹은 항내에서도 주년 빈번히 관찰된다고 보고하고 있다 (Kim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Jefferson TA, Hung SK, Law L, Torey M and Tregenza NS. 2002.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 in Hong Kong and adjacent waters of China. Raffles Bull Zool Suppl 10, 43-55. 

  2. Jefferson TA and Hung SK. 2004. Neophocaena phocaenoides, Mamm Sp 746, 1-12. 

  3. Kasuya T, Yamamoto Y and Iwatsuki T. 2002. Abundance decline in the finless porpoise population in the Inland Sea of Japan. Raffles Bull Zoo Suppl 10, 57-65. 

  4. Kim ZG, Choi SG, An YR, Kim HW and Park KJ. 2007. Whales, Dolphins and Porpoises off Korean Peninsula. Kim SG, Ha SR and Kim SH, eds. Hanguel Graphics press, Busan, Korea, 100-101. 

  5. MIFAFF. 2010. Statistic Database for bycatch and stranding of cetacean. Retrieved from http://10.27.6.30/index.jsp. 

  6. NFRDI. 2003. Report on ecological study of finless propoise in Korean waters. NFRDI, 121. 

  7. NFRDI. 2004. Report on ecological study of finless propoise in Korean waters. NFRDI, 96. 

  8. NFRDI. 2005. Report on ecological study of finless propoise in Korean waters. NFRDI, 108. 

  9. Park KJ. 2006. Populati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and stock assessment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in the western sea of Korea. ph.D. Thesis, Pukyong National University, Busan, Korea, 174. 

  10. Shirakihara K, Yoshida H, Shirakihara M and Takemura A. 1992. A questionnaire survey on the distribution of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in Japanese waters. Mar Mamm Sci 8, 160-164. 

  11. Shirakihara K, Shirakihara M and Yamamoto Y. 2007.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 in the Inland Sea of Japan. Mar Biol 150, 1025-1032. 

  12. Sohn H, Kim ZG, Miyashita T and Park KJ. 2001. Cruise report of the Korean whale sighting survey in the Yellow Sea, April-May 2001. SC/53/RMP22. Paper submitted at 53st meeting of the IWC/SC, 18. 

  13. Zhang CI and Lee JB. 2001. Stock assessment and management implications of horse mackerel (Trachurus japonicus) in Korean waters, based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cruitment and the ocean environment. Prog Oceanogr 49, 513-537. 

  14. Zhang CI, Park KJ, Kim ZG and Sohn H. 2004. Distribution and Abundance of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in the West Coast of Korea. J Kor Fish Soc 37, 129-136. 

  15. Yoshida H, Shirakihara K, Kishino H and Shirakihara M. 1997. A population size estimate of the finless porpoise, Neophocaena phocaenoides, from aerial sighting surveys in Ariake Sound and Tachibana Bay, Japan. Res Popul Ecol 39, 239-24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