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주민주도적인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기관의 역할 - 살기좋은마을만들기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The Role of Institution for Family-Friendly Community Initiated by Local People - The Case Study of Livable Community Making Projects - 원문보기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 Journal of family resource management, v.14 no.4, 2010년, pp.77 - 100  

차성란 (대전대학교 아동교육상담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Locals' initiating the community making projects is considered as a good approach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sustainability and government's budget. But there are not the local institutions' support, while local people alone may face difficulties in starting and managing the projects. This study...

주제어

참고문헌 (45)

  1. 강인남(2004). 희망을 나누며 하나되는 우리동네 38: 서울시 관악구 임대아파트 마을만들기 사례. 국토연구원. 국토 273, 119-123. 

  2. 강지원(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6: 안전한 거리조성, 주민모두 한마음-부천시 고강본동 '차없는 거리 조성사업'. 국토연구원. 국토 273, 105-111. 

  3. 강찬호(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6: 광명시의 마을만들기는 '현재 진행형'. 국토연구원. 국토 269, 120-125. 

  4. 구자인(2007). 기획특집: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주민주도 상향식의 농촌 마을 만들기-전라북도 진안군의 경험-. 도시와 빈곤 84, 55-68. 

  5. 김기원(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6: 더불어 사는 자치마을을 꿈꾸며-광명시 하안동 하안주공아파트 5단지-국토연구원. 국토 241, 77-81. 

  6. 김미영(2004). 살기좋은 우리동네 33: 우리가 꿈꾸는 녹색마을, 우리 손으로 만들어요-고양시 일산구 후곡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68, 124-127. 

  7. 김선기, 이소영(2007). 주민주도형 지역 만들기 추진 모형. 한국지방행정연구원. 

  8. 김선직, 김동윤(2009). 마을만들기의 전략적 실천방안에 관한 연구. 수도권연구 6, 29-54. 

  9. 김연희(2002). 살기좋은 우리동네 16: 어린이에게 안전한 통학로 만들기-서울시 은평구 녹번동-. 국토연구원. 국토 251, 102-107. 

  10. 김영, 이필용, 김남룡, 정규식(2008). 마을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순천시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도시행정학회 도시행정학보 21(3). 87-108. 

  11. 김종경(2002). 살기좋은 우리동네 14: 좋은 마을을 만들기 위한 작은 실험-춘천시 우두마을. 국토연구원. 국토 249, 56-60. 

  12. 김진숙(2002). 살기좋은 우리동네 10: 놀이터에 새로운 문화가 꽃핀다-서울시 강북구 미아 3동-. 국토연구원. 국토 245, 138-143. 

  13. 김태선(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8: 버려진 하천, 중랑천을 시민 곁으로. 국토연구원. 국토 263, 124-129. 

  14. 도선붕, 신창훈(2009). 마을만들기 실행주체별 전략구축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를 중심으로-. 지역사회발전학회논문집 34(2). 63-83. 

  15. 류승한(2007). 살고 싶은 '마을만들기'를 위한 전문가의 역할. 건축과 사회 9, 59-65. 

  16. 문귀남(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7: 창원의 환경실천단과 함께 한 우리 동네 '하천살리기'. 국토연구원. 국토 242, 64-68. 

  17. 박종숙(2001a). 살기좋은 우리동네 1: 내집마당에서 골목으로, 동네로, 지역으로-대구 삼덕동 골목공동체. 국토연구원. 국토 236, 104-108. 

  18. 박종숙(2001b). 살기좋은 우리동네 2: 부족한 문화시설, 우리 스스로 만들어요. 국토연구원. 국토 237, 111-115. 

  19. 박종숙(2001c). 살기좋은 우리동네 3: 공간을 디자인하는 주민들-서울시 동작구 사당3동 양지공원-국토연구원. 국토 238, 89-93. 

  20. 박종숙(2001d). 살기좋은 우리동네 4: 상인들이 일군 문화의 거리-인천시 부평구 부평시장. 국토연구원. 국토 239, 112-116. 

  21. 박종숙(2001e). 살기좋은 우리동네 5: 아름다운 거리를 위한 '주민과의 약속'-서울시 광진구 노유거리. 국토연구원. 국토 239, 117-121. 

  22. 배승룡(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2: 주민참여를 통한 희망의 장암마을 만들기-의정부시 장암동 주공1단지 아파트. 국토연구원. 국토 257, 68-72. 

  23. 보건복지가족부(2009).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24. 신중진, 송승현(2010).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를 위한 추진주체의 관계구도 특성 연구-살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범사업을 대상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6(1), 295-306. 

  25. 신중진, 신효진(2008).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계획과정에 관한 사례 연구.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4(2), 109-120. 

  26. 신효진(2006). 기획특집: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방법과 사례;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합의형성을 위한 프로세스와 워크숍의수법. 도시와 빈곤 83, 34-53. 

  27. 심재봉(2006). 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광주광역시 북구청을 중심으로-. 전남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논문. 

  28. 유홍번(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7: 시민단체. 행정. 주민이 함께 한 안산마을만들기운동. 국토 262, 92-100. 

  29. 윤경화(2009). 행복한 가정나눔 프로젝트: 다정한 이웃, 건강한 마을만들기-2009, 2010 여성부 공동협력사업-. 2009년도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109-128. 

  30. 이명규(2006). 살기좋은 국토공간 만들기: 살기좋은 국토공간만들기를 위한 주민참여와 협력방안-마을과 도시만들기를 중심으로, 대한지방행정공제회, 월간도시문제 41(451), 57-68. 

  31. 이소영(2006). 마을만들기에서 시민단체의 역할-서울시 북촌 지역을 사례로-. 공간과사회 25, 99-130. 

  32. 이송지, 김혜장, 이경란, 곽영선, 정영화(2009). 가족친화마을만들기 모델 개발을 위한 연구. 보건복지가족부 연구보고서. 

  33. 장준호, 윤영모(2001). 마을 만들기 활성화를 위한 행정지원방안에 관한 연구. 안양대학교 산업기술연구소. 자연과학연구 8, 191-204. 

  34. 정용옥(2003). 살기좋은 우리동네 23: '나'가 아닌 '우리'를 향한 첫걸음-사랑이 꽃피는 엘리베이터 모임이야기. 국토 258, 136-140. 

  35. 조성은(2010). 가족친화적 사회환경 조성을 위한 가족품앗이 사업 확대방안-공동육아 나눔터(육아정보나눔터) 운영을 중심으로. 2010 가족품앗이 사업 확대방안 토론회 자료집. 중앙건강가정지원센터. 

  36. 조연경, 김정민, 우신구(2009).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수법에 관한 연구-어린이 참여 디자인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 25(4), 205-216. 

  37. 차성란(2010). 가족친화마을만들기를 위한 모델 및 핵심요소.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2), 63-76. 

  38. 최봉익(2001). 살기좋은 우리동네 9: 좋은 동네는 좋은 가정에서 출발합니다-광주YMCA 좋은동네만드는사람들. 국토 244, 57-63. 

  39. 표준국어대사전(1999). 국립국어연구원. 

  40. 황희연(2007). 도시정비 참여주체와 주민참여지원센터의 역할. 건축 51(9), 48-51. 

  41. 행정자치부(2006).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모델 유형화 및 공모방안 수립연구. 행정자치부. 

  42. 행정자치부(2007). 살기좋은 지역만들기 성공매뉴얼 개발 연구. 연세대학교 도시문제연구소. 행정자치부. 

  43. 홍승아. 김혜영. 류연규. 소마나오코. 조순주. 진미정(2007). 가족친화적 지역사회모형개발연구. 한국여성정책연구원. 

  44. 법제처. www.moleg.go.kr 

  45. 안산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 www.happyansan.or.kr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