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공동체 의식 영향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Sense of Community for Build Rural Community 원문보기

농촌지도와 개발 = Journal of agricultural extension & community development, v.24 no.4, 2017년, pp.265 - 278  

당인숙 (연천군 안정행정과) ,  류진아 (신한대학교 사회복지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sense of community for build rural community. Data were collected from 205 local residents residing in Yeoncheon-gun where the community building project and education were undertaken to analyze the data. Data was analyzed by using analysis of hierarchical regression 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주민참여요인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공동체 의식 전체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면, 모델Ⅰ에서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직업(β=-.
  • 또한, 본 연구는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농촌지역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기 위해 주민에게 필요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및 실천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경기도의 농촌지역인 연천군의 사례를 중심으로 인구사회학적 요인과 주민참여 요인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 살펴봄으로써 농촌지역의 마을만들기 사업 및 프로그램 개발과 정책 방향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인적⋅물적 자원이 부족한 농촌지역 마을공동체가 활성화되기 위해 주민에게 필요한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 및 실천 개입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농촌 마을만들기 참여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대한 영향 요인을 살펴보았다.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과 제언을 하면 다음과 같다.
  •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사회심리학적 연구,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지역사회운동 연구, 지역통화운동이나 생태주의 입장을 통한 지역사회개발계획 연구,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 수준과 관련 변인 연구, 지역사회 결속력 수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이형하, 2005).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Adler의 개인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동체란? 공동체란 인간의 근원적인 욕구에 의해 발생되기도 하고, 현재의 삶을 유지하고 현재보다 더 나은 삶을 추구하려는 욕망을 실현시키기 위한 생존전략에 의해 형성된 사회집단으로서, 공동체 의식의 강화를 통해 지역사회의 건전한 발전을 가져올 수 있다(김성수, & 김경준, 1998; Chavis, & Wanderman, 1990). 인간은 사회적 관계 속에서 자신의 인생목표와 가치를 추구하는 창조적이고 통합적인 미래지향적으로 나아가는 존재이다(Adler, 1927).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는 공동체의식의 연구를 구분하면? 공동체 의식은 다양한 분야에서 연구되어 왔다. 인간관계의 상호작용을 중시하는 사회심리학적 연구, 주민들의 직접적인 참여를 강조하는 지역사회운동 연구, 지역통화운동이나 생태주의 입장을 통한 지역사회개발계획 연구, 지역사회 공동체 의식 수준과 관련 변인 연구, 지역사회 결속력 수준에 대한 탐색적 연구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이형하, 2005).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의식을 Adler의 개인심리학적 관점으로 접근하고자 한다.
도시집중화가 발생시킨 문제는? 인구의 도시집중화 경향이 계속되고 있지만 2015년 현재 전 세계 인구의 대략 46%는 농촌지역에 거주하고 있다(The World Bank, 2015). 인구의 도시집중화는 농촌의 인구 감소와 고령화 사회를 가져왔고, 농촌지역에 낮은 생산성, 불안정한 소득과 취약한 생활환경, 문화⋅복지시설의 부족 등 복합적인 문제를 가져왔다(안종현, 2008; 안중호, 2013). 최근 농촌지역은 이주, 사회 정의, 건강 불균형, 기술과 혁신에 대한 접근성의 악화 문제에 당면하고 있다(Battista-Frazee, 2015; Rural Social Work Caucus, 201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0)

  1. 강인성. (2007). 공공정책참여의 활성화를 위한 주민참여역량, 과정, 성과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학회보, 16(4), 29-56. 

  2. 구자인. (2007). 우리나라 마을만들기의 현단계와 과제. 지역농업연구원, 7, 60-68. 

  3. 권석만. (2014). 현대 심리치료와 상담이론. 서울: 학지사. 

  4. 김경희, 오대민, & 정충섭. (2017). 농촌 지역사회개발의 학습단계와 주민역량강화 - 자립형 농촌공동체 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농촌지도와 개발, 24(1), 49-61. 

  5. 김두순. (2016). 농촌 마을 역량의 축적. 농촌지도와 개발, 23(4), 431-439. 

  6. 김성수, & 김경준. (1998). 지역사회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지역사회개발연구, 23(2), 211-232. 

  7. 김수미. (2013). 주민참여 유형이 아파트공동체 의식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노원구.시흥시 아파트 주민 공동체 의식 비교를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석사학위논문. 

  8. 김세용. (2001). 지구단위계획에서 주민참여에 관한 연구. 대진논총, 9, 271-287. 

  9. 김영. (2008). 마을만들기 거버넌스 특성과 평가에 관한 연구. 도시행정학보, 21(3), 87-108. 

  10. 김우영. (2013). 은평구 마을공동체로 바라보는 주민참여사업. 공공사회연구, 3(2), 5-35. 

  11. 김정욱. (2014). 주민 공동체 의식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업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2. 김찬동. (2012). 마을공동체 복원을 통한 주민자치 실현방안. 서울연구원. 

  13. 김필두, & 윤준희. (2016). 주민의 공동체 의식이 마을만들기 참여자의 역할인식에 미치는 영향. 한국정책학회추계학술대회 겸 국제학술대회 자료집. 

  14. 김현아. (2015). 마을공동체 사업 참여경험과 의향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강남구 임대아파트를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5. 뉴거버넌스연구센터. (2007). 주민참여 촉진을 위한 민간 참여 현황분석. 서울: 행정자치부. 

  16. 라영균 역. (2009). 인간이해. 서울: 도서출판 일빛. 

  17. 류진아. (2003). 청소년의 인터넷중독에 영향을 마치는 생태체계 변인.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8. 박수현, 김태영, & 여관현. (2013). 문화마을만들기에서의 공동체 의식 형성요인 연구- 성남시 '우리동네문화공동체만들기'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5(5), 207-230. 

  19. 서재호. (2013). 주민자치 활동 참여와 공동체 의식.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24(2), 437-21. 

  20. 성희자, & 전보경. (2006). 농촌지역 주민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27(12), 149-170.459. 

  21. 신영선. (2012). 농촌마을 주민 공동체 의식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2. 신예철. (2012). 지역만들기에 있어서 지역공동체 역량이 지속적 참여와 참여확대에 미치는 영향 연구: 지역만들기 공동체와 지역문화활동 공동체의 역량 비교분석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심화섭. (2016). 마을만들기가 주민의 지역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4. 안종현. (2008). 농촌관광마을 만들기와 주민참여: 광양시 신촌마을과 장흥군 진목마을의 사례. 전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5. 안중호. (2013). 농촌마을 종합개발사업의 주민만족도 영향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양덕순, & 강영순. (2008). 지역공동체 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7(2), 105-125. 

  27. 연천군. (2016). 2015 연천군 연보. www.yeoncheon.go.kr 

  28. 이라영, & 신남수. (2009). 공동주택단지의 물리적 환경구성요소와 거주자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대학건축학회논문집, 26(7), 235-246. 

  29. 이은지. (2014). 지역사회개발을 위한 상향식 커뮤니티개발 모델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0. 이인숙. (2013). 공동체 의식이 주민참여형태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대문구를 중심으로. 성신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이정애. (2016), 격려집단상담 프로그램이 고등학생의 자기낙담과 사회적 관심에 미치는 영향. 계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2. 이재완. (2014).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의 주민참여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정책인 지도를 중심으로. 지방정부연구, 17(4), 409-437. 

  33. 이지혜. (2009). 마을만들기 사업에 있어서 주민참여도에 관한 영향구조 분석. 국토계획, 44(1), 73-85. 

  34. 이훈구 역. (2000). 지방행정론. 서울: 법문사. 

  35. 정민. (2013). 사회적 관심 척도의 개발과 타당화. 상담학연구, 14(4), 2571-2583. 

  36. 정민수, 조병희, & 이성천. (2007). 지역사회 자발적 결사체의 연결방과 지역사회역량. 보건행정학회지, 17(4), 54-81. 

  37. 최문형. (2013). 공동체 의식과 주민참여의 관계에 관한 연구: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8. 최문형, & 정문기. (2014). 공동체 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 서울특별시를 중심으로. 한국정책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39. 하병규. (2015). 공동체 의식이 주민참여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시 마을공동체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지방정부학회 학술발표논문집(pp. 205-225). 

  40. 허주열. (2009). 녹색성장시대의 농촌발전전략 모색 :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의 주민참여 특성에 관한 연구 -경상북도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지구를 중심으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1(3), 45-70. 

  41. Adler, A. (1927). Menschenkenntis. 2. Aufl., Leipzig. 

  42. Ansbach, H. L. (1968). The concept of social interest.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24(2), 28-46. 

  43. Arnstein, S, R.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the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35(4), 216-224. 

  44. Barlow, P. J., Tobin, D. J, & Schmidt, M. M. (2009). Social interest and positive psychology: positively aligned. The Journal of Individual Psychology, 65(3), 191-202. 

  45. Battista-Frazee, K. (2015). Rural social workers face own set of challenges. NASW News, 60, 1-4. 

  46. Boyd. N. M. (2017). Testing a theory sense of community and community responsibility in organizations: An empirical assessment of predictive capacity on employee well-being and organizational citizenship.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5(2), 210-229. 

  47. Brodsky, A. E., O’Campo, P. J., & Aronson, R. E. (1999) PSOC in community context: Multi-Level correlates of a measure of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low-income, urban neighborhood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7(6), 659-679. 

  48. Buckner, J. C. (1988). The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to measure neighborhood cohes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6), 771-791. 

  49. Caldwell, W. J., Ed. (2012). Rediscoverimg Thomas Adma: Rural planning and development in Canada. Vancouver, Canada: UBC Press. 

  50. Carlton-Laney, I., Burwell, N. Y., & White, C. (2013). Rural community practice: Organizing, planning, and development. In Weil, M., Reisch, M., & Ohmer, M. L., Eds., The handbook of community practice (pp. 461-478). Thousand Oaks, The USA: CA:Sage. 

  51. Cavaje, J. (2001). Rural community development- New challenges and enduring dilemmas. Journal of Regional Analysis and Policy, 31, 109-124. 

  52. Chavis D. M., & Wanderman, A.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55-81. 

  53. Colombo, M., Moss, C., & Piccoli, N. D. (2001). Sense of community and participation in urban contex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11, 457-464. 

  54. Costa Jr, P. T., & McCrae, R. R. (1992). Revised NEO Personality Inventory(NEO-PI-R) and NEO Five-Factor Inventory (NEO-FFI) professional manual. Odessa, FL: Psychological Assessment Resources. 

  55. Davidson, W. B., & Cotter. P. R. (1986). Measurement of sense of community within the sphere of c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6, 771-791. 

  56. Derret, 2R. (2003). Making sense of how festival demonstrate a community’s sense of place. Event Management, 8, 49-58. 

  57. Durstan, G. (1994). Becoming coastwise, the path of festivals and cultural tourism: Landscape and lifestyle choices for the northern river of NSW. Lismore, Austrailia: Southern Cross University. 

  58. Dreikurs, R. (1987). Children: The challenge. New York, The USA: Dutton. 

  59. Farrell, S., Aubry, t., & Coulombe, d. (2004). Neighborhoods and neighbors: Do they contribute to personal well-being.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2(1), 9-25. 

  60. Hill, G. H. (1996).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431-438. 

  61. Hjelle, L. A., & Ziegler, D. J. (1981). Personality Theories: Basic assumptions, researches and applications. New York, The USA: McGrow Hill. 

  62. Hoffman, M. L.(2000) Empathy and Moral Development: Implications for caring and justice.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63. Hombrados-Mendieta, I., Gomez-Jacinto, L., & Dominguez, J. M. (2009). The impact of immigrants on the sense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6), 671-683. 

  64. Kaufaman, J. (2007). Sacralizing separation. Sociological Forum, 22(4), 584-587. 

  65. Liu, & Besser. (2008). Social capital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improvement activities by elderly residents in small towns and rural communities. Rural Sociology, 68(8), 848-865. 

  66. Long, D. A., & Perkins, D. D. (2007). Community social and place predictors of sense of community: A multilevel and longitudinal analysis.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5(5), 563-581. 

  67. Lounsbury, J. W., & DeNeui, D. (1996). Collegiat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relation to size of college/university and extrovers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4(4), 381-3941. 

  68. Lounsbury, J. W., Sundstorm, E., Loveland, J. M., & Gibson, L. C. (2003) Intelligence, ''big five'' personality traits, and work drive as predictors of course grade.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35, 1231-1239. 

  69. Mannarini, T., & Fedi, A. (2009) Multiple senses of community: the experience and meaning of communit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37(2), 211-227. 

  70. McMillan, D. W., & Chavis, D. M. (1986). Sense of community: A definition and theory.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4(1), 6-23. 

  71. Mehrabian, A., & Epstein, N.(1972) A measure of emotional empathy. Journal of Personality 40, 525-543. 

  72. Minkler, M. Ed. (2012). Community Organizing and community building for health and welfare (3ed). New Jersey, The USA: Ruters University Press. 

  73. Nasar, J. L., & Julian, D. A. (1995)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in the neighborhood. Journal of American Planning Association, 61(2), 178-184. 

  74. Nowell, B., & Boyd, N. M. (2014). Sense of community responsibility in community collaboratives: Advancing a theory of community as resource and responsibility.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54(3-4), 229-243. 

  75. Perkins, D. D., Florin, P., Richard, C. R., Chavis, D. (1990). Participation and the social and physical environment of residential blocks: Crime and community context.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83-115. 

  76. Plas, J. M., & Kewis, S. E. (1996) Environmental factors and sense of community in a planned town. Communty Psychology, 24(1), 109-143. 

  77. Pothukuchi, K. (2005). Attracting supermarkets to inner-city neighborhoods: Economic development outside the box. Economic Development Quarterly, 19, 232-244. 

  78. Prezza, M., & Costantini, S. (1998).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investigation in three different territorial contexts. Journal of Applied Social Psychology, 8(3), 181-194. 

  79. Robinson, D., & Wilkinson, D. (1995). Sense of communitr to social climate in remotemining tow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23, 137-148. 

  80. Rural Social Work Caucus. (2016). Rural social work caucus. http://ruralsocialeork.org/ 

  81. Santiago, A. M., Gutierrez, L. M., & Soska, T. M. (2016). Remembering the other 46: Community organizing, planning and development in rural areas. Published online http://doi.org/ 

  82. Sarason, S. B. (1974). The psychological sense of community: Prospects for community psychology. Oxford, England: Jossey-Bass. 

  83. Spinks, D. (2013). The psychology of communities: 4 factors that create a "sense of community". Retrieved December, 18, 2017, from http://thecommunitymanager.com 

  84. The World Bank. (2015). Rural population as a percent of total population. Retrieved December, 18, 2017, from http://data.worldbank.org/indicator/SP.PUR.TOTL.ZS 

  85. Wallack, L., Dorfman, L., Jernigon, D., Themba, M. (1993). Media Advocacy and Public Health: Power for Prevention. Thousand Oaks, The USA: CA:Sage. 

  86. Wheatley, M. J., & Kellner-Rogers, M. (1998). The paradox and promise of community. In F. Hesselbein, M. Goldsmith, R. Beckhard, & R. F. Schubert (Eds.), The community of the future. San Francisco: Jossey-Bass Publishers. 

  87. Wilson, G., & Baldassare, M. (1996). Overall sense of community in a suburban region: The effects of localism, privacy, and urbanization. Environment and Behavior, 28, 27-43. 

  88. Woldoff, R. A. (2002. The effect of local stressors on neighborhood attachment. Social Forces, 81(1), 87-106. 

  89. Xin, Z., Z., Yang, & Ling, X. (2017).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matters in the community context: Relationship of self-construal with community identity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5(8), 1050-1064. 

  90. Zhang, J., Yu, N/ X., Zhang, J., & Zhou, M. (2017). Sense of community and life satisfaction in chinese older adults: Moderating roles of personal and partner resilience.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45(5), 577-58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