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WBS 기반의 국책 건설사업 기록물 분류체계에 대한 연구
A Study on the Classification System of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 based on WBS 원문보기

정보관리연구 =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41 no.1, 2010년, pp.173 - 200  

정기애 (서울시립대학교 경영학) ,  정국환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  김창하 (중앙대학교 일반대학원 기록관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정부 주도하에 정책적으로 이루어지는 국책 건설사업은 국가의 사회간접자본시설에 주로 집중되며 상당한 국가예산이 투입되고 관련 분야의 전문적 역량이 총체적으로 투입되는 장기적 사업이다. 일반적으로 사회기반시설은 반영구 혹은 영구적 국가 자산으로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른 기록물 또한 해당 시설물의 수명기간 동안 보존 활용되어야 한다. 또한 국책사업 특성상 다양한 이해관계자 간의 유기적 협의체계를 지원하고 오랜 기간 동안 일관된 문서 및 기록관리체계를 유지하기 위해서는 기관별 특성을 최대한 배제한 사업 역무 위주의 표준화된 분류체계의 수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국책사업 기록물의 분류체계는 사업 자체 업무 분석을 근거로 사업 업무분류체계(WBS : Work Breakdown Structure)를 기반으로 수립되어야 한다. WBS는 프로젝트 관리(PM) 분야에서 통상적인 사업관리 기법으로 업무구분을 위해 사업초기에 수립되며, 프로젝트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인도물을 산출하기 위하여 프로젝트 팀이 실행할 작업을 인도물 중심으로 분할한 계층 구조체계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WBS에 기반한 국책사업 기록물 분류체계 수립에 대한 구체적인 사례와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현 관리, 행정기록물 중심의 기록물 분류 체계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National construction project for SOC(Social Overhead Capital) is led by the government and invested high cost and all capabilities for long times. In general case the life times of SOC facilities are permanently. According to the long life time of the facilities documents and records of national pr...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분류체계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1) 유일성 : 분류 항목의 명칭과 의미가 유일해야 한다. 2) 일관성 : 계층, 항목에 대한 정의 및 방법 등에서 일관된 원칙과 기준을 가져야 한다. 3) 포괄성 : 분류하고자 하는 대상이 모두분류될 수 있어야 한다. 4) 연속성 : 기존의 분류체계를 무리 없이계승할 수 있어야 한다. 5) 미래 환경변화 수용성 : 새로운 기술의등장 및 환경의 변화에 적응 및 확장이가능한 체계를 가져야 한다. 6) 타 분야 호환성 : 유사 분야의 분류체계와 조화를 이룰 수 있어야 한다.
국책사업은 무엇인가? 대규모 공공서비스를 공급함에 있어서 국가가 주도적으로 재원을 조달하여 시행하는 총 사업비가 약 500억원 이상 인 대규모 개발사업을 통상적으로 ‘국책사업’이라고 한다. 국책사업은 일반적으로 정부주도하에 정책적으로 이루어지며, 사업의 종류나 특성, 기능 등의 분류에 의한 정의가 아니라 사업규모, 사업주체를 기준한 용어라고 할 수 있다.
국책사업의 범위는 어디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져 있나? 국책사업의 범위는 대부분 도로, 항만, 공항, 댐 등 사회간접자본시설(SOC : Social Over- head Capital)에 집중적으로 이루어지고 있고, 국가경쟁력 확보라는 동일한 목표를 지향한다는 점에서 각 국가마다 유사성을 띄고 있다. 정부주도하에서 이루어지는 국책사업은 상당한 국가예산이 투입되고 관련 분야의 전문적 역량이 총체적으로 투입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5)

  1. 건설기술연구원. 1999. 통합건설정보 분류체계(안). 서울: 건설기술연구원. 

  2. 국가기록원. 2006. 기록관리 국가 표준 KS X ISO 15489 해설, 대전: 국가기록원 

  3. 국가기록원. 2009. 국가기록관리 선진화 전략 종합실천계획(안), 312. 

  4. 국가기록원. 2006. 기록관리 국가표준 KS X ISO 15489 해설. 

  5. 국가기록원. 기록관리자서비스: 표준화개요. [인용 2008.11.16]. . 

  6. 김현주, 박용규, 강신겸. 1999. 대형 국책사업의 효율적 추진 방안. 서울: 삼성경제연구소. 

  7. 김형진, 박찬석. 2009. 정보기술아키텍처 도입 기관의 IT Governance 유형에 관한 연구. 정보화정책, 16(1): 22-44. 

  8. 문정호, 송병관. 2003. 건설산업의 PMIS개발 현황과 발전 방안. 서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48. 

  9. 설문원. 2006. 공공업무의 체계적 기록화를 위한 보유일정표 설계 방안.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0(4): 199-219. 

  10. 오규명. 2008. 원자력시설의 전자매체 품질보증기록 관리 규제지침서, 한국원자력안전협회, 21. 

  11. 오명갑. 2009. 대형건설사업 PM사례 및 시사점, 제 1회 KAIST PM기술세미나 발표자료. 

  12. 오은호. 2001. ISO 건설정보 분류체계의 최근동향. 건설기술정보지, 206호: 24-26. 

  13. 윤은상, 이화기. 2003. SOC사업의 정보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원자력발전소건설 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산업경영시스템학회지, 26(2): 46-54. 

  14. 윤은상, 김성춘 외. 2008. 대규모 건설사업에 대한 사업번호체계 구축 사례 연구. 프로젝트경영지, 59호: 46-53. 

  15. 윤의수, 김병호. 2002. PMP수험서. 서울: 소동, 196. 

  16. 윤영선. 2008. 한국 건설문화의 특성 및 혁신 방향. 서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17. 이홍일. 2008. 건설업 사회공헌 실태조사 및 발전방안 연구. 서울: 한국건설산업연구원, 28-29. 

  18. 이상민. 2009. 국제기록경영표준의 동향과 한국에서의 영향 및 전망, 국제기록경영시스템 표준 컨퍼런스 발표자료. 

  19. 이재성. 2007. 포트폴리오 매니지먼트,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영대학원 교육교재, 55. 

  20. 정기애, 남영준. 2008. KM기반의 기록관리 및 일반 자료관리 통합화 연구 : 공기업을 중심으로. 한국비블리아학회지, 19(2): 23-43. 

  21. 정기애. 2006. 프로젝트 경험기록의 지식자원화 전략 연구. 프로젝트 관리기술, 52, 26-39. 

  22. 정기애, 김유승. 2009. 공공기록물 관리에 관한 법률 개선 방향에 관한 연구: KS X ISO 15489표준에 입각하여. 정보관리학회지, 26(1): 231-257. 

  23. 정기애, 김유승. 2009. 공공기관의 기록관리와 경영품질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문헌정보학회지, 43(3): 31-58. 

  24. 정기애. 2007. 기업의 기록관리 정책 수리비과 기록물처리일정표 적용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중앙대학교 대학원. 

  25. 최철승. 2008. 건설프로젝트의 리스크 관리, 한국전력기술(주), 55. 

  26. 홍성화, 서태설. 2004. 분류체계 일치를 통한 과학기술정보 상호 보관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 정보관리연구, 35(3): 109-123. 

  27. 荒木正 - 外. 1998. 社會資本の費用效果分析法. 東京: 東洋經濟新報社. 

  28. 회사 품질보증 교육교재, 2008. 한국전력기술주식회사, 60. 

  29. 한국전력기술(주), 2009, Enterprise Architecture, 78. 

  30. DIMS. 2008. 기록경영과 컴플라이언스 소개, 10. 

  31. Edlinger, P. 2002. Information Strategy at the Bechtel Corporation, Bechtel. 

  32. Ellis, Judith. 2009. Better Records-Better Business, 국제 기록경영시스템표준 컨퍼런스. 35-71(57). 

  33. Kentro Ito. 2005. 프로젝트는 왜 실패하는가. 이소연 역, 서울: 성안당, 213. 

  34. Goulding, G. 2009. 뉴질랜드의 RMS 표준화 현황. 2009년 기록관리 표준포럼, 대전: 국가기록원. 

  35. Lemieux, V.L. 2004. Managing Risks for Records and Information, ARMA International. 

  36. Upward, Frank. 1997. Based on a diagrammatic representation of the records continuum developed. Manash University, 278-281 

  37. Reed, Babra. 2009, 호주의 EDRMS 표준화 현황. 2009년 기록관리 표준포럼, 대전: 국가기록원. 

  38. Shepherd, Elizageth, Yeo, Geoffery. 2003. Managing Records : A handbook of principles and practice. London: Facet Publishing. 

  39. Tupenaite, L.. Kanapeckiene,L., 2008, Knowledge Management for Construction Projects, the 8th International Conf. Reliability and Statistics in Transportation and Communication, 313-320. 

  40. Wilson, D. & Collier, D. 2000. "An empirical investigation of the Malcolm Baldrige national quality award causal model." Decision Sciences, 31(2): 361-390. 

  41. Wimmer, M. A. 2004, Knowledge Management in Electronic Government, 5th IFIP International Working Conference, KMGoV 2004, Krems, Austria, May 2004 Proceedings, 342. 

  42. KS X ISO/TR 26122, 문헌정보-기록을 위한 업무과정 분석, 2008 

  43. 이해정, 2008, 프로젝트 관리 개요, PMBOK에서 재인용. 

  44. ANSI/PMI 99-001-2004, 프로젝트관리 지식 체계 지침서 ; PMBOK 지침서 제3판, 2004. 

  45. ANSI/PMI 99-001-2004, 프로젝트관리 지식 체계 지침서 제3판, 2004. 43 (124). 

  46. KS X ISO 15489-9.2항 

  47. ISO 22310/NP 2006. Information and documentation - Guidelines for standards dfafters for stating records management requirements in standards., 4-5 

  48. EPRI NP-6295. 1989. Guidelines for Quality Records in Electronic Media for Nuclear Facilities. 

  49. KS X ISO 15489 - 제1부 : 일반사항, 2007, 9.5.1항 

  50. KS X ISO 15489 - 제2부 :지침, 2007. 4.2.2.2 항 

  51. Bechtel EDP(Engineering Department Procedure)-5.16, 5.31, 5.32 

  52.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제4조 

  53.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 제3조 제1호; 동법 시행령 제3조. 

  54. 공공기록물관리에관한법률시행령 제4조 제3항. 

  55. 한국표준협회 홈페이지. [인용 2009.06.12].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