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건설사업관리자(CMr) 측면에서의 WBS와 OBS의 실무적 활용도 분석 및 연계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Practical Utilization Analysis and Linkage Scheme of WBS and OBS from the Construction Manager (CMr) Perspective 원문보기

한국건설관리학회논문집 =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v.21 no.3, 2020년, pp.57 - 64  

양진국 (동의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전공) ,  서보람 (동의대학교 건설관리연구실) ,  이상범 (동의대학교 건설공학부 건축공학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건설사업관리는 다양한 업무를 수행하며, 그 중 작업분류체계(WBS)와 조직분류체계(OBS)의 구축은 핵심 업무의 하나이다. 하지만 현행 건설사업관리 업무에서는 WBS와 OBS의 실무적 활용도가 낮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BS와 OBS의 이해도, 활용수준, 적용효과, 연계성을 분석하기 위해 관련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건설사업관리자(CMr)가 적용할 수 있도록 WBS와 OBS의 표준화와 연계성이 확보되어야 한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에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워크샵을 통해 관리통제 요인을 추출한 후 AHP 중요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중요도 분석 결과 WBS와 OBS의 연계성 강화와 WBS의 변경으로 인한 OBS 업데이트의 중요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제시된 결과는 직접적인 해결책은 아니지만, 건설관리자들이 고려해야할 기준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struction management performs a variety of tasks, and the buildup of the WBS and OBS is one of the core tasks. However, the practical utilization of WBS and OBS is low in the current construction management work. In this study, we conducted a survey of related experts to analyze the understanding...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지금까지의 WBS는 대부분 시공자의 관점에서 시공업무 및 EVMS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구축되어 활용되어 왔다. 본 연구는 건설관리자(CMr)의 측면에서 표준화된 WBS의 개발방향과 이에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OBS 구축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WBS와 OBS의 실무적 활용수준을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CM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워크샵을 실시하여 핵심적 프로젝트 관리기법인 WBS와 OBS 실무적 연계방안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인터뷰의 목적은 전문가 설문조사에서 나타난 공통된 문제를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다. 이에 건설사업관리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CM 실무전문가 4인(CM 실무경력 15년 이상 현장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 본 장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실무에서의 WBS와 OBS의 인식도와 활용수준을 분석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자 한다.
  • 본 절에서는 앞서 정리된 전문가 주요 의견을 바탕으로 WBS와 OBS의 실무연계 강화를 위한 관리요인을 추출하였다. 1차적으로 전문가 브레인스토밍을 통해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하여 해결방향 설정을 한 후 브레인라이팅(brain writing)2) 방법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건설관리자(CMr)의 측면에서 표준화된 WBS의 개발방향과 이에 효과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OBS 구축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WBS와 OBS의 실무적 활용수준을 파악한 후 그 결과를 바탕으로 CM 전문가 심층인터뷰와 워크샵을 실시하여 핵심적 프로젝트 관리기법인 WBS와 OBS 실무적 연계방안을 분석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 이상과 같이 WBS와 OBS의 역할이 중요한데도 불구하고 건설사업관리 실무에서는 적용은 되고 있지만 실질적 활용도가 높지 않다고 지적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WBS와 OBS의 활용수준을 파악하기 위하여 전문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WBS와 OBS의 연계성을 강화시키는 것이 적용성 및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으로 나타났다.
  • 앞서 전문가 설문조사 분석결과를 종합해볼 때, 대부분의 전문가들은 WBS와 OBS 적용을 통한 업무의 효율성 확보와 상호 연계를 통한 책임할당의 필요성을 지적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건설사업관리 업무에 적용을 위한 WBS와 OBS의 합리적 적용방안과 연계성 강화를 위해 CM 전문가 심층인터뷰를 진행하고자 한다.
  • 따라서 건설사업관리자가 체계적 관리업무를 실시하기 위해서는 실무적 활용도가 높은 WBS와 OBS의 연계활용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질적 활용이 되지 않는 근원적 원인을 분석하고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 이에 건설사업관리 실무를 담당하고 있는 CM 실무전문가 4인(CM 실무경력 15년 이상 현장전문가 4인)을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주요내용은 건설사업관리자 측면에서의 WBS와 OBS의 활용성과 연계성을 강화할 수 있는 핵심항목을 추출하는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9)

  1. Choi, B.J., Cui, Xian, Choi, S.W., and Kim, O.K. (2008). "The Improvement Plan of Organization Management Through the Survey of Actual Condition in Construction Work."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Building Construction, 8(2), pp. 121-129. 

  2. Yoon, C.J., and Jang, S.Y. (2014). "Management of research and development project of applying the WBS." The Korean Society for Railway Conference, 2014(10), pp. 427-433. 

  3. Kim, D.H., and Kim, J.J. (1996). "A Work Breakdown Structure - based Process Model for Construction Planning and Scheduling."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Spring Conference, 16(1), pp. 429-446. 

  4. Lee, D.H., Kim, S.K., Kim, M.K., and Shin, D.H. (2010). "An Analysis of Managerial and Organizational Status of Korean Construction Firm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1(1), pp. 38-48. 

  5. Supriadi, L.S.R., Wisesatama, B., and Latief, Y. (2018). "Development of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dictionary for road construction works." IOP Conference Series Earth and Environmental Science, 195(1), pp. 1-7. 

  6. Said Abujudeh (2018). "Improving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of the Plant Installation - Case: Asphalt Plant." International Journal of Engineering and Management Sciences, 3(5), pp. 174-187. 

  7. Yang, J.K. (2014). "Potential Value Improvement Target Choice Methodology (PVTCM) in Construction Projects."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15(4), pp. 11-19. 

  8. Ibrahim, Y.M. et al. (2007). "SEMI-AUTOMATIC DEVELOPMENT OF THE WORK BREAKDOWN STRUCTURE (WBS) FOR CONSTRUCTION PROJECTS." 4th International SCRI Research Symposium, Salford, pp. 133-145. 

  9. Yun, S.H., and Kim, S.S. (2005). "Using the common-WBS based on the Construction Classification System for the integration of Schedule and Cost information." Korean Journal of Construction Engineering and Management, KICEM, 6(6), pp. 107-11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