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actobacillus bulgaricus 와 Streptococcus thermophilus 의 단독 또는 혼합배양한 메밀싹 첨가 요구르트의 발효 특성
Effect of Single or Mixed Cultur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 Streptococcus thermophilus on Fermentation Characteristics of Buckwheat Sprout-added Yoghurt 원문보기

韓國食生活文化學會誌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Culture, v.25 no.1, 2010년, pp.76 - 81  

강하니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 ,  김철재 (숙명여자대학교 생활과학대학 식품영양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Lactobacillus bulgaricus and/or Sterptococcus thermophilus on the fermentation of yoghurt containing 5% (w/v) buckwheat sprouts. The results revealed that after 12 hours of fermentation the appropriate pH, titratable acidity and number of viabl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유산균 균주를 달리하여, 메밀싹을 첨가한 요구르트 발효시 산 생성과 유산균의 생육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였다.

가설 설정

  • 1)Free radical scavenging activity is measured at 12-hour after fermentation.
  • 2)Values in different superscript capital letters in the same row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2)Values in different superscripts in a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 3)Values in different superscript small letters in the same column are significantly different (p<0.05).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Probiotics의 능력은? 이러한 정의는 그 후 ‘토착 균총을 개선시킴으로서 인간과 동물에 유익한 하나 또는 다수의 미생물 배양체’ 그 의미가 약간 확대되었다(Havenaar 등 1992). 이 미생물 집단은 일반적으로 숙주에 정착하여 유해세균을 억제하거나 배제하거나 산을 생성하거나 병원체의 성장에 항균적 작용을 하는 과산화수소나 박테리오신을 생산하는 능력을 내포하고 있으며, 그 효과로 위장질병의 예방과 면역 증강 및 항돌연변이, 항암 활성 등이 보고되고 있다(Tannock 등 1988; Fuller & Gibson 1997; Kimura 등 1997). 이들 probiotic 세균의 대표적인 미생물로서 유산균은 발효 유제품 및 유산균 정장제 및 생균제 등으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고 probiotic 유산균으로 Lactobacillus acidophilus, Lactobacillus delbrueckii subsp.
유산균은 최초 발견은 언제인가? 유산균은 1857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Louis Pasteur)에 의해서 최초 발견된 미생물로서 발견 당시에는 포도주를 신맛(Sour)이 나게 만드는 백해무익한 균으로 알려졌으나 연구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균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Shahani & Chandan 1979) 지금까지 300~400여 종류가 밝혀졌고 그 중 20여 종류가 주로 발효유 제조 및 발효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유산균을 크게 나누어 분류하면 간균(桿菌) 모양을 한 Lactobacillus 속, 구균인 Lactococcus 속, Streptococcus 속, Leuconostoc 속, Pediococcus 속 그리고 모유를 먹는 유아의 장내에 주로 많이 존재하며, 부정형이고 Hetero 발효형태로서, 혐기성 박테리아인 Bifidobacterium 속으로 대별할 수 있다.
유산균은 어떻게 분류되는가? 유산균은 1857년 프랑스의 유명한 미생물학자 파스퇴르(Louis Pasteur)에 의해서 최초 발견된 미생물로서 발견 당시에는 포도주를 신맛(Sour)이 나게 만드는 백해무익한 균으로 알려졌으나 연구를 통해 인체에 유익한 균으로 발전하게 되었으며(Shahani & Chandan 1979) 지금까지 300~400여 종류가 밝혀졌고 그 중 20여 종류가 주로 발효유 제조 및 발효산업에 이용되고 있다. 유산균을 크게 나누어 분류하면 간균(桿菌) 모양을 한 Lactobacillus 속, 구균인 Lactococcus 속, Streptococcus 속, Leuconostoc 속, Pediococcus 속 그리고 모유를 먹는 유아의 장내에 주로 많이 존재하며, 부정형이고 Hetero 발효형태로서, 혐기성 박테리아인 Bifidobacterium 속으로 대별할 수 있다. Probiotics란 ‘장내 미생물의 균형을 개선시킴으로서 동물에 유익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살아있는 미생물 제재’로 정의할 수 있다(Fuller 198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YT, Lim KS, Huh CS. 2006. Current state of functional yoghurt in Korea. Korean J. Dairy Technol. and Sci., 46(4):677-686 

  2. Baek YJ, Bae HS, Kim HY. 1991. In vivo antitumor effects of lactic acid bacteria on Sarcoma 180 and mouse Lewis Lung Carcinoma. Cancer Research and Treatment, 23(2):188-197 

  3. Cho YS, Kwon OC, Ok M, Shin SR. 2003. Preparation of yogurt supplemented with sweet persimmon powder and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Food Preservation, 10(2):175-181 

  4. Fuller R. 1989. Probiotics of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365-378 

  5. Fuller R, Gibson GR. 1997. Modification of the intestinal microflora using probiotics and prebiotics. Scand. J. Gastroenterol., 222:28-31 

  6. Galesloot, TE, Hassing, F., Vergian, HA. 1968. Symbiosis in yoghurt (I). Stimulation of L. bulgaricus by factor produced by S. thermophilus. Neth. Milk and Dairy J., 22:50 

  7. Havenaar R, Brink BT, Huis in't Veld JHJ. 1992. Selection of strains for probiotics use. Probiotics. R. Fuller, ed. Chapman & Hall, London, pp 209-224 

  8. Hood SK, Zottola EA. 1988. Effect of low pH on the ability of Lactobacillus acidophilus toe survive and adhere to human intestinal cells. J. Food Sci., 53:1541-1561 

  9. Hwang EJ, Lee SY, Kwon SJ, Park MH, Boo HO. 2006. Antioxidative, antimicrobial and cytotoxic activities of Fagopyrum esculentum Moench extract in germinated seeds. Korean J. Medical Crop. Sci., 14(1):1-7 

  10. Kang HN, 2008. Preparation of Yoghurt with Addition of Buckwheat Sprout and its Fementation Characteristics. Masters degree thesis. Sookmyung Women's University 

  11. Kim YS, Kim JG, Lee YS, Kang IJ. 2005. Comparison of the chemical components of buckwheat seed and sprout. Korean J. Soc. Food Sci. Nutri., 34(1):81-86 

  12. Kimura K, McCartney AL, McConell MA, Tannock GW. 1997. Analysis of fecal populations of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and investigation of the immunological response of their human hosts to the predominant strains. Appl. Environ. Micobiol. 63:3394-3398 

  13. Lee EH, Kim CJ. 2008. Nutritional changes of buckwheat during germination. Korean J. Food Culture, 23(1):121-129 

  14. Lee LS, Paek KY. 2003. Preparation and quality characteristics of yoghurt added with cultured ginseng. Korean J. Food Sci. Technol, 35:235-241 

  15. Lee JS, Han PJ, Suh KB. 1972. Studies on production of modified yoghurt (soy cream) from soybean milk (I). Korean J. Food Sci. Technol., 4(3):194-199 

  16. Lee, SH, Koo, YJ, Shin DH. 1988. Pysicochemical and bacteriological properties of yoghurt made by single or mixed cultures of L. bulgaricus and S. thermophilus. Korean J. Food Sci. Technol., 20(2):140-147 

  17. Lee YW. 1997. Effect of fermented milk on the blood cholesterol level of Korean. J. Fd Hyg. Safety, 12(1):83-96 

  18. Lin MY, Yen CL. 1999. Reactive oxygen species and lipid peroxidation product-scavenging ability of yoghurt organisms. J. Dairy Sci., 82:1629-1634 

  19. Ly SY, Shin JR, Lim SH. 2003. Effect of drinking fermented milk on the improvement of defecation in constipated female students. Korean J. Living Sci. Association, 12(2):265-274 

  20. Ohara T, Ohinata H, Muramatsu N, Matsuhashi T. 1989. Determination of rutin in buckwheat foods by high 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 Nippon Shokuhin Koygy Gakkaishi, 36:114-117 

  21. Rasic JL, Kurmann JA. 1978. Yoghurt. Technical Diary Publishing House. Copenhagen, 103 

  22. Shahani KM, Chandan RC. 1979. Nutritional and healthful aspects of cultured and culture containing dairy foods. J. Dairy Sci., 62:1685-1694 

  23. Shin YM, Son CW, Sim HJ, Kim MH. 2008. Quality characteristics and antioxidant activity of Spirulina added yoghurt. Korean J. Soc. Food Cookery Sci., 24(1):68-75 

  24. Shin YS, Lee KS, Lee JS, Lee CH. 1995. Preparation of yogurt added with Aloe vera and its quality characteristics. Korean J. Soc. Food Sci. Nutri,.24(2):254-260 

  25. Suh HJ, Kim YS, Kim JM, Lee H. 2006. Effect of mulberry extract on the growth of yoghurt starter cultures.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6:144-147 

  26. Swain T, Hillis WE, Oritega M. 1959. Phenolic constituents of Ptunus domestica. I. Quantitative analysis of phenolic constituents. J. Sci. Food Agri., 10:83-88 

  27. Tannock GW, Crichton C, Welling GW, Koopman JP, Midtvedt T. 1988. Reconstitution of the gastrointestinal microflora of lactobacillus-free mice. Appl. Environ. Microbiol. 54:2971-2975 

  28. Vergian, HA., Galesloot, TE, Davelaar, H. 1968. Symbiosis in yoghurt (II). Isolation and identification of a growth factor for L. bulgaricus produced by S. thermophilus. Neth. Milk and Dairy J., 22:115 

  29. Yang SJ, Yoon JW, Seo KS, Koo HC, Kim SH, Bae HS, Baek YJ, Park YH. 1999. Prophylactic effects of Bifidobacterium longum HY8001 against Escherichia coli O157:H7 and Salmonella typhimurium DT104 enteric infection and evaluation of vero cytotoxin neutralizing effects. Korean Soc. Microbiol. Biotechnol., 27(5):419-42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