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대상 a'를 향한 욕망의 상징적 실현
The Symbolic Realization of Desire Pursuing "Object A"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3 no.11, 2010년, pp.1706 - 1714  

최원호 (동서대학교 디지털콘텐츠학부)

초록

주체는 의식과 무의식의 상호작용에 따라 구축되고, 주체의 욕망도 이 과정을 통해 끊임없이 생산되면서 변화한다. 그러나 의식적 주체는 욕망의 명확한 실체를 파악하지 못한다. 무의식의 순수한 욕망은 언어와 법의 영역인 상징계의 질서와 전혀 무관하며, 순수한 욕망만을 추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의식과 초자아에 의해 검열되어 상징계에서 기각된 무의식의 욕망은 영화라는 환상의 무대를 통해 실재계의 간극을 드러내면서 끝임 없는 욕망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욕망의 원인인 '대상 a'에 의해 욕망이 잉태되고, 이를 향한 주체와 또 다른 욕망을 재생산하는 변증법적인 과정이 상징적으로 노출되고 실현되는 영화를 통해 영화와 관객의 정신분석학적 소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dentity is established by the interaction of consciousness and unconsciousness. The desire of the identity continuously gets generated and changes through this process. However, the conscious identity does not identify the clear substance of the desire. The reason is that the pure desire of uncons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 본고는 에서 ‘대상 a'에 의한 상상적 욕망이 상징적 체계로 드러나는 과정과 상징적 실현을 통해 영화에서 욕망이 생산, 실현, 재생산과 관객과의 소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정신분석개념 가운데 욕망의 원인인 ‘대상 a’가 실재계의 간극을 보이면서 욕망을 지속적으로 생산하고, 욕망의 변증법적 과정이 상징적으로 노출되어 환상의 무대로 실현되는 과정을 통해 영화와 관객의 정신분석학적 소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라캉의 정신분석개념 가운데 욕망의 원인인 ‘대상 a(object a)’가 영화에서 실재계의 간극을 통해 드러나면 욕망을 형성하고, 욕망을 향한 주체와 또 다른 욕망이 재생산되는 변증법적 과정을 통해 욕망의 상징적 노출과 실현을 통한 영화와 관객과의 정신분석학적 소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고는 부산국제영화제의 갈라프리젠테이션에서 소개된 <시집 (Make Yourself at Home)>을 통해 실재계의 빈틈으로 드러내는 ‘대상 a’와 ‘타자의 시선’, ‘타자의 욕망’에 의해 구축된 욕망이 영화 속에서 상징적으로 실현되는 과정과 관객과의 동일시에 의한 소통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그러나 순수한 욕망은 의식으로 솟구치거나, 실현되기 어려워 다시 무의식으로 되돌려지게 되고, 전의식에 트라우마를 남기게 된다. 이와 같이 억압된 무의식의 욕망은 언제나 잠재되어 있고, 무의식 속의 이드(ID)는 자아(EGO)를 전복시킴으로서 이를 실현시키고자 한다. 영화에서는 환상의 무대를 통해 불가능의 영역을 보이면서 ‘대상 a’를 향한 끝없는 상징적 욕망을 생산하고, 마침내 이를 실현시킴으로서 관객은 영화를 통해 무의식적 욕망과 상징적 실현에 대해 동일시를 느끼게 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라캉의 시각과 시선의 이론은 어떤 행위가 시각이라 할때, 어떤 쾌락을 느끼게 되는 것인가요? ”6)고 하였다. 이와 같은 시각과 시선의 이론은 영화에서 관객이 바라보는 행위가 ‘시각’이라 할 때, 스크린 속의 배우와 욕망의 대상이 돌려보내는 ‘시선’을 통해 관객은 욕망을 향한 동일시를 형성하게 되고 무의식적 쾌락을 느끼게 되는 것이다.
라캉의 정신분석은 어떤 분야에 적용되어 분석의 척도로 적용되고 있나요? 이후 라캉은 주체가 거울에 비친 반사된 이미지에 의해 구성되는 상상계(The Imaginary)1)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의 욕망을 금지하는 법의 영역이며, 언어와 구조의 체계인 상징계(The Symbolic)2), 언어나 이미지로 상상할 수 없고 상징계에도 통합되지 않는 불가능성과 연관된 실재계(The Real)3)를 통해 이루어져 있고, 이 세 가지 계를 통해 주체를 분석함으로써 무의식과 무의식적 욕망에 접근하였다. 라캉의 정신분석은 의학적 의의와 임상적 가치는 물론, 인간의 정신활동의 산물인사상, 문학, 미술, 영화 등의 지적 분야에 적용되어 분석의 척도로 적용되고 있다.1)2)3)
라캉은 세 가지 계를 통해 주체를 분석함으로써 무의식과 무의식적 욕망에 접근하였는데, 여기서 그 세 가지 계는 무엇인가요? 프로이트는 쾌락 원칙을 따르는 원초적인 이드(ID)와 현실원칙에 기반을 둔 자아(Ego) 그리고 도덕적 기능을 담당하는 초자아(Super-ego)로 이루어져 있음을 밝혀 정신분석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이후 라캉은 주체가 거울에 비친 반사된 이미지에 의해 구성되는 상상계(The Imaginary)1)와 오이디푸스 콤플렉스에서의 욕망을 금지하는 법의 영역이며, 언어와 구조의 체계인 상징계(The Symbolic)2), 언어나 이미지로 상상할 수 없고 상징계에도 통합되지 않는 불가능성과 연관된 실재계(The Real)3)를 통해 이루어져 있고, 이 세 가지 계를 통해 주체를 분석함으로써 무의식과 무의식적 욕망에 접근하였다. 라캉의 정신분석은 의학적 의의와 임상적 가치는 물론, 인간의 정신활동의 산물인사상, 문학, 미술, 영화 등의 지적 분야에 적용되어 분석의 척도로 적용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Calvin S. Hall, 백상창 역, 프로이트 심리학, 문예출판사, 1984. 

  2. Dylan Evans, 강성룡, 권희영, 김병준, 김종주, 손병우, 신영아, 이수연, 이만우, 이유섭, 이윤희, 조중근, 한형구 역, 라깡 정신분석 사전, 인간사랑, 1998. 

  3. Hall S. Calvin, 이미선 역, 프로이드 심리학, 문예출판사, 1999. 

  4. Jacques Lacan, 맹정현, 이수련 역, 자크 라캉 세미나 11, 새물결, 2008. 

  5. Jean-Louis Leutrat, 김경은. 오일환 역, 영화의 환상성" 동문선, 2002. 

  6. Lacan, Ecrits, Norton, 2002. 

  7. Slavoj Zizek, 김소연, 유재희 역, 시각과 언어, 1995. 

  8. T. Eaglton, 김영환 역, 문학이론입문, 창작사, 1986. 

  9. Walter Benjamin, 최성만 역, 기계복제시대의 예술작품, 도서출판 길, 2007. 

  10. www.piff.org 

  11. 김아미, "라캉의 주체 형성 과정을 통해서 본 기각의 타자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05. 

  12. 박시성, 정신분석의 은밀한 시선, 효형출판, 2007. 

  13. 박찬부, 기호, 주체, 욕망, 창비, 2007. 

  14. 서주영, 자끄 라깡의 응시개념으로 본 왜상 연구,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