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무의식의 주체와 이미지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Subject of Unconscious and Image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7 no.9, 2014년, pp.1134 - 1140  

최원호 (Division of Digital Contents, Dongseo University)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history of mankind has been together with the history of image because image provides with excellent information as a communication means. However, this study argues that there is more underlying cause for it. A subject is the subject of unconscious and the role of image is huge in the process 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물론 라캉을 비롯한 정신분석학에서 주체와 이미지, 이미지의 차별적 역할 등에 대해 다루었고, 영화학에서도 관객이론을 위해 정신분석학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정신분석학에서는 이미지가 주로 정신활동에 대한 규명을 위해 활용되었고, 영화학에서는 정신분석이 관객이론과 영화분석을 목적으로 적용되었다면, 본 연구에서는 정신분석학을 통해 주체에게 작용하는 이미지와 이미지의 절대성을 규명함으로써 보다 근원적인 층위에서의 주체와 이미지에 대해 밝혀보고자 한다.
  • 무의식은 주체를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지만, 의식의 토대일 뿐만 아니라 정신적 에너지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연구의 전개를 위해서는 라캉(Jacques Lacan)의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주체가 형성되는 과정에서의 이미지 역할과 주체에게 작용하는 이미지의 중요성을 되짚어본 후, 특히 분열의 주체에게 이미지가 환상의 매혹성으로 다가가는 과정에 주목하고자 한다. 물론 라캉을 비롯한 정신분석학에서 주체와 이미지, 이미지의 차별적 역할 등에 대해 다루었고, 영화학에서도 관객이론을 위해 정신분석학을 적용하기도 하였다.
  • 소통에서 나아가 인류는 회화, 사진, 영화등 다양한 시각적 매체를 문명사에 등장시켰고, 사실주의, 초현실주의, 인상주의, 표현주의, 네오리얼리즘, 모더니즘, 팝아트 등 표현형식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이어왔다. 이미지를 통한 예술적 심상의 표현이라는 소기의 목적이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근원적인 심급에서의 원인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미지는 주체로 이행하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체 속에 내재하는 근원적 결여를 메우기 위한 시도로써도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 이미지는 주체로 이행하는 과정과 밀접한 관련이 있을 뿐만 아니라, 주체 속에 내재하는 근원적 결여를 메우기 위한 시도로써도 필연적이라는 것이다. 이상의 주장을 위해 연구자는 의식적 주체가 아닌 의식의 이면에 가라앉아 있는 무의식에서 그 근원을 찾아 보고자 한다. 무의식은 주체를 지배하는 보이지 않는 영역이지만, 의식의 토대일 뿐만 아니라 정신적 에너지의 근원이기 때문이다.
  • 그러나 시각이 많은 정보를 제공한다는 것만으로는 이미지에 천착해온 인류를 설명하기에는 부족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주체가 무의식의 주체이며, 주체로 이행하는 과정에서 이미지와 필연적인 관계를 맺고 있음을 토대로 주체, 나아가 인류가 이미지에 매혹되어 왔음을 중심으로 주장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라캉의 정신분석학을 토대로 논의를 전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상이란 무엇인가? 이때 주체의 “무의식적 욕망들은 환상을 통하여 나타난다. 환상은 주체가 주인공이며 항상 소원의 성취를 대표하는 상상된 장면으로서 방어기재들에 의해 다소 왜곡된 방식으로 표현된다.”20)
인류가 소통에서 시작해 발명한 것에는 무엇이 있는가? 주체는 외부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감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그 가운데 ‘눈’이 가장 탁월한 정보를 제공했기 때문일 것이다. 소통에서 나아가 인류는 회화, 사진, 영화 등 다양한 시각적 매체를 문명사에 등장시켰고, 사실주의, 초현실주의, 인상주의, 표현주의, 네오리얼리즘, 모더니즘, 팝아트 등 표현형식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이어왔다. 이미지를 통한 예술적 심상의 표현이라는 소기의 목적이 있었지만, 본 연구에서는 보다 근원적인 심급에서의 원인이 있음을 주장하고자 한다.
인류가 이미지에 천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태초부터 인류는 이미지에 천착했다. 주체는 외부와 소통하기 위해서는 감각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고, 그 가운데 ‘눈’이 가장 탁월한 정보를 제공했기 때문일 것이다. 소통에서 나아가 인류는 회화, 사진, 영화 등 다양한 시각적 매체를 문명사에 등장시켰고, 사실주의, 초현실주의, 인상주의, 표현주의, 네오리얼리즘, 모더니즘, 팝아트 등 표현형식에서도 새로운 시도를 이어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Anika Lemaire, Jacques Lacan, Moonye Publishing, Seoul, 1998. 

  2. Bruce Fink, Lacan to the Letter, b-books, Seoul, 2007. 

  3. C.S. Hall, Primer of Freudian Psychology, Moonye, Seoul, 1999. 

  4. Dylan Evans, An Introductory Dictionary of Lacanian Psychoanalysis, In-Gan-Sa-Rang, Seoul, 2004. 

  5. J. Lacan, Le Seminaire 11, Saemulgyul Publishing House, Seoul, 2008. 

  6. S. Homer, Jacques Lacan, EunHaeng NaMu, Seoul, 2009. 

  7. S. Freud, Sigmund Freud Gesammelte Werke, The Open Books, Paju, 2010. 

  8. Slavoj Zizek, Looking Awry, Sigak-Goa-Eoneo, Seoul, 1995. 

  9. W. Choi, "The Symbolic Realization of Desire Pursuing 'Object a',"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3, No. 11, pp. 1706-1707, 2010. 

  10. W. Choi, "A Study on The Desire of Subject and Digital Image,"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ol. 16, No. 12, pp. 1475-1481, 201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