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악 타악기 편경의 음색연구
A Study on the Timbre of Pyeon-gyoung 원문보기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 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v.13 no.11, 2010년, pp.1728 - 1738  

윤지원 (계명대학교 뮤직프로덕션과, 동국대 멀티미디어학과) ,  김준 (동국대학교 영상대학원 멀티미디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국악 타악기 편경은 중국의 흑경(chines stone chimes=Bianqing) 등과 함께 '돌로 만든 타악기군 (Lithophone)'에 속한다. 주재료인 경석(옥돌)의 특성상 온도와 습도의 영향을 받지 않음으로, 편경은 아악의 조율을 담당하는 악기로도 잘 알려져 있어 음악사적 가치 또한 크다 할 수 있다. 이렇듯 고정된 음고를 가진 악기라는 점에서 국악의 기준음고 및 음계체계 연구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나, 악기로서 편경 음향의 특성 및 가치에 관한 연구는 현재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는 편경이라는 타악기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physical modeling synthesis)을 위한 분석 논문으로, 국악 타악기 편경만이 가지고 있는 고유한 음색특성을 밝히고, 과학적 분석에 의한 음향학적 근거를 제시하여 이를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한다. 이 같은 편경의 음색연구는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을 위한 중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는 것은 물론, 악기로서의 편경 음색에 관한 이해를 높여 다양한 예술창작분야로의 접목을 활성화함으로써, 문화적 활용도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yeon-gyeong, similar to Chinese Bianqing, is a Korean traditional lithophone with multiple stone chimes. Due to the temperature- and humidity-insensitive characteristics of its material, pumice stone, the instrument provides highly stable pitch and therefore has played a key role in Korean tradi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편경의 기준(대표)음고와 음향분석프로그램을 통한 음고추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편경의 배음구조로부터 규칙성을 도출해내고자 했던 ‘국악 타악기 편경의 소리합성을 위한 음색분석연구’[6]의 후행연구로, 편경을 대표할 수 있는 주파수영역의 음향적 특성 및 시간에 따른 변화, 음고인지적 측면을 수반한 종합적인 심층연구이다. 궁극의 목적은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physical modeling synthesis)에 있으며, 악기음향 연구에 입각한 편경의 음색 분석내용을 다루고자 한다.
  • 본 연구결과는 편경의 음색특성을 좌우하는 주파수성분을 중심으로 본, 배음분석을 포함한 종합적인 결과로, 경의 주파수특성 및 시간에 따른 변화양상을 통해 살펴본, 과학적인 분석연구이다. 이 같은 결과는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 시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중요한 사항이다.
  • 본 연구는 국악 타악기 편경의 소리 합성을 위한 분석연구로, 편경 고유의 음색특성을 찾아 그 원인을 객관적으로 규명하고자 진행되었다. 편경의 물리적 모델링 합성을 위하여, 독특한 음색을 구성하고 있는 고유의 대표적인 배음구조를 밝혀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 본 연구는, 편경의 기준(대표)음고와 음향분석프로그램을 통한 음고추적 결과를 비교분석하여, 편경의 배음구조로부터 규칙성을 도출해내고자 했던 ‘국악 타악기 편경의 소리합성을 위한 음색분석연구’[6]의 후행연구로, 편경을 대표할 수 있는 주파수영역의 음향적 특성 및 시간에 따른 변화, 음고인지적 측면을 수반한 종합적인 심층연구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전통악기 중 편경은 어떻게 이루어져 있는가? 편경은 해당 음고를 타나내는 각각의 율명을 가진, ‘ㄱ’자 모양의 16개 경석1)으로 이루어져 있다. 각 경석의 크기는 모두 같고 두께가 음고에 비례하여, 각각 8개의 경석을 하단 저음부 8개, 상단 고음부 8개로, 두개의 단에 끈으로 매어단다. 편경 한 틀의 전체음역은 1과 1/3 옥타브(C5-D#6)에 해당하는 12율 4청성의 범위로, 연주는 ‘각퇴’라고 하는 뿔망치로 경석을 타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통악기 연구를 통해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 전통악기 연구는 고대의 악기복원 및 제작, 그리고 악기로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개선한 현대적 개량악기 제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통악기로서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고악기연구는 편경유물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까지 악기복원 및 제작이라는 측면에서 편경의 재료가 되어 온 경석의 물성 등을 기초로 진행되어온 몇몇 연구들[1-4]이 있다.
고악기연구는 무엇을 통해 이루어지고 있는가? 전통악기 연구는 고대의 악기복원 및 제작, 그리고 악기로서 가지고 있는 문제점 및 한계를 극복·개선한 현대적 개량악기 제작 등 다양한 측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통악기로서의 가치를 보존하기 위한고악기연구는 편경유물 연구를 통해 이루어지며, 현재까지 악기복원 및 제작이라는 측면에서 편경의 재료가 되어 온 경석의 물성 등을 기초로 진행되어온 몇몇 연구들[1-4]이 있다. 그러나 국악기 복원 및 제작과정에 실질적으로 도입되어 구체적 활용이 가능할 수 있도록, 악기제작방식의 객관화 및 악기제작 완성도에 관한 검증기준을 갖추기까지는, 앞으로 더 많은 후행 연구들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박상하, 노정욱, 성굉모, "편경 제작용 경석 표본의 역학적 물성 측정," 한국음향학회지, 제27권, 제4호, pp.171-177, 2008. 

  2. 유준희, "편경의 진동양식 분석,"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l(S)호, pp.283-286, 2004. 

  3. 유준희, "편경의 기억자형 모양에 따른 조율 효과," 한국음향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23권, 제2(S)호, pp.287-290, 2004. 

  4. 유준희, "편경의 진동모드 분석," 한국음향학회지, 제25권, 제3호, pp.121-128, 2006. 

  5. 권오연. "한국음악의 조율체계와 음계에 대한 음향학적 고찰," 음악과 문화, 제4호, pp.59-98, 2001. 

  6. 한기열, 윤지원, 김준, "국악 타악기 편경의 소리 합성을 위한 음색분석 연구," 한국공학.예술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제7권, 제l호, pp.65-68, 2009. 

  7. 이숙희, 편종 편경 악기장 김현곤, 한국학술정보(주), 2008. 

  8. 송혜진, 한국악기, 열화당, 2001. 

  9. Tomas D. Rossing, F. Richard Moore, and Paul A. Wheeler, Science of Sound, Addison Wesley, San Francisco, 2002, 

  10. Perry R. Cook, Music, Cognition, and Computerized Sound : An Introduction to Psychoacoustics, The MIT Press, Cambridge, 2001, 

  11. John R. Pierce, The Science of Musical Sound, W. H. Freeman and Company, New York, 1992, 

  12. Curtis Roads, The Computer Music Tutorial, The MIT Press, Cambridge, 1996. 

  13. Thomas D. Rossing, Science of Percussion Instruments, Series in Popular Science, Volume 3, World Scientific, Singapore, 2000, 

  14. William A. Sethares, Tuning. Timbre, Spectrum, Scale, Springer, London, 1998. 

  15. 김현지, "영조조 편경 제작과정 연구 :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를 중심으로," 한국음악학논집, 제3집, pp.7-55, 1999. 

  16. 김형운, 소리가 하늘이다, KBS Media 한국사傳 세종대왕, 제2부, 2008. 

  17. 송방송, "박연의 율관제작과 악기제조," 한국예술종합학교 논문집, 제3집, pp.214-302, 2000.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