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년여성의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
Yangsaeng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iddle Aged Women 원문보기

여성건강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v.16 no.3, 2010년, pp.297 - 306  

김애경 (단국대학교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Yangsaeng and HRQOL in middle aged women. Yangsaeng as a traditional health care regimen for the promotion of health and prevention of illness by means of specific principles and methods, which purpose was to improve longev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중년여성의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계를 파악함으로써 양생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건강증진 전략 개발에 기여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40~59세 중년여성 200명을 대상으로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 정도를 파악하고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과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동양적 건강방법인 양생법이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 증진 전략으로 활용가치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중년여성의 건강증진을 위한 간호중재의 기초를 마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중년여성의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 수준,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상관성을 파악하고 건강관련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한 횡단적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의 목적은 중년여성의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수준, 양생과 건강관련 삶의 질의 관련성을 파악하여 중년 여성의 건강증진 전략으로서 동양적 건강법인 양생법의 활용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본 연구결과 중년 여성은 보통수준으로 양생 실천하고 있었고 도덕수양을 가장 잘 이행하였고 운동양생과 계절양생의 이행이 낮았다.
  • 이처럼 중년여성은 여러 가지 신체변화와 더불어 다양한 역할을 감당하여야 하는 연령이며 만성질환에 이환되기 쉬운 건강상 위기의 시기이므로 중년여성이 다양한 변화에 잘 대처하도록 돕고 바람직한 중년의 삶을 갖도록 돕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중년여성의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 간호중재로서 양생의 활용 가능성을 높이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건강관련 삶의 질이란 무엇인가? 건강관련 삶의 질 은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삶의 질을 지칭하는 개념으로 개인의 건강상태와 안녕보다는 좀 더 포괄적인 개념으로서 전반적인 건강, 신체적 기능, 신체적 역할, 통증, 활력, 사회적 기능, 정신적 기능, 정서적 역할 등에서의 주관적인 평가 를 의미한다(Ware, Kosinski, Dewey, & Gandek, 2001). 건강관련 삶의 질(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에 대한 개념은 전문가들마다 조금씩 차이가 있으나, 삶의 질은 다차원성, 주관성이란 특성으로 개념화 된다(Ferrans, 2005).
2008년 여성의 사망원인 순위는 어떻게 되는가? 2008년 여성의 사망원인은 악성 신생물, 뇌혈관질환, 심장질환, 당뇨병의 순위로 나타났고(Statistics Korea, 2008) 폐경이 진행되는 45~55세를 기준으로 뇌혈관질환과 심장 질환, 당뇨 등 만성질환에 의한 사망률이 급격히 늘어나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건강한 생활양식을 통한 질병 예방과 건강증진이 중요한 시대가되었다.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사용한, Shin (1998)의 Catholic Medical Center Health Survey (CMCHS) 도구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가? 건강관련 삶의 질은 Shin (1998)의 Catholic Medical Center Health Survey (CMCHS) 도구를 사용해 측정하였다. 본 도구는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 PF) 12문항, 정서적 기능(emotional function, EF) 9문항, 사회적 기능(social function, SF) 6문항, 역할제한(role limitation, RL) 11문항 총 38문항, 4개 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hn, H. M., Kim, S. S., Kim, W. G., Yu, H. D., Chong, M. S., & Lee, K. M. (2007).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yangseng level and stress in industrial workers. Journal of Medical Gi-Gong, 10 (1), 100-129. 

  2. American College of Sports Medicine (2006). ACSM's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7th ed.). Mc Baltimore: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3. Choi, B. N., Kim, S. H., & Yook, D. W. (2009). The relationship between quality of life and coping with stress for middle age women in dance sports. Korean Journal of Sport Science, 20 (3), 517-530. 

  4. Chon, M. Y., Ryu, E. J., & Yeon, E. J. (2001). Subjective fatigue and coping types between middle aged adults and elders. Journal of Korean Community Health Nursing Academic Society, 15 (2), 387-397. 

  5. Ferrans, C. E. (2005). Quality of life as an outcome of cancer care. In Yarbro, C., Frogge, M. & Goodman, M. (Eds.), Cancer nursing: Principles and practice (6th ed), MA: Jones and Bartlett. 

  6. Jin, E. H. (2009). A study on health related action rates of dietary guidelines and pattern of dietary in middle-aged women.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Statistics, 34 (2), 165-176. 

  7. Kim, A. J. (2004). Development of a tool in measuring yangsaeng.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4 (5), 729-738. 

  8. Kim, A. J. (2008). QQL-BREF and yangsaeng in Korean adult. Journal of East West Nursing Research, 14 (2), 8-15. 

  9. Kim, A. K., & Kim, J. A. (2005). Lifestyle characteristic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Korean adul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7 (5), 772-782. 

  10. Kim, A. K. (2010). Coping pattern of menopaus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7 (1), 35-44. 

  11. Kim, H. S., Park, R. J., & Jung, H. Y. (2002). Sleep yangsaeng. Journal of Medical Gi-Gong, 6 (1), 128-149. 

  12. Kim, Y. H., Ha, E. H., & Shin, S. J. (2003). A study on the menopausal symptoms and quality of life in middle aged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3 (5), 601-608. 

  13. Kim, J. W., Kwon, S. H., Kim, A. J., Seo, M. H., Park, J. S., & Lee, K. N. (2005). Level of yangseng by certain elderly people in connection with their perception of health. Journal of Medical Gi-Gong, 8 (10), 115-127. 

  14. Kim, K. S., Kim, E. J., Lee, C. Y., You, M. A., Kim, B. J., Park, S. H., et al. (2009). Obesity related factors in middle aged women: Comparison of body mass index and/or waist circumferences as measure of obesit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ublic Health Nursing, 23 (2), 273-284. 

  15. Kim, K. W., & Kim, A. J. (2010). Yangsaeng and quality of life (WHOQOL-BREF) in adult and elderly Koreans practicing dan jeon breathing (DJB).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17 (2), 231-239. 

  16.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 (2006). 2005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Survey. Seoul. 

  17. Lee, K. H., Chang, C. J., & Yoo, J. H. (2003).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limacteric symptoms, knowledge of menopause and health promoting behavior in middleaged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s Health Nursing, 9 (4), 400-409. 

  18. Lerner, D. J., Levine, S., Malspeis, S., & Agostino, R. B. (1994). Job strain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a national sample.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84 (10), 1580- 1585. 

  19. Martin, T., John, R., & Kim, N. (2001). Diagnosis and treatment of sleep disorder. Seoul: Hana. 

  20.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08). Annual report on the cause of death statistics. Retrieved July 28, 2010, from http:// www.kihasa.re.kr/html/jsp/info/info_03_view.jsp?currPage 5&dl1&d21&d31&seq3&seq 

  21. Nunnaly, J. C., & Bernstein, I. H. (1994). Psychometric theory (3rd ed.). NY: McGraw-Hill. 

  22. Park, H. S., & Kim, A. J. (2008). Relationship of stress, depression and yangsaeng in Korean college women. Journal of The Academic Society of Parent-Child Health, 11 (2), 149- 159. 

  23. Park, H. S., & Kim, A. J. (2010). Adaptation to menopause and use of yangsaeng in middle aged Korean women. Korean Journal of Women Health Nursing, 16 (1), 1-9. 

  24. Park, Y. R., & Son, Y. J. (2009). Relationship of satisfaction with appearance, self-esteem, depression, and stress to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in women across the lifespa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s of Nursing, 16 (3), 353-361. 

  25. Shin, H. C. (1998). The definition of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amily Medicine, 19 (11), 1008-1015. 

  26. Son, Y. J. (2007). The Influencing factors on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HRQOL) in married working women.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Adult Nursing, 19 (3), 422-435. 

  27. Statistics Korea (2008). http://kostat.go.kr/?methodview&board_ id144&seq6&num6&parent_num0 

  28. Ware, J. E., Kosinski, M., Dewey, J. E., & Gandek, B. (2001). How to score and interpret single item health status measure: A manual for users of the SF-8 health survey. Lincolin, RI: Quality Metric Incorportated. 

  29. Women's Health Nursing Curriculum Inquiry Group (2010). Women's health nursing care. Seoul: Soomoonsa.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REEN

저자가 공개 리포지터리에 출판본, post-print, 또는 pre-print를 셀프 아카이빙 하여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