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교수학적 분석에 기반을 둔 지도방안의 탐색
An exploration of alternative way of teach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through a didactical analysi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Mathematical Education. Series E: Communications of Mathematical Education, v.24 no.4, 2010년, pp.891 - 907  

김성옥 (한동대학교) ,  정수영 (둔촌고등학교) ,  권오남 (서울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미적분학의 기본정리는 미분적분을 연결하는 중요한 정리로서 다양한 개념적 요소들을 포함하고 있고 그 가운데 학생들이 이해하기에 쉽지 않은 것들이 있어 교수학적 연구 대상으로 관심을 끌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이해의 요소와 인지과정에 바탕을 둔 교수학적 대안을 제시하기 위해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역사적 발달과정과 선행연구를 통하여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이해의 요소를 알아보고,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증명과정에서 누적함수와 변화율 개념을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미적분학의 기본정리의 지도방법에 대한 교수학적 대안과 교육적 시사점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from the historical, mathematical, and instructional perspectives. Based on the in-depth analysis, this study suggested an alternative way of teach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주제어

참고문헌 (20)

  1. 김연미 (2008). 공과대학 신입생들의 함수개념 연구와 함수 영역의 교육과정에 대한 제언.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22(4), 417-444 

  2. 심재동.하준홍.이경희.천창범(2005). 미분적분학 단계별 교육을 위한 교과내용 및 방법 연구. 한국수학교육학회지 시리즈E 19(4), 633-647 

  3. 정연준 (2010). 미적분의 기본정리에 대한 교수학적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4. Artigue, M. (1991). Analysis. In D. Tall(Ed) Advanced mathematical Thinking. Boston:Kluwer, 167-198. 

  5. Boyer, C. B. (2004). 미분적분학사(그 개념의 발달). (김경화, 역). 서울: 교우사 

  6. Carlson, M. P., Smith, N. N., & Persson, J. (2003). Developing and connecting calculus students' notions of rate of change and accumulation: The FTC. In N. A. Pateman, B. J. Dougherty & J. Zilliox(Eds.), Proceedings of the 2003 Joint Meeting at PME and PMENA(Vo1.2, pp.165-172). Honolulu, HI: University of Hawaii. 

  7. Courant, R. (2003). 수학이란 무엇인가. (박평우, 김운규, 정광택, 역). 서울: 경문사 

  8. Dubinsky, E., & Harel, G. (1992). The nature of the process conception of function, In G. Harel & E. Dubinsky (Eds.), The concept of function: Aspects at epistemology and pedagogy (pp. 85-106).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9. Gordon, S. P. (1991). Discover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Using Computer Algebra System. Mathematics and computer education 25(1), 6-9 

  10. Hong, Y. Y. (1999). Promoting versatile understanding in integration using a computer.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The University of Auckland. 

  11. Katz, J. (1993). A history at mathematics. Harper Collins College Publishers 

  12. Kline, M. (1972). Mathematical thought from ancient to modem times. Oxford University Press. 

  13. Larson, R., Hostetler, R. P., & Edwards, B. H. (2002). Calculus at a single variable(7th Ed), Boston: Houghton Mifflin Co. 

  14. Oehrtman, M. C. (2002). Collapsing Dimension, Physical Limitation, and other Student Metaphors for limit Concepts: An Instrumentalist Investigation into Calculus Students' Spontaneous Reasoning. Unpublished Ph.D. Dissertation, University ad Texas, Austin. 

  15. Smith, N. N. (2008). Student's emergent conceptions of the fundamental theorem at calculus. Unpublished Ph, D. Dissertation, Arizona state university. 

  16. Suzuki, J. (2003). The area under a curve: conjecturing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Mathematics Teachs, 96(7), 474-8 

  17. Tall, D. (1997). Functions and Calculus. In A. J. Bishop et al (Eds.), International Handbook at Mathematics Education, 289-325, Dordrecht: Kluwer. 

  18. Thompson, P. W. (1994). Images of rate and operational understanding of the fundamental theorem of calculus, Educational Studies in Mathematics 26, 229-274 

  19. Thompson, P. W., & Silverman, J. (2008). The concept of accumulation in calculus. In M. Carlson & C. Rasmussen (Eds.), Making the connection: Research and teaching in undergraduate mathematics. Washington, DC: Mathematical Association of America 

  20. Toeplitz, O. (1967). The Calculus: a genetic approach The University of Chicago Pres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