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율적 상호협동을 통한 모바일 센서의 자기위치파악
Autonomous Cooperative Localization of Mobile Sensors 원문보기

정보처리학회논문지. The KIPS transactions. Part A. Part A, v.17A no.2, 2010년, pp.53 - 62  

송하윤 (홍익대학교 컴퓨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모바일 센서 네트워크(Mobile Sensor Network)의 노드(Node)인 모바일 센서 차량(Mobile Sensor Vehicles)들은 특정 지역에 관해 획득한 정보를 서로 교환하고 통합하는 과정을 거쳐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게 되는데 이를 지역화(localization)라 한다. 이때 모바일 센서 차량은 탑재된 각종 센서를 이용하여 자신의 위치 정보를 파악한다. 본 연구에서는 데드-레코닝(Dead-Reckoning), 컴퓨터 비전 기법, 그리고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dentification)를 사용한 모바일 센서 차량(MSV)의 지역화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방안을 제시하고, 각각의 방식들이 가진 장점을 융합하여 보다 정밀한 지역화를 할 수 있는지 살펴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bile Sensor Vehicles, nodes of Mobile Sensor Network, are navigating for a specific, maybe unknown, region. For the precise usage of MSN, MSV has to be able to do localization by integrating information through communication by each other. In addition, MSV should be localized with various sensor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실험을 위해 모바일센서 네트워크(MSN)의 노드로써 모바일 센서 차량(MSV)을 구현하였다. 간단한 하드웨어(H/W)와 소프트웨어(S/W)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한 소개하였다. 여러 지역화(Localization) 방법에 대한 실험을 통해 정확성을 측정하였다.
  • 그러나 모바일 센서 차량(MSV)간의 거리가 멀어지게 되면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 발광강도가 약해져서 거리측정이 불가능한 거리상의 제약이 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화의 거리를 증가시키기 위한 목적으로 다양한 특성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를 이용하여 실험을 통해 최적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의 특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을 통해 컴퓨터 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는 방법을 제시하고,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IR-LED)와 카메라 특성을 조화시킴으로써 근거리에서뿐 아니라 중거리까지 컴퓨터 비전센서를 이용하여 오차를 보정하는 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또한 임의의 모바일 센서 차량(MSV)에서 상대방 모바일 센서 차량(MSV)의 거리를 측정하고 장애물 및 상대 차량과의 거리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협업이 가능하며, 하나의 모바일 센서 노드(MSN)가 지역화에 실패하더라도 동료 모바일 센서 노드(MSN)간의 거리를 측정함으로서 지역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것을 보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본 논문에서 비전기반 지역화를 위하여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와 카메라의 특성을 극대화 시키는 방법을 모색하였고, 비전기반지역화의 범위를 확대 시키기 위하여 하드웨어(H/W)적인 해결 방법을 시도 한 이유는 무엇인가? 비전 기반 지역화 기법은 매우 정밀하게 지역화를 달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나, 그에 반해 가장 큰 단점은 지역화 거리가 가시거리 내로 짧다는 점이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는 다이오드 특성상 카메라와 다이오드 사이의 거리가 늘어남에 따라 측정되는 발광 강도가 점점 약해져서 520cm이상의 거리에서는 위치추적이 불가능해진다는 점이 가장 큰 단점이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여러가지 실험을 하였으나, 서로 다른 특성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도 거리 변화에 큰 차이 없이 동일하게 500cm이상이 되면 위치추적이 어려웠다. 고해상도 카메라를 이용하여 추적거리증가를 시도했으나, 적외선 발광 다이오드가 추적이 되지 않는 문제이기 때문에 카메라의 해상도와는 큰 연관성이 없다.
주행 기반 지역화는 주로 어디에 사용되는가? 주행 기반 지역화는 주로 항공기나 선박에서 사용된다. 보통 관성 항법 장치(Inertial Nautical System)라고 하는 방식으로 항공기 또는 선박의 주행 궤적을 자이로스코프를 기반으로 기록하여 현재 위치를 나타내고자 하는 방식이다.
지역화는 어떻게 준거점을 확보하는가? 본 연구의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림 1)과 같이 주변 상황에 대한 인식(Cognition) 및 자율 주행이 기반이 되어야 한다. 지역화(Localization)는 동료 모바일 센서 차량(Mobile Sensor Vehicle : MSV)을 인식함으로써 지역화의 기본이 되는 준거점을 확보하게 되며, 최악의 경우에는 지역화가 실패하더라도 동료 모바일 센서 차량의 위치를 기준으로 재계산이 가능해질 뿐만 아니라 기본적 수준에서 센서집단의 형태유지가 가능해진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J. Borenstein and L. Feng, “A Method for Measuring, Comparing, and Correcting Dead-Reckoning Errors in MobileRobots,” December, 1994. 

  2. J. Borenstein, L. Feng, Professors D. K. Wehe, Y. Koren, Grad Students,Z. Fan, B. Holt, B. Costanza, “UMBmark - A Method for Measuring, Comparing, and Correcting Dead-reckoning Errors in Mobile Robots,” 1995. 

  3. Sina-park, “odometry Error Correction with a gyro sensor for the mobile robot localization,” December, 2005. 

  4. Jae Young Park, Ha Yoon Song, “Multilevel Localization for Mobile Sensor Network Platforms,” First International Symposium on Multimedia-Real Time Software(RTS'08), October, 2008. 

  5. Jae Young Park, Ha Yoon Song, “모바일 센서 차량의 하드웨어 설계”, KISS Korea Computer Congress, 2007. 

  6. J.-S. Gutmann, W. Burgard, D. Fox, K. Konolige, “An Experimental Comparion of Localization Method,” IROS, 1998. 

  7. J.-S. Gutmann, C. Schlege, AMOS, “Comparison of Scan Matching approaches for self-Localization in indoor Environments,” EUROBOT, 1996. 

  8. M. A. Fischler, R. C. Bolles. “Random Sample Consensus: A Paradigm for Model Fitting with Applications to Image Analysis and Automated Cartography,” Comm. of the ACM, Vol.24, pp.381-395, 1981. 

  9. Xiao Shan Gao and Xiao­Roing Hou and Jianliang Tang and Hang­Fei Cheng, “Complete Solution Classification for the Perspective Three Point Problem,” IEEE TRANSACTIONS ONPATTERN ANALYSIS AND MACHINE INTELLIGENCE, Vol.25, August, 2003. 

  10. Haralick, R.M and Lee, D and Ottenburg, K and Nolle, M, “Analysis and Solutions of The Three Point Perspective Pose Estimation Problem,” IEEE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Computer Society Conference on, 592-598, June, 1991. 

  11. 조관식, 송하윤, 박준, “컴퓨터 비전 기반 근거리 지역화의 최적조건”, 정보과학회, 2008. 

  12. Kwan Sik Cho, Ha Yoon Song, Jun Park, “Accurate Localization in Short Distance based on Computer Vision for Mobile Sensors,” IMCSIT, 2008. 

  13. B. Kuipers and Y.-T.Byun, “A robot exploration and mapping strategy based on a semantic hierarchy of spatial representations,” Journal of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1991. 

  14. S. Thrun, “Learning Maps for Indoor Mobile Robot Navigation,” Artificial Intelligence, 199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