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속리산 국립공원의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과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Macrofungi Fruiting and Environmental Factors in Songnisan National Park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6, 2010년, pp.657 - 679  

박용우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 ,  구창덕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 ,  이화용 (충북대학교 농업생명환경대학 산림학) ,  류성렬 (국립산림품종관리센터) ,  김태헌 (속리산국립공원 사무소) ,  조영걸 (속리산국립공원 사무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버섯발생과 환경요인(강수량, 토양수분량, 온도, 식생)과의 관계를 이해하기 위하여 2003년부터 2008년까지 6년 동안 매년 6월~10월에 속리산 국립공원 내 소나무 우점림과 참나무 우점림에서 버섯 발생종을 조사하고 분석하였다. 버섯 발생종은 연간 94종~167종으로 연간 변이가 있었으며 그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은 주로 외생균근성버섯으로 송이과(Tricholomataceae), 광대버섯과(Amanitaceae), 무당버섯과(Russulaceae), 끈적버섯과(Cortinariaceae), 그물버섯과(Boletaceae)의 종이었으며, 가장 많이 발생한 시기는 7월부터 8월에 13~90종이었다. 버섯발생종수는 6월~10월의 강수량과 r=0.897의 정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장기적으로는 파머가뭄지수와 단기적으로는 표준강수지수와도 관련이 있었다. 또한 토양수분량에 따라 버섯발생종과 수가 달랐다. 토양수분량이 20% 이상인 시기에 버섯발생종수는 50여종이었으나, 10%이하 에서는 5~20종이었다. 노란젖버섯(Lactarius chrysorrheus), 기와버섯(Russula virescens) 등은 토양수분량이 20% 이상일 때 발생하였다. 발생버섯의 종수는 대기온도와 r=0.77의 상관관계가 있었으며, $21^{\circ}C{\sim}25^{\circ}C$에서 많았다. 대기온도가 $25^{\circ}C$이상에서 주로 발생하는 종은 금버섯(Tricholoma flayayirens), 구근광대버섯(Amanita gymnopus), 굴털이젖버섯(Lactarius piperatus), 삿갓땀버섯(Inocybe asteropora), 마른산그물버섯(Xerocomus chrysenteron) 등이었고, 온도변화에 큰 영향을 받지 않고 장기간 발생하는 버섯은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독우산 광대버섯(Amanita virosa), 수원무당버섯(Russula mariae) 등이었다. 식생에 따라 발생버섯종이 달랐는데, 소나무 우점림에서만 발생한 종은 황소비단그물버섯(Suillus bovinus), 흰굴뚝버섯 (Boletopsis leucomelas) 등 38종이었다. 굴참나무 우점림에서만 발생한 종은 좀벌집버섯(Polyporus arcularius), 노루궁뎅이(Hericium erinaceum)등 42종이었다. 그리고 졸각버섯(Laccaria laccata), 말불버섯(Lycoperdon perlatum) 등 50종은 두 식생림에서 모두 발생하였다. 결론적으로 버섯 발생종과 종수는 강수량, 토양수분, 온도 그리고 우점 기주수종에 따라 크게 달라졌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ushroom fruiting was investigated in pine and oak dominated forest stands in Songni National Park located in central Korea for six years from 2003 to 2008, in order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mushroom diversity and the environmental factors, precipitation, temperature, soil moisture and...

Keyword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 2005). 본 연구는 2003년~2008년까지 속리산 국립공원에서 버섯 발생과 환경요인(온도, 강수량, 토양수분, 식생)과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섯의 종은 얼마나 많은가? 이러한 버섯은 종이 매우 다양하다. 전 세계적으로 15,000여종이 알려져 있고 국내에서 보고된 균류 중 버섯류는 1,500종이 넘는다(Cho, 1996). 속리산 국립공원의 버섯 상은 1990년 8월 7일 ~10일 동안에 11목 29과 58속 116종이 확인될 정도로 다양하였다(Cho and Ryu, 1991).
파머가뭄지수의 범위와 값은 무엇을 뜻하는가? 파머가뭄지수(Palmer Drought Severity Index)는 장기간의 이상 수분 부족을 정의한 것(Palmer, 1965)으로 장기간의 가뭄정도를 파악하는데 효과적이다. 가뭄지수의 범위는-4.0~4.0이며 값이 작을수록 가뭄의 강도가 크며 값이 높을수록 습윤상태이다. 2003~2008년까지 월별 버섯 발생과 파머가뭄지수(PDSI)와의 관계는 PDSI가 낮은 가뭄기일 때 버섯발생하는 종이 대체적으로 적었다.
산림에서 버섯의 역할은? 산림에서 버섯은 산림병원균으로 살아있는 수목에 피해를 주는 기생균의 역할을 하는 종류도 있지만 낙엽이나 목재 등 식물체의 분해자로 물질 순환에 중요한 역할하거나, 고등식물과 공생관계를 유지하며 수목의 생장에 필요한 각종 영양물질을 공급함으로써 산림생태계 순환에 필수적인 역할을 한다(Taylor et al., 200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1)

  1. Arora, D.(1986) Mushrooms demystified, Ten Speed, Berkely, 976pp. 

  2. Braun-Blanquet, J.(1964) Pflanzensoziologie Grundzuge der Vegetationskunde, Springer-Verlag, Wien, New York, 865pp. 

  3. Breitenbach, J. and P. Kranzlin(1986) Fungi of Switzerland, Vol. 1. Heterobasidiomycetes, Aphyllophorales, Gasteromycetes, Verlag Mykologia, Lucerne, 313pp. 

  4. Bukhansan National Park(2008) Monitoring of Natural Resources Seven years, Seoul, pp. 85-213. 

  5. Cho, D.H. and C.I. Ryu(1991) Fungal flora of M.T. Song-ni, Korea Environment Association Research Report 29: 237-245. (in Korean) 

  6. Cho, D.H.(1996) Natural myco-resources of higher fungi in Korea, Nature Conservation 93: 23-3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7. Crites, S. and M. Dale, R.T.(1998) Diversity and abundance of bryophytes, lichens, and fungi in relation to woody substrate and successional stage in aspen mixed wood boreal forests, Can. J. Bot. 76: 641-651. 

  8. Deogyusan National Park(2008) Monitoring of Natural Resources Five years. Mu-Ju, pp. 335-360. (in Korean) 

  9. Donk, A.(1964) A concepts of the families of Aphyllophorales, Rijksherharium, Leiden. Persoonia, 3: 199-324. 

  10. Gustafsson, L., A. Fiskesjo, T. Hallingback, and T. Lngelog(1992) Semi-natural deciduous broad-leaved woods in southern Sweden-habitat factors of importance to some bryophte species, Biol. cons, 53: 175-181. 

  11. Hongo, T.(2000) Mushrooms. 3rd ed.. Yama-Kei Co, Tokyo, 383pp. 

  12. Hyvarinen, M., P. Halonen and M. Kauppi(1992) Influence of stand age and structure on the epiphytic lichen vegetation in the middle- borea forests of Finland, Lichenologist 24: 165-180. 

  13. Imazeki, R.Y. and Otani, T. Hongo(1988) Fungi of Japan. Yama-Kei Co, Tokyo, 623pp. 

  14. Jung, H.S.(1993) Floral Studies on Korean Wood - rotting Fungi (1) -. Korean Journal of Mycology 21(1): 51-63.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5. Jung, H.S.(1994) Floral Studies on Korean Wood - rotting Fungi (2) -. Korean Journal of Mycology 22(1): 62-9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6. Kim, C.J., K.S. Sin and D.H. Lee(1996) Cultural characteristics of some basidiomycetous fungi in Korea. Natural Science 7(2): 39-4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7. Kim, J.G., D.Y. Yang, M.S. Kim and Yuichi Onda(2008) Effect of canopy and slope degree on inter rill erosion, Journal of the Korean Geomorphological Association 15(4): 97-10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Kim, N.K.(2006) Studies on the flora of soil microorganisms and higher fungi by forest types in the Odaesan National Park, M.S. Thesis, Univ. of Kang-Won, pp. 40-48.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19. Kim, S.M. and S.W. Park(1999) Calculation and comparison of drought index on major station of Rep. of Korea. Journal of Korea Society of Agriculture Engineers 41(5): 43-5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0. Kim, S.S and Y.S. Kim(1990) Mushroom of Korea, Yupung, Seoul, 378pp. (in Korean) 

  21. Kim, Y.S., S.J. Seok, K.J. Lee and J.O. Hyun(1994) Notes on the higher fungal flora in Mt. Hungjung in Kangwon Province, Korean Journal of Mycology 22(3): 216-221.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2. Koo, C.D., K.H. Ka., W.C. Park, H. Park, S.Y Ryu, Y.W. Park and T.H. Kim(2007) Changes of leaf area index, physiological activities and soil water in Tricholoma matsutake producing pine forest ecosystem.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6(4): 438-447.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3. Lee, C.Y.(2008) Developmental Distribution of Higher Fungi as Vegetation Mt. Deogyu. M.S. Thesis, Univ. of Woo-Suk, pp. 11-45.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24. Lee, K.J. and Y.S. Kim(1987) Host specificity and distribution of putative ectomycorrhizal fungi in pure stands twelve species in Korea, Korean Journal of Mycology 15(1): 48-69.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5. Lee, K.J., Y.S. Kim and S.J. Seak(1994) Fungal flora of Mt. Paekwoon (1).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83(4): 556-562.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Lee, S.H., J.S. Kim, H.E. Kim, C.D. Koo, J.I. Park, C.S. Sin and W.S. Sin(2005) Effect of soil moisture and weather( atmospheric) conditions on the fruiting of Sarcodon aspratus in oak stand. Journal of Korean Forest Society 94(6): 370-3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7. Lee, T.S. and J.Y. Lee(2000) Rearranged list of recorded mushrooms in Korea.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87pp. (in Korean) 

  28. Newton, A.C. and J. Haigh(1998) Diversity of ectomycorrhizal fungi in the UK: a test of the species-area relationship and the role of host preference, New Phytol. 138: 619-627. 

  29. Ogawa, M.(1978) Biology of Matsutake Mushroom. Tsukiji Shokan, Tokyo, 326pp. 

  30. Ohenoja, E.(1993) Effect of weather conditions on th larger fungi at different forest sites in northern Finland in 1976-1988. Acta Univ. ohuensis Ser., A. Sci. Retum Nat. 243: 1-69. 

  31. Ohta, A.(1994) Som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mycelia of a mycorrhizal fungus, Lyophyllum shimeji. Mycoscience 35: 83-87. 

  32. Palmer, W.C.(1965) Meteorological drought. Research paper, U.S. Weather Bureau 45: 1-58. 

  33. Park, Y.H.(1997) The Newest Mushroom Science. Korea Mushroom Associate Corp., Suwon, pp. 161-191. (in Korean) 

  34. Selva, S.B.(1994) Lichen diversity and stand continuity in the northern hardwoods and spruce Fir forests of northen New England and western New Brunswick. Bryologist 97: 424-429. 

  35. Seo, H.D.(2008) Composition of optimum in-vitro culture of isolates of Amanita hemibapha. M.S. Thesis, Univ. of Kyung- Buk, 31pp. (in Korean with English summary) 

  36. Sim, G.M., C.S. Ko, Y.S. Lee, G.Y. Kim, J.T. Lee and S.J. Kim(2007)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pine mushroom emergence and meteorological elements in Yangyang County Korea.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9(3): 188-19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7. Singer, R.(1986) The Agaricales in Modern Taxonomy, 4th ed.. Koeltz Scientific Books, Koenigstein, 912pp. 

  38. Soderstrom, L.(1988) The occurrence of epioxylic bryophyte and lichen species in an old natural and a managed forest stand in northeast Sweden, Biol. Conserv 45: 169-178. 

  39. Soeraksan National Park(2008) Monitoring of Natural Resources Seven Years. Sok-Cho, pp. 257-279. (in Korean) 

  40. Songnisan National Park(2004) Monitoring of Natural Resources Second Years. Boeun-Gun, pp. 385-391. (in Korean) 

  41. Taylor, A.F., S.F. Martin and D.J. Read(2000) Fungal diversity in ectomycorrhizal communities of Norway spruce(Picea abies L. Karst) and beech(Fagus sylvatica L.) along North-South transects in Europe, In: Schulze, E. D.(Ed), Carbon and nitrogen cycling in European forest ecosystems-ecological studies, Springer Verlag Berlin, pp. 343-365. 

저자의 다른 논문 :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