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경기도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이후 식생변화 연구
The Change of Riverside Vegetation by Construction of Ecological Stream in Suwoncheon, Gyeonggi Province 원문보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v.24 no.6, 2010년, pp.723 - 734  

최일홍 (토지주택공사 토지주택연구원) ,  한봉호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 ,  기경석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초기 생태하천 조성사업인 수원천을 대상으로 조성 후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분석하고 생태하천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구간은 1차 복원사업 구간인 경기교~영연교 구간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지형구조에 따라 3개 조사구를 설정하고 횡단면 지형구조, 식생분포현황과 초본식물군집구조를 조사하였다. 하천 횡단면 지형구조 분석결과 하천 전체 폭 26.5~28.0m, 저수로 10~20m이었다.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넓은 둔치를 확보하고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은 물 흐름이 완만하고 수심이 비교적 깊은 상태였으며 보 하부 여울지역은 저수로 폭이 넓고 여울을 형성하고 있었다. 식생구조 분석결과 현재 식재종은 9종이었고 조성당시 식재한 종 중 남아있는 종은 버드나무, 갈대, 잔디, 토끼풀 등 6종이었다. 둔치지역은 조성 당시 파종한 종 중 잔디와 토끼풀 2종만이 남아있었고 금번 조사 시 관찰된 신규 식재종은 큰김의털과 오리새 2종이었다. 식재종 이외에는 자연발생종으로 강아지풀과 쑥 등 건조지성 초본이 세력을 형성하고, 귀화종이 15종으로 다양하게 출현하였다. 호안지역은 조성 당시 자연석 쌓기 공법을 적용하고 버드나무, 돌단풍과 바위취 등을 식재하였으나 현재는 식재종이 모두 사라진 상태로 쇠뜨기와 환삼덩굴 등에 의해 피복되어 있었다. 이는 생태하천 복원 당시 유지관리상의 이유로 콘크리트 기초 위에 자연석을 부착하여 식물생육 기반이 확보되지 않았기 때문으로 판단되었다. 저수로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에 조성 당시 부들, 창포 및 갈대 등 습지성 식물을 식재하였으나 현재 버드나무, 갈대와 줄만이 남아 있었고 보 상부 저수지역과 보하부 여울지역에는 갈대와 줄이 세력을 유지하고 있었다. 자연발생종으로는 고마리가 주로 우점하였고 보 하부 여울지역에서 환삼덩굴이 일부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다. 수원천의 식생관리는 친수공간 조성지역은 이용자를 고려한 식생관리 측면에서 양호한 하천식생경관의 연출이 필요하여 이를 위해 물억새를 군락으로 식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보 상부 저수지역은 줄, 부들과 갈대 등을 수심에 맞게 보완 식재가 필요하였다. 보 하부 여울지역은 갈대, 고마리 등 습윤지성 자생종이 안정적으로 세력을 형성할 수 있도록 환삼덩굴의 지속적 관리가 필요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nge in vegetation for 10 years after the construction, targeting Suwoncheon, the first domestic ecological stream construction project. As for the section for the study, the section from Gyeonggi bridge to Youngyeon bridge, the first restoration project section, wa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국내 생태하천 복원사업의 초기 복원공법 및 식재현황을 파악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수원천 경기교~영연교 구간을 대상으로 지형구조에 따른 조성유형별 식생현황을 파악하여 조성 후 10년간의 식생변화를 분석하고 생태하천의 식생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수원천의 현재 식재종은? 수원천 생태하천 복원사업 1단계 구간에 대한 식생구조분석결과 전체 조사대상지의 현재 식재종은 오리새, 큰김의 털, 노랑꽃창포, 금계국, 버드나무, 갈대, 잔디, 줄, 토기풀 등 9종이었고 조성당시 식재종 중 남아있는 종은 금계국, 버드나무, 갈대, 잔디, 줄, 토끼풀 등 6종이었다. 하천 횡단면 지형구조별 식생변화 현황을 살펴보면 둔치지역은 조성당시 잔디, 벌개미취, 원추리, 창포, 끈끈이대나물 등을 파종하여 식생을 형성하였으나 현재 남아 있는 종은 잔디와 토끼풀 2종에 불과하였다.
초본식물군집구조 조사는 어떻게 실시하였나? 횡단면유형별 식생분포는 조사구간에서 폭 2m의 Belt-transect를 설치하여 우점종에 따른 식생군락의 분포도를 도면화하였다. 초본식물군집구조는 방형구법(Quadrat method)을 이용하여 미지형의 유형에 따라 식생조사를 실시하였고 조사구별 출현종의 우점도 및 군도, 출현종수, 고유종수, 귀화종수, 귀화율을 분석하였다. 방형구는 둔치와 저수로의 식생군락이 형성된 구간에서 Belt-transect의 한변이 접하도록 2m×2m(4㎡)의 크기로 설치하였다.
수원천 경기교~매향교 구간의 자연형 하천 조성 공법의 유형은? 수원천 경기교~매향교 구간의 자연형 하천 조성 공법은 크게 3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다른 구간에 비해 상대적으로 둔치폭을 넓게 조성하여 시민들의 친수이용을 유도한 지역이다. 두 번째는 연화교 동측의 기존 콘크리트 보를 제거하고 사면형의 자연형 보를 조성하면서 유지되고 있는 보 상부의 저습지이다. 세 번째는 자연형 보서측의 유속이 빠른 여울지역으로 자연석 및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견고한 호안을 조성하고 돌틈에 식재한 지역이다(Lee, 199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Bae, J.H.(2004) A Study on distribution and planting method of vegetation by structure of cross-sectional topography and revetment -Focused on the Dorim, Banhak, Seongnae and Yangjae Stream in Seoul-.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26pp. 

  2. Choi, J.K.(1997) Application of Close-to Nature Revetment Techniques Adapted to Low Flow Channel & Monitoring of Vegetation Restoration -Case Study for Hakyoul in the Yangjaechon-. Journal of Korea Environment and Ecology 11(2): 201-213. 

  3. Choi, Y.J.(2001) Development & restorative plan of Dongchun for close-to-nature stream. Uls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08pp. 

  4. Hyun, J.L.(1998) A Study on Establishing Criterion the Rehabilitation of Riparian Vegetation: Focused on the Suip River in Kyonggi Province. Kyungwo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42pp. 

  5. Jung, T.J.(2010) A Study on the Construction Methods and the Distribution of Proper Spatial Function for Making Urban Stream into Close-to-Nature Stream -A case Study of Hongjecheon(Stream) in Seodaemun-Gu, Seoul-.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44pp. 

  6. Kim, D.W.(2006) Citizen's campaign for breaking off the consturction of covering watercourse of Suwon city. Journal of Architerctural Institute of Korea 40(7): 68-71. 

  7. Kim, S.Y., H.J. Kim and K.S. Lee(2004) The Differentiation on the Plant Flora and Vegetation Caused by the Different Technique of Stream Restoration at the Seo-Ho Str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7(3): 26-34. 

  8. Kim, J.M., Y.J. Yim and E.S. Jeon(2000) Naturalized plants of Korea. sciencebooks, 281pp. 

  9.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2002) River restoration guideline(draft). Korea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255pp. 

  10. Lee, J.H.(1998) A Study on the Planting Development after Construction for Natural Stream Style in Suwon?Yangjae Stream. Sung Kyun Kwan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81pp. 

  11. Lee, S.D., H.K. Kang and H.S. Jang(2010) Monitoring of Vegetation Changes after Constructing the Vegetation-mat Measures for Greening in Embankment-A case Study of Tancheon, Seongnam-. Journal of Korea Environment and Ecology 24(3): 302-317. 

  12. Lee, Y.K.(2004) A Syntaxnomical Schme of Riparian Vegetation. Keimyung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104pp. 

  13. Muller-Dombois, D. and J.E. Ellenberg(1974) Aims and Mothod of Vegetation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ew York, NY, 545pp. 

  14. Namgung J.K.(1999) A Study on the Close-to-Nature Improvement of Small River in Kyonggi Area.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98pp. 

  15.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2002) Development of Close-to-nature Creek Improvement Technique. Ministry of Government Administration and Home Affairs, 146pp. 

  16. Park, S.H.(1995) Illustration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jogak, 371pp. 

  17. Park, W.J.(2005) A study on change of ecological characteristics for Bulgwangcheon(stream) close-to nature section. University of Seoul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doctor, 173pp. 

  18.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1994) Classification of plant communities due to channel characteristics. Public works research institute No. 3249. 

  19. Research for River Restoration(2006) River Restoration Casebook. Cheongmoongak, 227pp. 

  20. Shin, J.Y.(1999) Analysis of Vegetation Variation after the Rehabilitation Treatment of Stream.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restoration technology 2(3): 10-17. 

  21. Sim, Y.W.(1997) A Study on applying of close-to-nature river improvement techniques in domestic river. Kyonggi University graduate school dissertation for the degree of master, 59pp. 

  22. Suwon City(1998) Detailed design Suwoncheon clear stream cleanup(natural stream). Detailed design suwoncheon clear stream. Suwon City. 

  23. Suwon environmental Movement Center(1998) Suwoncheon(stream) Revive campaign. Urban and Poverty 34: 149-15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