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제조
Wine Making using Campbell Early Grape with Different Yeasts 원문보기

한국미생물·생명공학회지 = Korean journal of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v.39 no.1, 2011년, pp.43 - 48  

김경환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한기동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재배된 시판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 5종류를 사용하여 전통 제조방법에 따른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15일간의 발효과정 중 매일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pH는 3.0~3.3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산도는 0.4~0.9%로 유지되었으며, 당도는 발효주의 초기당이 24 Brix에서 발효 종료 시 6~7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료 시 13.2~14.4%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종료시 EC-1118의 알코올 함량이 다른 효모들에 비해서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므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볼 때 효모 EC-1118이 알코올 생성 능력이 뛰어나므로 산업화에도 적합하리라고 본다. 색도분석 결과 L값은 black과 white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고, a값은 red 계열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b값은 blue와 yellow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은 1000 ppm 전후로 나타났으며, 관능평가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효모 EC-1118이 가장 높았으며, Fermivin은 색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부분에서 효모 EC-1118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서 효모 EC-1118이 캠벨얼리 포도주에 가장 적합한 효모인 것으로 판단된다. 이러한 결과가 포도주 산업과 연계된다면 더 좋은 제품이 나올 것으로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hysicochemical and organoleptic characteristics of Campbell Early red wines made by traditional method were investigated. The pH values of all Campbell Early red wines were ranged 3.0~3.3 during fermentation. The acidity value of Campbell Early red wine made by traditional method was 0.4~0.9%. Sucr...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국내산 캠벨 얼리 포도를 사용하여 발효 효모를 달리한 전통 제조방법에 따른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도주 제조법은 어떤 방법이 있는가? 포도주 제조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산미가 강한 사과산을 분해함으로써 산을 감소시켜 부드럽고 순한 포도주를 제조하는 생물학적 방법에는 malolactic fermentation과 maloalcoholic fermentation이 있다.
포도주 제조법 중 생물학적 방법에는 어떤 것이 있는가? 포도주 제조법은 물리적, 화학적, 생물학적 방법이 있는데, 이 중에서 산미가 강한 사과산을 분해함으로써 산을 감소시켜 부드럽고 순한 포도주를 제조하는 생물학적 방법에는 malolactic fermentation과 maloalcoholic fermentation이 있다.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 5종류를 사용하여 전통 제조방법에 따른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무엇인가? 인천광역시 강화군에서 재배된 시판 효모의 종류를 달리한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 5종류를 사용하여 전통 제조방법에 따른 캠벨 얼리 포도 발효주의 이화학적 및 관능적 특성을 비교하였다. 15일간의 발효과정 중 매일 시료를 채취하여 pH를 측정한 결과 pH는 3.0~3.3으로 큰 변화가 없었다. 산도는 0.4~0.9%로 유지되었으며, 당도는 발효주의 초기당이 24 Brix에서 발효 종료 시 6~7 Brix로 감소하였고, 알코올 함량은 발효 종료 시 13.2~14.4%로 나타났다. 특히, 발효 종료시 EC-1118의 알코올 함량이 다른 효모들에 비해서 많이 생성되었다. 그러므로 이화학적 특성을 비교해 볼 때 효모 EC-1118이 알코올 생성 능력이 뛰어나므로 산업화에도 적합하리라고 본다. 색도분석 결과 L값은 black과 white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고, a값은 red 계열에 가깝게 나타났으며, b값은 blue와 yellow 사이의 다양한 값이 나타났다. 폴리페놀 함량은 1000 ppm 전후로 나타났으며, 관능평가결과 전체적인 기호도는 효모 EC-1118이 가장 높았으며, Fermivin은 색을 제외한 나머지 기호도에서 전체적으로 가장 낮은 기호도를 보였다. 관능적 특성을 비교했을 때 색상, 향, 맛, 목넘김, 후미, 종합적 기호도 등 모든 부분에서 효모 EC-1118이 가장 높은 평가를 받았다. 위와 같은 연구결과로 볼 때 이화학적 특성과 관능적 특성에서 효모 EC-1118이 캠벨얼리 포도주에 가장 적합한 효모인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AOAC,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2000,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p. 942, 17th ed. Washington DC., U.S.A. 

  2. Byun, S. S. 1980, A comparative study on the manufacturing processes of red wine. Kor. J. Nutr. 13: 139-144. 

  3. Graham, H. F. 1994, Wine Microbiology and Biotechnology, pp. 165-196, Department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The university of New South Wales, Sydney, Australia. 

  4. Han, E. H., T. S. Lee, B. S. Noh, and D. S. Lee. 1997. Quality characteristics in mash of takju prepared by using different nuruk during fermentation, Kor. J. Food Sci. Technol. 29: 555-562. 

  5. Kim, J. S., S. H. Kim, J. S. Han, B. T. Yoon, and C. Yook. 1999. Effects of sugar and yeast addition on red wine fermentation using campbell early. Kor. J. Food Sci. Technol. 31: 516-521. 

  6. Lee, J. E., Y. S. Shin, J. K. Shim, S. S. Kim, and K. H. Koh. 2002. Study on the color characteristics of korean red wine, Kor. J. Food Sci. Technol. 34: 164-169. 

  7. Lee, S. O. and M. Y. Park. 1980. Immobilization of leuconostoc oenos cells for wine deacidification. Kor. J. Food Sci. Technol. 12: 299-304. 

  8. Lee, S. Y., H. A. Kang, Y. I. Chang, and K. S. Chang. 1999.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omposition of wine by reverse osmosis system, Food Eng. Prog. 3: 1-7. 

  9.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ues. 2007. Current states of fruits processing, pp. 7-8. 

  10. Ministry for Food, Agriculture, Forestry and Fisherues, 2008, Current states of fruits processing, pp. 7-8. 

  11. Mirabel, M., C. Saucier, C. Guerra, and Y. Glories. 1999. Copigmentation in model wine solution: occurrence and relation to wine aging. Am. J. Enol. Vitic. 50: 211-218. 

  12. No, W. S. and S. H. Lee. 2004. Zymurgy, pp. 114-117, Baek-san Publishing Co., Seoul. 

  13. Park, Y. H. 1975. Studies on the grape variety and the selection of yeast strain for wine - making in Korea. J. Kor. Agr. Chem. Soc. 18: 219-227. 

  14. Park, W. M., H. G. Park, S. J. Rhee, K. I. Kang, C. H. Lee, and K. E. Yoon. 2004. Properties of wine from domestic grape, vitis labrusca cultivar campbell's early, fermented by carbonic maceration vinification process. Kor. J. Food Sci. Technol. 36: 773-778. 

  15. Park, W. M., H. G. Park, S. J. Rhee, C. H. Lee, and K. E. Yoon. 2002. Suitability of domestic grape cultivar campbell's early for production of red wine. Kor. J. Food Sci. Technol. 34: 590-596. 

  16. Roh, H. L., E. H. Chang, S. T. Joeng, and K. W. Jahng, 2008. Characteristics of fermentation and wine quality. Kor. J. Food Preserv. 15: 317-324. 

  17. Singleton, V. L. and J. A. Jr. Rossi. 1965. Colorimetry of total phenolics with phosphomolybdic-phosphotungstic acid reagents. Am. J. Enol. Vitic., 16: 144-158. 

  18. So, M. H., Y. S. Lee, and W. S. Noh. 1999. Change in microorganisms and main components during takju brewing by modified nuruk. Kor. J. Food Nutr. 12: 226-232. 

  19. Yoo, J. Y., H. M. Seog, D. H. Shin, and B. Y. Min. 1984. Enological characteristics of korean grapes and quality evaluation of their wine. Kor. J. Appl. Microlobiol. Bioeng. 12: 185-1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