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IGS 자료에 의한 한반도 주변의 지각변동 특성 해석
Characteristic Analysis of Crustal Movement around Korean Peninsula By IGS Data 원문보기

한국측량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28 no.6, 2010년, pp.645 - 653  

박준규 (충남대학교 건설방재연구소) ,  강준묵 (충남대학교 공과대학 토목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한반도 주변의 지진발생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이에 따라 최선의 자료에 의한 지각변동 해석이 필요한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상시관측소의 GP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각변동의 절대속도를 정밀하게 산출하였으며, 지각변동 모델과의 비교 및 기간별 지각변동 분석을 통해 지각변동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산출된 지각변동속도로부터 유라시아 및 북아메리카 판은 남동쪽 방향, 필리핀 판은 북서쪽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한반도를 기준으로 한 상대속도 산출을 통해 북아메리카 판과 필리핀 판이 우리나라방향으로 이동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향후 동아시아 지역의 지진 및 지구물리 연구에 널리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IGS(International GNSS Service) stations were processed by the method of PPP(Precise Point Positioning), and velocities of crustal movements about the region of the Korean Peninsula were calculated precisely. The characteristics of crustal movements around Korean Peninsula were under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GPS 자료의 정밀위치해석을 통해 한반도 주변 지각판에 대한 정밀한 지각변동량을 산출하고, 지각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림 3은 전 세계 지각판으로 한반도 주변 동아시아 지역은 유라시아 판, 북아메리카판 및 필리핀 판및 태평양판이 만나고 있다.
  • 본 연구에서는 IGS 상시관측소를 통해 취득한 GP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의 정 밀한 지각변동속도 및 한반도를 기준으로 한 상대속도를 산출하고, 기간별 지각변동 분석을 통해 지각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 었다.
  • 본 연구에서는 한반도 및 주변 io개 상시관측소에 대해 지각변동 모델들을 이용해 지각변동량을 산출하고, 그 결과를 본 연구에서 결정한 정밀절대측위 결과와 비교함으로써 한반도 및 주변지역의 지각변동에 잘 부합되는 모델을 평가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IGS 상시관측소의 GPS 자료를 이용하여 한반도 주변 지 역에서 일어나고 있는 지각변동의 절대 및 상대속도를 정밀하게 산출하고, 기간별 지각변동속도 산출을 통해 지각변동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그림 2는 본 연구의 연구 흐름도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박필호 (2001), GPS를 이용한 한반도 및 동아시아의 지각속도 측정과 해석, 석사학위논문, 연세대학교. 

  2. 신영홍, 박종욱, 박필호 (2006), 한반도 남부 모호면의 변형 구조,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 Society, Vol.27, No.6, pp. 620-642. 

  3. Altamimi, Z., Sillard, P., and Boucher, C. (2002), ITRF2000: A New Release of the 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 for Earth Science Applications, JGR, Vol. 107, No.B10. 

  4. Becker, M., Reinhart, E., Nordin, S.B., Angermann, D., Michel, G. and Reigber, C. (2000), Improving the velocity field in South and South-East Asia: The third round of GEODYSSEA, Earth Planets Space, Vol.52, pp. 721-726. 

  5. Dach, R., Hugentobler, U., Fridez, P. and Meindl, M. (2007), Bemese GPS Software Version 5.0, Astronom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n, pp. 183-195. 

  6. DeMets, C., Gordon, R.G., Argus, D.F. and Stein, S. (1994), Effects of recent revision to the geomagnetic reversal timescale on estimates of current plate motions, Geophys. Res. Lett., Vol.21, No.20, pp. 2191-2194. 

  7. Dermanis, A. and Grafarend, E.W. (1993), The Finite Element Approach to the Geodetic Computation of Two-and Three-dimensional Deformation Parameters: A Study of Frame Invariance and Parameter Estimability,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 on CARTOGRAPHY-GEODESY 5th Centenary of the Americas, pp. 2-13. 

  8. Drewes, H. and Angermann, D. (2001), The Actual Plate Kinematic and Crustal Deformation Medel 2000 (APK1M2000) as a Geodetic Reference System, AIG 2001 Scientific Assembly, pp. 2-8. 

  9. Hamdy, A.M., Park, P.H. and Lim, H.C. (2005), Horizontal Deformation in South Korea from Permanent GPS Network Data, 2000-2003, Earth Planets Space, Vol.57, pp.77-82. 

  10. Jin, S., Li, Z.C. and Park, P.H. (2006), Seismicity and GPS constraints on crustal deformation in the southern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Geosciences Journal, Vol.10, No.4, pp.491-497. 

  11. Komaki, K. (1993), Horizontal crustal movements revealed by geodetic measurements : Applications of a new method for estimating displacement vectors, J. Geod. Soc. Japan, Vol.39, pp.387-410. 

  12. Kreemer, C., Holt, W. E., and Haines, A. J. (2003), An integrated global model of present-day plate motions and plate boundary deformation, Geophys. J. Int., Vol.154, pp. 8-34. 

  13. Prawirodirdjo, L. and Bock, Y., (2004), Instantaneous global plate motion model from 12 years of continuous GPS observations,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olid Earth, Vol.109, No.B08405. 

  14. Sella, G. F., Dixon, T. H. and Mao, A., (2002), REVEL: A model for recent plate velocities from space geodesy, Journal of Geophysical Research-Solid Earth, Vol.107, No.B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