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칼만필터에 기반한 GNSS 상시관측소 좌표 시계열의 지진에 따른 편의검출 기법에 관한 연구
A Study on Online Detection Schemes of Earthquake Induced Shifts in Coordinate Time Series of GNSS Continuous Operation Reference Station by Kalman Filtering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9, 2020년, pp.662 - 671  

이흥규 (창원대학교 토목환경화공융합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GNSS 상시관측소 고시좌표는 측지기준점으로써의 중요성과 다양한 위성측위 응용 분야의 활용성을 고려할 때 최고의 정확도와 최신성을 갖도록 관리해야 한다. 특히, 지진 등에 따른 지각 변위는 그 크기에 해당하는 만큼 기존 성과에 편의를 유발함으로, 그 영향이 목표 정확도를 초과할 때에는 신속히 새로운 기준 좌표를 산정·제공하는 등 적절한 조치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 자동처리 시스템과 연계 구현할 수 있는 칼만 필터에 기반 좌표 시계열의 편의검출 절차와 방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필터 이노베이션과 재추정 시계열에 적용할 수 있는 통계 검정 기법을 구현한 후 과학기술용 GNSS 소프트웨어에 의해 추정한 국내 14개소 상시관측소 2010년~2011년 시계열에 적용해 그 성능과 특징을 파악하였다. 그 결과 통계검정의 오류와 신뢰성을 고려할 때 필터링 시계열에 대한 CUSUM(Cumulative Sum) 검사는 지진 등에 따른 잔류편의 그리고 이노베이션에 대한 광역검정은 특정 에포크에서 발생하는 돌출오차 검출에 효과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t is crucial to manage and maintain the geodetic reference coordinates of GNS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 (CORSs) in consideration of their fundamental roles in geodetic control and positioning navigation infrastructure. Earthquake-induced crustal displacement directly impacts the re...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반면, 편의 판단 시점을 지진 발생 직후라 가정할 때는 충분치 않은 시계열 길이로 인해 검출이 쉽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실험에서는 지진이 유발한 지각변동이 상시관측소 성과의 갱신이 필요한 만큼인지를 통계적으로 판단할 수 있는 기법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5]에서 제시한 것과 같은 GNSS 상시관측소 데이터 자동처리 시스템이 주기적으로 추정한 좌표로 형성하는 시계열을 감시해 지진 등에 의해 발생하는 편의를 신속‧신뢰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기법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상시관측소의 수평 좌표 시계열을 입력으로 하고, PVA(Position, Velocity, Acceleration) 동적모형을 적용하는 칼만필터(Kalman filter) 기반 편의검출 절차를 도출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지진 등에 의해 GNSS 상시관측소 성과에 영향을 미칠 정도의 지각변동이 발생했을 때 자동 데이터처리 시스템과 연계해 신속하게 검출할 수 있는 기법들을 연구하였다. 이를 통해 칼만필터에 기반한 이노베이션 통계검정과 필터링 시계열에 대한 CUSUM 검정으로 이루어진 일련의 절차를 제안하였다.

가설 설정

  • 이것은 상대적으로 작은 편의로 인해 Eq. (9)의 음수 증분(zn)이 차츰 작아져 양수로 바뀌는 시간이 필요했기 때문일 것이다. CHJU 편의검출에 상당한 지연이 있었지만, 광역 통계검정으로 불가능 했던 것을 검출한 것이 중요하며, 이는 CUSUM 검정이 잔류편의 발생 즉시 검출할 수 없는 경우에도 zn가 누적으로 발견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 본 연구는 GNSS 상시관측소 좌표 시계열에 대한 통계검정으로 지진에 의한 잔류편의 검출에 관한 것으로, 지진이 발생한 이후 필요에 따라 관측데이터를 처리해 지각 변위를 분석한 [1-4]의 연구와는 차이가 있다. Fig. 1은 본 연구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칼만필터 기반의 좌표 시계열 편의검출 절차를 도시한 것으로, 자동 관측자료 처리 시스템에 의해 주기적 제공하는 일간해(daily solution)에서 속도벡터에 의해 지각변동 성분을 제거한 시계열이 지속 갱신되는 상황을 가정한 것이다. Fig.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조에서는 무엇을 위성기준점으로 구분하는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조는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좌표의 측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을 ‘위성기준점’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이 국가 측지기준체계의 구현과 유지‧관리를 주요 목적으로 설치한 약 60점의 관측소가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이 기관은 위성기준점 성과와 관측 데이터에 기초해 센티미터 수준의 고정밀 실시간 측량을 지원하는 네트워크-RTK 보정신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GNSS 상시관측소란 무엇인가? GNSS 상시관측소(COR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는 GPS, GLONASS GALILEO, BEIDOU 등의 인공위성 전자파 신호를 연속적으로 취득해 실시간 혹은 사후에 이를 사용자와 측위 응용 서비스 공급자들에게 제공하는 측위‧항법 분야의 핵심 인프라이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천문연구원이 우주측지 연구를 위해 1992년 최초로 설치한 이후 2020년 현재까지 중앙‧지방정부 및 산하 단체, 정부 출연 연구원 등에서 각 기관의 고유 업무 지원과 대국민 서비스를 위해 약 200개의 상시관측소를 설치‧운영하고 있다.
국토지리정보원에서 제공하는 네트워크-RTK 보정신호 서비스는 무엇인가? 「공간정보의 구축 및 관리 등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8조는 “지리학적 경위도, 직각좌표 및 지구중심 직교좌표의 측정 기준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경위도원점을 기초로 정한 기준점”을 ‘위성기준점’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국토지리정보원이 국가 측지기준체계의 구현과 유지‧관리를 주요 목적으로 설치한 약 60점의 관측소가 여기에 해당한다. 또한, 이 기관은 위성기준점 성과와 관측 데이터에 기초해 센티미터 수준의 고정밀 실시간 측량을 지원하는 네트워크-RTK 보정신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위성기준점의 위상과 역할을 반영할 때 그 고시좌표는 최고의 정확도와 최신성을 유지해야 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3)

  1. S.K. Kim, T.S. Bae, "Analysis of crustal deformation on the Korea Peninsula after the 2011 Tohoku earthqua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Vol. 30, No. 1, pp. 87-96, Feb. 2012. DOI: http://dx.doi.org/10.7848/ksgpc.2012.30.1.087 

  2. T.J. Jeong, "Analysis of crustal deformation using GNSS measurements after the Tohoku earthquake ", Ph.D. dissertation, Sungkyunkwan University, Korea, 127pp, 2014. 

  3. D.S. Kim, "Geodetic studies of post-seismic crustal deformations occurring in the Southern Korean Peninsula due to the Tohoku-oki earthquake ". Ph.D. dissertation, Inha University, Korea, 114pp. , 2015. 

  4. M.G. Kim, J.K. Park, "Monitoring the crustal movement before and after the earthquake by precise point positioning-focused on 2011 Tohoku Earthquak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Surveying, Geodesy, Photogrammetry and Cartography, Vol. 30, No. 5, pp. 477-484, Oct. 2012. DOI: https://doi.org/10.7848/ksgpc.2012.30.5.477 

  5. H. Lee, "Experimental implementation of continuous GPS data processing procedure for high-precision of medium-range kinematic positioning application",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3, No. 3, pp. 31-40, Mar. 2017. DOI: http://dx.doi.org/10.5762/KAIS.2017.18.3.31 

  6.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e, "Development of real-time baseline analysis techniques for GNSS continuously operating reference stations ", Final Report, 158pp. , 2017. 

  7. R. G. Brown, P.Y.C. Hwang, "Introduction to random signals and applied Kalman filtering", 3r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USA, pp. 190-449, 1997. 

  8. J.A. Farrel, M. Barth, "The global positioning system and inertial navigation", McGraw-Hill, New York, USA, pp. 102-113, 1998. 

  9. P.B. Obser, "Integrity monitoring ", Information Paper, Delft University of Technology, Netherlands, pp. 8-11, 2001. 

  10. S.P. Mertikas, "Automatic and online detection of small but persistent shifts in GPS station coordinates by statistical process control", GPS Solutions, Vol. 5, No. 1, pp. 39-50, Jul. 2001. DOI: https://doi.org/10.1007/PL00012875 

  11. H. Lee, J. Wang, C. Rizos, "Effective cycle slip detection and identification for high precision GPS/INS integration systems", Journal of Navigation, Vol. 56, No. 3, pp. 475-486, Aug. 2003. DOI: https://doi.org/10.1017/S0373463303002443 

  12. R. Dach, U. Hugentobler, P. Fridez, M. Meindl, "Bernese GPS software version 5.0 ", Astronomical Institute, University of Bern, Switzerland, pp. 437-446, 2007. 

  13. National Geographical Information Institute, "A study on strategy development to adopt international terrestrial reference frame in Korea ", Final Report, pp. 85-86, 201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