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참여디자인 방법론을 적용한 초등학교 옥외공간 계획모형 - 서울 돈암초등학교를 대상으로 -
A Design Model on Outdoor Space of Elementary School based on Participatory Approach - Case Study on Seoul Don-Am Elementary School - 원문보기

한국조경학회지 =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v.38 no.5, 2010년, pp.1 - 11  

허윤선 (서울대학교 대학원) ,  임승빈 (서울대학교 조경.지역시스템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초등학교 옥외공간은 어린이의 가장 가까운 생활공간이자 교육공간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하지만 어린이의 시선과 요구에 맞춘 공간 조성은 미비한 실정이다.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구체적이고 다양한 요구를 담아내지 못하는 현실 속에서 이러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의 도출과 적용 과정은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에 의한 설계가 필요함을 인식하고, 관련 연구 및 관련 법규의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아동참여디자인 과정 모형을 구축한 후, 서울 돈암초등학교 옥외공간 설계에 적용하였다. 스스로의 의견을 제안하고 표현하는 데에 미숙한 어린이가 쉽게 참여디자인 과정에 참여하고 의견을 표현할 수 있도록 흥미로운 도구와 게임 방법 등을 포함하여 디자인 과정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은 흥미유발 및 대상지 인지단계, 기대파악 및 표현단계, 계획요소도출 단계, 공간구상 및 공간배치단계, 의사결정 및 최종계획안 도출단계 등의 5단계로 구성된다. 이러한 과정을 서울 돈암초등학교 옥외공간의 계획 및 설계 과정에 적용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자 중심의 설계와 전문가 중심의 설계는 그 디자인 목표가 다르다는 것을 전제로 하여 결과물보다는 디자인 과정에 의미를 두고 가시적으로 보이는 물리적인 디자인의 개선뿐만 아니라 공간에 내재되어 있는 비물리적인 디자인의 개선을 기대한다. 즉, 참여디자인 과정을 통하여 시설물 개선 및 배치계획 제안이라는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참여와 관심이라는 소프트웨어를 모두 개선하여 어린이가 바라는 초등학교 만들기의 초석을 만들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실제 이용자인 어린이의 요구를 효과적으로 반영할 수 있는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하여 과정 모델의 형태로 제시하였다는 점과 이 과정을 대상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적용하여 설계에 반영하였으며, 이 설계 경험을 바탕으로 공간에 대한 참여의식과 주체의식, 주인의식과 책임의식을 고양시킴으로써 어린이가 주체가 되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을 조성하였다는 점에 의의를 둔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outdoor space of an elementary school is the most familiar and most educational area for children. A paradigm shift in education has demanded a new role and direction for these outdoor spaces. The construction of children-friendly spaces, however, lags behind. The child-participatory design pro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약도 그리기의 경우, 저학년일수록 입면적인 그림의 형태로 표현하며 전체적인 관점보다는 어린이가 자주 이용하는 공간과 선호하는 시설물 위주로 표현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고학년이 될수록 많은 요소를 표현하였으며,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전체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하였다. 또한 통학로, 도로, 주거지 등 주변 환경과의 관계를 포괄적이고, 거시적인 관점에서 표현하였다(그림 3참조).
  • 우선 아동참여디자인을 위한 사전준비과정을 거쳤다. 교사, 학부모 대표 등과 2차례의 워크샵을 진행하여 학교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고 어린이가 어떻게 참여하게 될지에 대해서 설명하였다.
  • 본 연구는 이를 바탕으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도출하고, 이를 대상지에 적용하여 어린이가 원하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을 계획·설계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 조성시 어린이의 참여가 필요 함을 전제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구축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대상 초등학교는 (1)초등학교 옥외공간이 조성된 지 10년 이상이 되어 개선이 필요한 학교, (2)학교옥외환경 개선사업 중 학교숲 등의 사업이 아직 진행 되지 않은 학교, (3)학교옥외환경 개선사업 중 학교조경활동에 학생의견수렴 및 학생들의 참여활동을 인정하여 도입할 수 있는 학교, (4)환경교육 등의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이 선행되어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참여가 자연스러운 학교, (5)아동참여에 대하여 학생들, 선생님들, 학부모들의 동의가 가능한 학교 등 5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서울 돈암초등학교’로 선정하였다.
  • Eriksen(1985)의 이상적 놀이공간 설계 단계, Sanoff(2000)의 희망 게임, Hester(2006)의 기대공간 표현 단계, 정태영(2000)의 희망표현 프로그램 등과 유사하다.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가 현재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대해 기대하는 바를 표현하도록 그림 설문과 희망 공간 설문을 진행하였다. 8∼13세 어린이의 경우, 심상의 표현인 그림에 있어서 공간에 대해 형상적, 투영적 공간 조작이 가능하며, 기하학적 공간 조작도 가능하다2)는 것을 토대로, 상상화 그리기가 공간에 대한 어린이의 상상과 기대를 표현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판단하였다.
  • 즉,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대한 관심 증대와 교육과정의 변화에 의해 참여디자인이 필요한 시점에서 초등학교 옥외공간 조성에 도입가능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의 방법론 도출과 그 적용에 관한 연구로서의 의미를 지닌다.
  •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초등학교 시설 기준에 관한 연구 및 법률, 초등학교 옥외공간 개선사업의 유형과 사례, 참여디자인에 관한 선행연구와 아동참여에 대한 이론 등을 검토하여 초등학교 옥외공간에 도입 가능한 참여디자인 과정 구상의 기본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초등학교 옥외공간은 어떠한 의미를 갖는가? 초등학교 옥외공간은 어린이의 가장 가까운 생활공간이자 교육공간이다. 새로운 교육 패러다임의 변화에 의해 초등학교 옥외공간의 새로운 역할과 방향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992년 김정호는 학교 조경공간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였는가? 학교 조경공간은 어린이가 하루의 1/3을 보내는 생활공간이자 학교의 뜰이다(김정호, 1992; 김진모와 임수영, 2007). 학교 조경공간, 즉 학교 옥외공간은 교지의 대부분을 차지하며, 어느 지역에서나 일정한 면적을 점유하는 공간으로 잠재력을 가진 오픈스페이스이다.
초등학교 옥외공간 조성시, 어린이의 참여가 필요함을 전제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구축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의의를 제시하는 본 논문에서의 조사대상 초등학교는 어떻게 선정하였는가? 본 연구는 초등학교 옥외공간 조성시 어린이의 참여가 필요 함을 전제로 아동참여디자인 과정을 구축하고 적용함으로써 그 의의를 제시하고자 한다. 조사대상 초등학교는 (1)초등학교 옥외공간이 조성된 지 10년 이상이 되어 개선이 필요한 학교, (2)학교옥외환경 개선사업 중 학교숲 등의 사업이 아직 진행 되지 않은 학교, (3)학교옥외환경 개선사업 중 학교조경활동에 학생의견수렴 및 학생들의 참여활동을 인정하여 도입할 수 있는 학교, (4)환경교육 등의 프로그램에 대한 경험이 선행되어 학생들과 선생님들의 참여가 자연스러운 학교, (5)아동참여에 대하여 학생들, 선생님들, 학부모들의 동의가 가능한 학교 등 5가지 조건을 고려하여 ‘서울 돈암초등학교’로 선정하였다. 돈암초등학교는 학교옥외환경 개선이 필요한 학교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교육과학기술부(1990)국민학교 건축계획의 모형연구. 

  2. 교육과학기술부(2006)교육통계. 

  3. 김아연(1997)어린이집 실외놀이공간 설계모형 개발 및 적용에 관한 연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 김연금,이규목(2003)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한국조경학회지 31(5):73-85. 

  5. 김인호(2002)학교조경활동 참여에 따른 환경태도 변화에 관한 연구: 초등학생 학교조경 참여를 중심으로.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박사학위논문 

  6. 김인호,김귀곤(1998)환경교육의 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에 관한 연구.한국환경교육학회 환경교육 11(1):195-2 

  7. 김정호(1992)학교조경의 실태분석과 개선방향탐색을 위한 연구:서울시 중학교를 중심으로.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8. 김진모,임수영(2007)교육시설의 공간구성과 이용방법에 관한 연구: 일본과 미국의 1970년대 이후의 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한국교육시설학회지 14(1):44-51 

  9. 김혜정(2004)김해 덕정초등학교 계획설계 연구.한국교육시설학회 춘계학술발표대회 논문집:21-38. 

  10. 문태헌,정경석,성한욱(2004)비주얼커뮤니케이션을 이용한 웹기반 협력적 도시계획모형 개발.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지 국토계획 39(7):23-36. 

  11. 안현찬(2007)주민-전문가간의 의사소통 증진을 위한 참여디자인 과정과 도구.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윤준선(2005)공립초등학교 리모델링의 경향분석 및 방향설정에 관한 연구:서울시 사례 중심으로.한국교육시설학회지 12(2):14-2 

  13. 임승빈(2007)환경심리와 인간행태.서울:보문당 

  14. 장대희,김현수(2004)초등학교 외부공간의 환경친화적 조성계획에 관한 연구.대한건축학회논문집 계획계 20(9):245-252 

  15. 정석(1988)그들이 하는 삶터 디자인과 우리 디자이너의 새 역할.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6. 정태영(2000)컴퓨터를 활용한 주민참여설계.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7. 조세환,김태현(2004)초등학교 환경교육을 위한 학교조경 실태분석: 서울시 사례연구.한국조경학회지 32(1):127-13 

  18. Al-Kodmany,K.(1999) Using visualization techniques for enhancing public participation in planning and design : process,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Landscape and Urban Planning 45:37-45 

  19. Creighton, James L.(2005)The Public Participation Handbook : Making Better Decisions through Citizen Involvement. San Francisco : Jossey- Bas 

  20. Eriksen, A. (1985) Playground Design : Outdoor Environments for Learning and Development. NewYork : Van Nostrand Reinhold Company 

  21. Hall, Kenneth B. and Gerald A. Porterfield (2001) Community by Design : New Urbanism for Suburbs and Small Communities. McGraw- Hill 

  22. Hart, R.(1997) Children's Participation. New York : Unicef 

  23. Hester, Randolph T., Jr. (2006) Design for Ecological Democracy. Boston: MIT Press. 

  24. Hunter, J., J. Layzell and N. Rogers (1998) School Landscapes : A Participative Approach to Design. London : Hampshire County Counci 

  25. Piaget, J. and B. Inhelder (1975) Die Entwicklung der Raumlichen Denkens Beim Kinde.Stuttgart : Emst Klett Verlagss. 

  26. Sanoff, Henry (2000) Community Participation Methods in Design and Planning. New York : John Wiley& Sons Inc. 

  27. Wates, Nick (2000) The Community Planning Handbook. London : Earthscan.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