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LCD 제조공정에서 물리적 세정법의 미립자 제거효율 비교 연구
Comparison of particle removal efficiency between the physical cleaning methods in the fabrication of liquid crystal display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1 no.3, 2010년, pp.795 - 801  

박창범 (호서대학교 대학원 반도체.디스플레이공학과) ,  이승준 (호서대학교 대학원 반도체.디스플레이공학과) ,  장인성 (호서대학교 환경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LCD (Liquid Crystal Display) 제조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유리기판은 점차 대형화되는 추세이고 제조공정도 세밀화되어 감에 따라 LCD 제조과정에서 세정공정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물리적 세정방법 중 브러쉬 (brush), 버블제트 (bubble jet) 및 이류체 (aqua/air) 세정법을 이용하여 미립자 (particles)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하였다. 7세대 LCD 유리기판 ($1875\;mm\;{\times}\;2200\;mm$)을 대상으로 초순수 (deionized water)의 유량 및 압력 변화와 브러쉬의 모(毛)와 유리기판과의 접촉깊이 (contact depth) 등의 운전조건 변화를 통하여 미립자의 제거효율을 비교하였고 각 세정법에 의한 유의차 분석을 통해 향후 세정장비 개발에 유용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브러쉬 세정의 경우 브러쉬 접촉깊이에 변화를 주었을 때 임계점부터는 세정효율에 유의차가 크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버블제트 세정은 압력변화에 따른 세정력 유의차가 거의 없음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이류체 세정은 압력변화시 임계점까지는 세정력 유의차가 존재하나 임계점 이후부터는 유의차가 발생하지 않았다. 상기 3가지 세정방법 중 브러쉬 세정이 주어진 조건에서는 세정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s the fabrication technology of LCDs (Liquid Crystal Displays) advances, the size of mother glass substrates is getting larger, and the fabrication process is becoming finer. Accordingly, the importance of cleaning processes grows in the fabrication process of LCDs. In this study, we have compare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D 제조공정 중 세정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세정방법의 효율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의 세정공정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즉, 브러쉬 (brush), 버블제트 (bubble jet) 및 이류체 (aqua/air) 세정법을 이용하여 미립자 (fine particles)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LCD 제조공정 중 세정공정에 사용되고 있는 물리적 세정방법의 효율을 비교 평가하여 최적의 세정공정 조건을 확립하고자 하였다. 즉, 브러쉬 (brush), 버블제트 (bubble jet) 및 이류체 (aqua/air) 세정법을 이용하여 미립자 (fine particles) 제거효율을 비교 평가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가설 설정

  • 이 때 브러쉬의 회전수는 400 rpm으로 하였다. 또한 버블제트는 유니트가 상하 두 개로 구성되어 있으며 초순수의 압력은 상(上)이 0.3 MPa이고 하(下) 압력이 0 MPa으로 설정하였다. 공기압력은 상(上)이 0.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버블제트 세정은 어떤 방법으로 이물질을 제거하는가? 두 번째 버블제트 세정은 액체와 기체를 혼합하여 수류(水流)가 미세화되고 특수노즐로 분사시켜 이물질을 제거한다. 세 번째 방법인 이류체 세정은 고압수에 기체를 혼합하여 특수 노즐로 피세정물에 직접 분사하여 세정효과를 향상시키는데 특징은 두개의 공기 공급단과 초순수 공급단이 있으며 충격압력이 버블제트의 약 2배이다.
TFT (Thin Film Transistor)-LCD란? 특히, LCD가 TV 시장에 진입하면서 대화면, 고해상도, 동영상 개선, 색재현율 개선, 소비전력 감소 등 여러 가지 기술적인 요구에 대한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2]. TFT (Thin Film Transistor)-LCD는 대다수 정보기기의 정보표시를 나타내는 필수 장치이며 산업 발전 속도에 따라 그 응용 범위는 퍼스널 컴퓨터, 노트북, 핸드폰, TV, 게임기, 산업 기기 등 그 분야 및 활용도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향후 디스플레이 시장은 응용분야가 더욱 다양해지며 정보디스플레이 시장의 다변화에 의해 전자신문 혹은 전자책 등이 적합한 전자종이 (e-paper), 휴대용에 적합한 플렉시블 (flexible)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기술 등이 최근 주목받고 있다[3].
세정기술이 반드시 공정마다 수행되어야 하는 이유는? 이처럼 기판은 점차 대형화되고 있으며 이에 따른 제조공정의 요구조건이 보다 세밀화 되고 있다. 액정 패널의 제조공정은 유리 기판 위에 미크론 단위 (μm) 의 미세가공 처리가 반복되므로 기판에 미립자 및 유기물 등으로 오염되면 미세가공 처리에 악영향을 미치게 되고 안정된 생산라인을 구축하기 불가능해진다. 따라서 세정기술이 각 제조 공정마다 반드시 수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7)

  1. 권오경, 최병덕, 이신두, 김재훈, 김용석, 도이미, 문태규, "디스플레이 공학 개론," 청범출판사, pp.12-29, 2006. 

  2. Willem den Boer, "Active Matrix Liquid Crystal Displays," Elsevier, pp. 139-177, 2005. 

  3. 이신두, "플렉시블 평판 디스플레이," 청범출판사, pp.1-10, 2008. 

  4. 홍민성, 김종민, 강신재 "TFT LCD 세정 방법에 대한 프로세스 개선에 관한 연구," 한국공작기계학회 2004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pp. 269-274, 2004. 

  5. 김두형, 황경현, "반도체.FPD 세정공정 및 기술동향," 제어.자동화.시스템공학회지 제10권, 제1호, pp.67-72, 2004. 

  6. 윤의중, 이강원, 김철호, 이석태, "반도체/디스플레이소자용 초음파 건식세정 시뮬레이션 연구,"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 1259-1263, 2004. 

  7. Mustafa Kemal Kulekci, "Processes and apparatus developments in industrial waterjet applic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Machine Tools and Manufacture, Vol. 42, pp. 1297-1306, 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