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영유아기 어머니들의 메타양육에 관한 연구
A Study on Meta-Parenting of Mothers with Preschool Children 원문보기

한국생활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human ecology, v.19 no.1, 2010년, pp.39 - 49  

한유미 (호서대학교 유아교육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troduces the construct of meta-parenting or a superordinate category of effortful cognition, including anticipation, assessment, reflection and problems. Also, it aims to analyse meta-parenting in terms of demographic variables and investigate how it relates to other cognitions on paren...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최근 부모인지의 새로운 유형으로 제시된 메타양육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기 위해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들 대상으로 메타양육의 일반적 경향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보고, 메타양육이 양육관련 다른 사고 및 양육관련 행동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나타난 주요 결과를 중심으로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영유아기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증적인 연구를 실시하여 메타양육의 일반적 경향과 인구통계학적 변인에 따른 차이를 살펴봄으로써 국내에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메타양육이라는 개념을 소개하고자 한다. 아울러 메타양육이 여타의 양육관련 사고와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메타양육에 따라 실제로 어머니들이 어떠한 양육관련 행동을 나타내는지를 밝힘으로써 메타양육의 중요성을 입증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메타양육이란? 최근 이러한 맥락에서 부모 인지의 또 다른 유형으로 메타양육(meta-parenting)이라는 개념이 등장했다. ‘메타 기억’, ‘메타논리’ 등 심리학 용어에서 흔히 사용되는 접두사 ‘메타(meta)’가 사고에 대한 고도의 인식과 계획적인 접근을 지칭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메타양육 역시 자녀 및 자녀양육과 관련된 의도적인 사고를 강조하는 것으로서(Hawk & Holden, 2006), 자신의 양육에 대한 부모의 생각(Vlach, 2005), 자녀 또는 자녀양육에 관한 부모의 생각, 자녀 및 자신의 양육에 관한 부모의 의도적인 사고(Merrifield, 2009)로 정의된다.
메타양육이 자녀를 위해서 뿐 아니라 성인(부모) 발달의 측면에서도 중요한 이유는? 나아가 Merrifield는 메타 양육은 많은 부모교육 프로그램들이 추구하는 바와 결국 동일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주장한다. 메타양육은 부모로 하여금 부모교육 프로그램에서 학습한 원리를 가정이라는 독특한 상황에 적용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따라서 메타양육은 자녀를 위해서 뿐 아니라 성인(부모) 발달의 측면에서도 중요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Goodnow, 2002; Merrifield, 2009).
메타양육의 구성 요인 중 예상의 의마와 해당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하시오. 나아가 이들은(Holden & Hawk, 2003; Hawk & Holden, 2006) 부모의 인지에 관한 광범위한 문헌고찰을 통해 메타양육을 예상, 평가, 반성적 사고, 문제해결 등의 요인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개념화했다. 예상(anticipating)은 아직 일어나지 않은 자녀양육의 측면에 관한 의도적 고려를 말하는 것으로 예상을 통해 부모의 단기 목표와 장기 목표가 구성되고 활성화된다. 예를 들어, 자녀가 기어 다니기 전에 미리 가정에 아동용 안전장치를 설치하거나(Morrongiello & Kiriakou, 2004) 유치원에 입학한 자녀에게 대학 등록금 마련을 위한 적금을 들어주는 것 등이 해당한다. 두 번째 요인인 평가(assessing)의 핵심은 자녀, 부모 자신, 맥락에 대한 부모의 평가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5)

  1. 노진형. (2005). 반성적 사고 중심의 모자 상호작용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발달지체유아 모자에 대한 적용 연구. 부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2. 이정원, 이윤진. (2008). 유치원과 보육시설 미이용 아동의 육아실태 분석. 육아정책개발센터. 

  3. 정계숙, 노진형. (2006). 부모역할에 대한 자기반성의 부모교육을 위한 함의. 열린유아교육연구, 114(4), 79-105. 

  4. 정계숙, 이은하, 고은경. (2003). 부모-자녀 놀이치료 과정에서 어머니의 자기보고에 나타난 부모역할 수행에 대한 반성과 그 의미. 아동학회지, 27(6), 13-34. 

  5. 조복희, 한유미. (2008). 속담을 통해 본 한국인의 자녀의 가치와 양육의 어려움에 관한 인식,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6(1), 85-93. 

  6. Arnold, D. S., O'Leary, S. G., Wolff, L. S., & Acker,M. M. (1993). The parenting scale: A measure of dysfunctional parenting discipline situations. Psychological Assessment, 5(2), 137-144. 

  7. Bargh, J. A. (2006). What have we been priming all theseyears? On the development, mechanisms, and ecology of nonconscious social behavior.European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36(2), 147-168. 

  8. Berk, L. E. (2001). Child Development(6th Ed.). Boston: Pearson Education. 

  9. Bond, L. A., & Burns, C. E. (2006). Mothers' beliefs about knowledge, child development, and parenting strategies: Expanding the goals of parenting program. The Journal of Primary Prevention, 27(6), 555-571. 

  10. Bristol, M. M., Gallagher, J. J., & Schopler, E. (1988). Mothers and fathers of young developmentally disabled boys: Adaptation and spousal support. Developmental Psychology, 24(3), 441-451. 

  11. Bugental, D. B., & Johnston, C. (2000). Parental and child cognitions in the context of the family. Annual Review of Psychology, 51(1), 315-344. 

  12. Furman, W., & Buhrmester, D. (1992). Age and sex differences in perceptions of networks of personal relationships. Child Development, 63, 103-115. 

  13. Furstenberg, F. F., Cook, T. D., Eccles, J., Elder, G. H., & Sameroff, A. (1999). Managing to Make It.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4. Crick, N. R., & Dodge, K. A. (1994). A review and reformulation of social information processing mechanisms in children's social adjustment. Psychological Bulletin, 115(1), 74-101. 

  15. Fonagy, P, Steele, M., Steele, H, Moran, G. S., & Higgit, A. C. (1991). The capacity for understanding mental states: The reflective self in parent and child and its significance for security of attachment. Infant Mental Health Journal, 12(3), 201-218. 

  16. Goodnow, J. J. (2002). Parents' knowledge and expectations. In M. H. Borstein (Ed.), Handbook of Parenting, Vol.3: Being and Becoming a Parent(2nd Ed.). Mawha,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17. Hawk, C. K., & Holden, G. W. (2006). Meta-parenting: An initial investigation into a new parental social cognition construct. Parenting, 6(4), 321-342. 

  18. Heath, H. (2000). Using Your Values to Raise Your Child to Be an Adult You Admire. Seattle, Washington: Parenting Press. 

  19. Holen, G. W., & Hawk, C. K. (2003). Meta-parenting in the Journey of Childrearing : A cognitive mechanism for change. In L. Kuczinsky(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Child Relations (pp. 189-210).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20. Hawk, C. K. (2007). The Social-Cognitive Underpinnings of Effective Caregiv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Texas at Austin. 

  21. Holden, G. W. (1988). Adults' thinking about a child-rearing problem: Effects of experience, parental status, and gender. Child Development, 59, 1623-1632. 

  22. Holden, G. W., & Buck, M. J. (2002). Parental attitudes toward childrearing.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2nd ed, pp. 537-562). Mawhaw, New Jersey: Erlbaum. 

  23. Kim, U., & Choi, S. (1994). Individualism, collectivism, and child development: A Korean perspective. In P. M. Greenfield., & R. R. Cocking(Eds.) Cross-Cultural Roots of Minority Child Development. New York: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4. Labouvie-Vief, G., & Diehl, M. (2000). Cognitive complexity and cognitive-affective integration: Related or separate domains of adult development?Psychology and Aging, 15(3), 490-504. 

  25. Merrifield, K. A. (2009). Marital and Coparenting Qualities: Associations with Parenting Cognition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Arizona. 

  26. Miller-Loncar, C., Landry, S. H., Smith, K. E., & Swank, P. R. (2000). The influence of complexity of maternal thoughts on sensitive parenting and children's social responsiveness. Journal of Applied Developmental Psychology, 21(3), 335-356. 

  27. Morrongiello, B. A., & Kiriakou, S. (2004). Mothers' home-safety practices for preventing six types of childhood injuries: What do they do, and why? Journal of Pediatric Psychology, 29(4), 285-297. 

  28. Nicholson, J. S., Howard, K., & Borkowski, J. G. (2008). Mental models for parenting: Correlates of metaparenting among fathers of young children. Fathering, 6(1), 39-61. 

  29. Parke, R. D., Killian, C. M., Dennis, J., Flyr, D. J., McDowell, S. S., Kim, M., & Wild, M. (2003). Managing the external environment. In L. Kuczynski (Ed.), Handbook of Dynamics in Parent Child Relations(pp. 247-270). Thousand Oaks, California: Sage. 

  30. Roskam, I. (2005). A comparative study of mothers' beliefs and childrearing behaviour: The effect of the child's disability and the mother's educational level. European Journal of Psychology of Education, 20(2), 139-153. 

  31. Sameroff, A. J., & Feil, L. A. (1985). Parental concepts of development. In I. E. Sigel (Ed.), Parental Belief Systems: The Psychological Consequences for Children(pp. 83-105). Hillsdale, New Jersey: Erlbaum. 

  32. Sigel, I. E., & McGillicuddy-DeLisi, A. V. (2002). Parentbbeliefs are cognitions. In M. H. Bornstein(Ed.), Handbook of Parenting: Vol. 3. Being and Becoming a Parent(2nd ed., pp. 485-508). Mahwah, New Jersey: Erlbaum. 

  33. Stipek, D., Daniels, D. Galluzzo, D., & Milburn, S. (1992). Characterizing early childhood education programs for poor and middle-class children.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7(1), 1-19. 

  34. Vazquez, A. (2004). Mothers' and Fathers' Complex Experiences, Complexity of Thinking about Children, and Parental Functioning: Does Stress Moderate the Association?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Pennsylvania State University. 

  35. Vlach, J. L. (2005). Meta-parenting in Parents of Infants and Toddlers. Unpublished master thesis, University of North Texa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