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의 설계·제작·적용 사례 연구
Case Study on Design,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Assistive Device for the ADL of Person with Brain Lesions 원문보기

재활복지공학회논문지 = Journal of rehabilitation welfare engineering & assistive technology, v.4 no.1, 2010년, pp.81 - 86  

이진현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연구실) ,  최미나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  임성빈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  이근민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논문은 뇌병변장애인의 일상생활을 위한 맞춤형 보조기구 설계 제작 적용 사례연구로 대구광역시보조기구센터 장애인 보조기구 사례관리 시범사업의 2010년 일상생활영역의 맞춤 서비스 사례 중 2명을 대상으로 2010년 10월 18일부터 11월 17일까지 1개월간 진행되었다. 대상자 A는 47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양하지의 근력과 기능이 많이 저하되어 바닥에서만 생활하며 스스로 변기에 올라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없었다. 이에 대상자 A에게 이동식 좌변기와 맞춤 경사로를 설계 제작하여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경사로를 올라가서 이동식 좌변기에 스스로 앉아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B는 8세 뇌병변장애인으로 손 기능이 저하되어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없었다. 기존에 나와 있는 여러 가지 식사보조도구들을 1차 적용하였으나 대상자에게 적합하지 않아 대상자 의 관절가동범위(ROM)와 손 크기를 고려하여 맞춤으로 식사보조도구를 설계 제작하였고, 작업치료와 연계하여 지속적인 훈련을 통해 향후 스스로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적용하였다. 대상자 A와 대상자 B는 기존에 나와 있는 제품의 적용이나 개조가 접근할 수 없는 사례였음으로 대상자에게 맞춤형으로 설계 제작되어 적용되었다. 본 사례연구를 통해 맞춤형 보조도구의 설계 제작 서비스의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aper is case study on design, manufacture and application of customized assistive device for the ADL of person with brain lesions. The study had carried out from October 2010 to November 2010 and 2 clients from Assistive device case management demonstration project which is performed by Daegu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3가지 종류의 식사보조도구를 각각 5점 척도로 분류하여 5회기 동안의 식사동작을 관찰하였다. 5점은 독립적 식사동작 가능, 4점은 부분적으로 식사동작 가능, 3점은 보호자의 도움으로 식사 동작 가능, 2점은 보호자의 전적인 도움으로 식사 동작 가능, 1점은 식사동작 불가능으로 나누어 관찰하였다.
  • 설계에 앞서 대상자가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올라 갈 수 있는 경사각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절가동범위(ROM) 검사와 상지근력 검사가 이루어졌다. 검사 결과 15도 이상의 경사각을 올라 갈 수 있는 충분한 상지근력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되었으나, 대상자가 바닥에서부터 좌변기까지 올라 갈 수 있는 경사로의 길이를 배려하고 최대한 적은 힘으로 경사로를 오르기 위해 9도의 경사각으로 설계하였다.
  • 검사는 총 5회를 실시하였고 매회 당 3분의 휴식시간을 가졌으며 바닥에서 경사로를 통해 좌변기에 오르는 시간까지 측정하였다. 5회기 동안의 평균값은 16.
  • 대구광역시 보조기구센터의 사례회의를 거쳐 대상자 A의 상지 잔존근력을 최대한 활용하여 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이동식 좌변기를 지원하고, 보호자의 도움 없이 스스로 배변활동을 할 수 있도록 경사로를 맞춤 설계·제작하여 적용 계획을 수립하였다.
  • 대상자 B의 경우는 손 기능 저하로 인해 정상적인 식사활동이 어려워 시판되고 있는 여러 가지 식사보조도구를 적용하였으나, 대상자에게 적합하지 않아 사용 가능한 왼손의 관절가동범위(ROM)와 손 크기를 고려하여 맞춤 설계·제작하도록 서비스 계획을 수립하였다.
  • 대상자가 바닥에 누워 비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좌변기에서 정상적인 배변활동을할 수 있도록 이동식 좌변기를 보급하였고, 대상자가 바닥에서 이동식 좌변기까지 올라가야 하는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이동식 좌변기의 프레임을 약 11cm 절단하여 이동식 좌변기와 경사로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었다. 설계에 앞서 대상자가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올라 갈 수 있는 경사각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절가동범위(ROM) 검사와 상지근력 검사가 이루어졌다.
  • 대상자의 관절가동범위(ROM)와 스위블(swivel)형태의 식사보조도구와 일자형 식사보조도구, 90도 굴곡형 식사보조도구의 적용하여 식사활동 동작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90도 굴곡형 식사보조도구의 적용이 가장 안정적인 식사동작으로 분석되어 대상자에게 맞춤으로 식사보조도구를 설계제작하였다.
  • 그림 4. 맞춤 식사보조도구 설계 - 기존의 식사도구의 비해 쉽게 잡을 수 있도록 손잡이를 제작하고, 90도 굴곡형태의 식사보조도구를 제작하였다.
  • 바닥에서부터 양쪽 옆의 손잡이를 잡고 상지의 잔존근력을 이용하여 경사로를 오를 수 있도록 설계·제작하였고, 경사로 내부의 5개의 지지대를 결합시켜 안정성을 높였다.
  • 대상자가 바닥에 누워 비정상적인 배변활동을 하는 것이 아니라 좌변기에서 정상적인 배변활동을할 수 있도록 이동식 좌변기를 보급하였고, 대상자가 바닥에서 이동식 좌변기까지 올라가야 하는 높이를 최소한으로 하기 위해 이동식 좌변기의 프레임을 약 11cm 절단하여 이동식 좌변기와 경사로의 전체적인 높이를 낮추었다. 설계에 앞서 대상자가 상지의 잔존근력으로 올라 갈 수 있는 경사각을 분석하기 위하여 관절가동범위(ROM) 검사와 상지근력 검사가 이루어졌다. 검사 결과 15도 이상의 경사각을 올라 갈 수 있는 충분한 상지근력을 가지고 있다고 분석되었으나, 대상자가 바닥에서부터 좌변기까지 올라 갈 수 있는 경사로의 길이를 배려하고 최대한 적은 힘으로 경사로를 오르기 위해 9도의 경사각으로 설계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보조공학이란 무엇인가? 기능적 한계로 인해 사회적, 물리적 환경의 제약을 받던 장애인도 과학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장애인들을 위한 보조공학 접근이 가능해지고 활성화됨에 따라 비장애인과 소통할 수 있고 사회의 일원으로서 역할을 수행할 수있도록 과학기술은 발전하고 있다[1].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이란 “장애인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다양한 기구, 서비스, 보상방법, 그리고 임상을 통해 착상 및 응용을 하여 개선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2][3]. 보조공학기기(Assistive Technology Device)는 장애를 가진 개인의 기능적 능력을 증진, 유지,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기성품의 개조 또는 맞춤 작된 장치나 보조도구를 말한다.
장애인 보조기구의 규격화와 표준화로 인한 효과적 사용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국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많은 종류들의 장애인 보조기구가 연구·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장애인 보조기구가 규격화되고 표준화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이러한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장애정도와 신체 기능의 평가를 통해 그들에게 적합한 기기를 선택하여 개인의 장애특성과 요구에 맞도록 개조를 하거나 맞춤으로 설계·제작하는 과정이 반드시 필요하다.
보조공학기기란 무엇인가? 보조공학(Assistive technology)이란 “장애인들이 직면한 문제들을 다양한 기구, 서비스, 보상방법, 그리고 임상을 통해 착상 및 응용을 하여 개선시키는 기술”을 의미한다[2][3]. 보조공학기기(Assistive Technology Device)는 장애를 가진 개인의 기능적 능력을 증진, 유지, 향상시키기 위해 사용되어지는 시중에서 구입할 수 있는 기성품의 개조 또는 맞춤 작된 장치나 보조도구를 말한다. 이러한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국외 뿐만 아니라 국내에서도 많은 종류들의 장애인 보조기구가 연구·개발되고 있지만, 대부분의 장애인 보조기구가 규격화되고 표준화되어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효과적으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가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보건사회연구원, 장애인실태조사, 2005. 

  2. Cook, A. M. & Hussey, S. M., Assistive technologies: Priciples and practice. Saint Louis, MO : Mosby, 1995. 

  3. Bain, B. K. & Leger, D., Assistive technology: An interdisciplinaryapproach.New York,NY : ChurchillLivingstone, 1997. 

  4. 황준길, 전동휠체어에 음성인식기능 추가를 통한 지체장애인의 효과적인 보조공학 서비스 적용,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석사학위논문, 2008. 

  5. 오길승, 김형우, 오도영, 남세현, "2004 보조공학서비스 욕구 및 수요 파악을 위한 실태조사", 용역연구, 제5호, pp.1-235,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2005. 

  6. 이진현, 지체장애인의 컴퓨터접근을 위한 소프트웨어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재활과학과 석사 학위논문, 2008. 

  7. 이근민, "장애인을 위한 보조공학적 접근 방안",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제33권, 제1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pp.1-28, 1999. 

  8. 정경자, "뇌성마비 학생의 식사태도 및 행동양상", 중복.지체부자유아교육, 제14권, 제1호, 한국지체부자유아교육학회, pp. 65-80, 1989. 

  9. 공진용, 안나연, 오현정, 정승민, 조재덕, "장애인복지관의 보조공학서비스 프로그램 실태조사", 보조공학저널, 제2권, 제1호, 대한재활공학회, pp.53-68, 2008. 

  10. Gerna, R. G., Techology assessment : Determining the needs. Rehabilitation Technology Review, 199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