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의 비파괴 정밀진단과 사면안정성 분석
Precisely Nondestructive Diagnosis and Slope Stability of the Bonghwa Bukjiri Maaeyeoraejwasang (Rock-Carved Seated Buddha Statue),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6 no.2, 2010년, pp.121 - 132  

조지현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조영훈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전유근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  최준현 ((주)엔가드 문화재연구소) ,  이찬희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국보 제201호)은 신라시대 지방의 권력을 잘 보여주는 거대 석불로 중립질의 복운모화강암으로 구성되어있다. 이 불상의 전암대자율 측정결과, 평균 0.41(${\times}10^{-3}$ SI unit)을 나타내며 주변의 기반암과 유사한 분포를 보였다. 현재 이 마애불상은 NE-SW 방향으로 평행한 불연속면이 발달하며, 박리 박락(41.5%), 입상분해(16.7%), 갈색 변색(40.0%)에 의한 손상이 심각하다. 초음파속도 측정 결과, 마애불상은 1,629m/s, 주변암반은 1,549m/s로 취약한 물성을 보였으나 과거 보존처리 전(628m/s)에 측정된 초음파 속도에 비해 약 900m/s 정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여전히 낮은 값이다. 이 석불의 기반암에 대한 사면안정성 평가를 수행한 결과, 마애불상에서는 전도파괴의 가능성이, 자연암반에서는 평면 및 쐐기파괴의 가능성이 나타났다. 따라서 마애불상의 안정적인 보존을 위해서는 거동 가능성이 있는 암반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시행되어야 하고, 붕괴 위험성이 높은 암반에 대해서는 지반강화 공법을 적용하여 보강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Bukjiri Maaeyeoraejwasang (National Treasure No. 201) consists of two-mica granite in medium size, which was the simbol of power in the region of the Silla period. Magnetic susceptibility of the host rock was measured as 0.41(${\times}10^{-3}$ SI unit), which has the similar range w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로 인해 X-선은 표면 오염물층은 물론 구성암석까지 투과하기 때문에 오염물질의 성분만을 검출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구성암석의 함량을 제거하기 위해 신선한 지점의 성분을 분석하여 이들의 함량차이를 구하는 필터링 과정을 수행하였다21.
  •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북지리마애여래좌상이 조각된 암반의 사면안정성 분석을 실시하여 붕괴 및 파괴가능성을 예측하였다. 또한 훼손지도, 적외선 열화상, P-XRF, 초음파탐사 등과 같은 비파괴 분석법을 이용하여 손상도에 대한 종합평가를 수행하였고, 마애불 표면을 피복하고 있는 오염물을 분석하여 화학적 풍화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였다.
  • 이 연구에서는 마애불상과 주변 암반을 대상으로 전암대자율을 측정하였다. 이 전암대자율은 외부자기장에 대한 자화강도를 의미하며, 강자성 광물인 자철석의 함량과 상관관계를 가진다.

가설 설정

  • (G) Green algae dispersed on the surface of Buddha and host rock. (H) Foliose lichen inhabited on the rock surface. (I) Herbaceous plants growing in the gap of the crack.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마애불은 어떤 가치를 담고 있는가? 마애불은 자연암반에 새겨진 석불의 한 형태로 조성당시부터 현재까지 다양한 역사적 및 예술적인 가치를 담고 있다. 그러나 오랜 시간 야외에 노출되어 자연적 및 인위적인 요인에 의해 훼손이 가중되어온 실정이다.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이란 무엇인가? 경상북도 봉화군 북지리 지림사 경내에 위치한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은 영주 가흥리마애삼존석불과 함께 통일신라 이후 지방의 권력의 상징성을 잘 보여주는 마애불이다. 그러나 이 마애불은 불상이 조각된 자연암반에 발달한 불 연속면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조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은 무엇에 의해 전체적인 구조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는가? 경상북도 봉화군 북지리 지림사 경내에 위치한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은 영주 가흥리마애삼존석불과 함께 통일신라 이후 지방의 권력의 상징성을 잘 보여주는 마애불이다. 그러나 이 마애불은 불상이 조각된 자연암반에 발달한 불 연속면으로 인해 전체적인 구조안정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고 있다. 특히 2006년도에는 집중호우로 인해 불상의 좌측 암반 약 3m 높이에서 붕괴가 발생하였고, 이로 인해 전체적인 마애불의 보존처리가 제기되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김사덕, 이명성, 한병일, 이장존, 송치영, "진천 사곡리 마애여래입상의 훼손도 진단과 보존처리". 보존과학회지, 25, p323-333, (2009). 

  2. 이선명, "서산마애삼존불상의 정밀 훼손도 진단과 미기상 환경 영향 분석 ".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154, (2007). 

  3. 엄두성, 전병규, 한민수, 이장존, 송치영, "태안마애삼존불의 보존과학적 훼손도진단과 보존환경분석". 보존과학연구, 29, p20-44, (2008). 

  4. 이찬희, 이명성, 서만철, "영주 가흥리마애삼존불상의 풍화특성과 불연속면의 안정성 해석". 지질학회지, 41, p401-413, (2005a). 

  5. 이찬희, 정연삼, 김지영, 이정은, "옥천 용암사 마애불의 거동특성 해석과 이차적 훼손". 보존과학회지, 43, p183-196, (2005b). 

  6. 이선명, 이찬희, 최석원, 윤석봉,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훼손상태 및 불연속면의 거동특성". 보존과학회지, 19, p85-98, (2006). 

  7. 진광민, 이민정, 김영석, "경주 남산 열암곡 마애여래입상 붕괴에 대한 지질학적 접근". 지질학회지, 45, p235-247, (2009). 

  8. 문명대, "마애불 ". 대원사, p131, (1991). 

  9. 국립문화재연구소, "봉화 북지리마애여래좌상". 문화재안내문안집, 제9집, 하, (1991). 

  10. 황수영, "불탑과 불상 ". 교양국사총서, p153-172, (1974). 

  11. 김재철, 이찬희, 김무연, "봉화 북지리 마애여래좌상의 풍화특성과 응급보존처리". 제25회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54-55, (2007). 

  12. Ishihara, S., "Granitoid series and mineralization in the Circum-Pacific Phanerozoic granitic belts". Resource Geology, 48, p219-224, (1998). 

  13. 양희제, 이찬희, 최석원, 이명성, "익산 미륵사지석탑 구성부재의 암석학적 특징과 석재의 원산지 해석". 지질학회지, 42, p293-306, (2006). 

  14. 이찬희, 김영택, 이명성,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지질학회지, 43, p183-196, (2007). 

  15. Lee, C.H., Kim, J. and Lee, M.S., "Petrography and provenance interpretation of the stone moulds for Bronze daggers from the Galdong Prehistoric site, Republic of Korea". Archaeometry, 52, p31-44, (2010). 

  16. Uchida, E., Cunin, O., Suda, C., Ueno, A. and Nakagawa, T., "Consideration on the construction process and the sandstone quarries during the Angkor period based on the magnetic susceptibility". 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34, p924-935, (2007). 

  17. 손치무, 김수진, "한국지질도 춘양도폭 ". 국립지질조사소, p2-18, (1963). 

  18. 김지영, 박선미, 이찬희, "논산 개태사지석불입상의 손상도와 보호각 내부의 미기후 환경". 보존과학회지, 25, p179-196, (2009). 

  19. Lee, C.H. and Yi, J.E., "Weathering damage evaluation of rock properties in the Bunhwangsa temple stone pagoda, Gyeongju, Republic of Korea". Environmental Geology, 52, p1193-1205, (2007). 

  20. Fitzner, B., Heinrichs, K., "The Bangudae petroglyph in Ulsan, Korea: studies on weathering damage and risk prognosis". Environmental Geology, 46, p504-526, (2004). 

  21. 전유근, 김원국, 조영훈, 한두루, 김선덕, 이찬희, "창녕 관룡사 약사전 벽화의 안료분석 및 비파괴 훼손도 진단". 보존과학회지, 25, p383-398, (2009). 

  22. 이현호, 이주영, "적외선카메라를 이용한 섬유쉬트 보강공법의 결함검지". 대한건축학회, 16, p1-4, (2000). 

  23. 강형규, "열화상 기법을 이용한 구조물 결함에 대한 실험적 연구". 진주산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p1-16, (2007). 

  24. 이찬희, 조영훈, 전유근, "석조문화재 풍화도 평가를 위한 초음파 측정의 설정과 직접-간접전달방법의 상관관계". 보존과학회지, 25, p233-244, (2009). 

  25. 조영훈, 노태군, 전유근, 조성남, 이찬희, "석조문화재 적용을 위한 초음파 탐사의 신뢰도 검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제26회 학술대회 발표논문집, p83-84,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