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8기 석조문화재의 기중조류 분포 및 생물오염도 평가
The Distribution of Aerial Algae and the Assessment of Biological Pollution Class at 8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6 no.3, 2010년, pp.259 - 268  

김용진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옥진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옥민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7년 4월에서 6월까지 국내 8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엽록소 a 및 색에 따른 생물오염 등급을 평가하였다. 엽록소 a 의 경우 $16.2{\sim}136.6{\mu}g{\cdot}g^{-1}$의 농도를 나타냈으며, 색은 녹색에서 검정색의 범위로 나타났다. 생물오염등급 평가 결과 물걸리삼층석탑과 수타사삼층석탑은 3등급을 나타냈고, 괘석리사사자석탑 및 5개의 문화재는 4등급 이상을 나타냄으로써 생물오염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중조류는 총 32분류군이 출현하였으며, 이 중 남조강은 16분류군이고, 녹조강은 13분류군이며 규조강은 3분류군으로 나타났다. 엽록소 a와 생물오염등급 간의 상관 분석 결과, 상관계수는 0.43을 나타냈다. 엽록소 a와 출현종 간의 상관분석에서 Trebouxia sp.와 Chroococcus bituminosus는 상관계수 0.89와 0.65로써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생물오염등급과 출현종의 경우에는 Chroococcus bituminosus, Aphanocapsa grevillei, Xenococcus acervatus, Chlorella vulgaris 및 Synechocystis pevalekii 등이 상관계수 0.54~0.65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o evaluate the biological pollution class, Chl-a concentration and color were examined in 8 stone cultural heritages of Korea from April to June 2007. In the case of Chl-a, it had the range of 16.2 to $136.6{\mu}g{\cdot}g^{-1}$, and for the range of the colors, it came out from green to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23 하지만 이러한 엽록소 a의 측정과 색을 통한 생물오염등급 산정은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을 세부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기중 조류의 군집분석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의 생물풍화에 관한 조류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월남사지삼층석탑 외 7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서식 기중조류의 분포를 밝히고, 석조문화재의 변색과 엽록소 a 측정을 통한 생물오염등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물오염등급에 따른 조류 지표종을 발굴함으로써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등급을 손쉽게 파악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석조문화재의 생물풍화에 관한 조류의 영향을 밝히기 위하여 월남사지삼층석탑 외 7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서식 기중조류의 분포를 밝히고, 석조문화재의 변색과 엽록소 a 측정을 통한 생물오염등급을 산정하고자 하였다. 또한 생물오염등급에 따른 조류 지표종을 발굴함으로써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등급을 손쉽게 파악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7년 4월에서 6월까지 국내 8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엽록소 a 및 색에 따른 생물 오염등급을 평가 하였다. 조사결과 환경요인은 방위에 따른 표면온도 및 조도가 문화재마다 큰 차이를 보였으며, 동남쪽이 북서쪽 방위에 비해 표면온도 및 조도가 높게 나타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석조문화재의 생물풍화에 관한 연구에는 어떤 방법을 사용하고 있는가? 또한 석조문화재의 생물풍화에 관한 연구는 엽록소 a를 측정하는 정량적인 분석 방법20,21,22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암석의 색과 서식 세포 수는 서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밝혀진 바 있다. 20,23 하지만 이러한 엽록소 a의 측정과 색을 통한 생물오염등급 산정은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을 세부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어 기중 조류의 군집분석을 통한 보완이 필요하다.
기중조류란 무엇인가? 기중조류(aerial algae)는 독립영양생물체인 조류를 서식처에 따라 분류했을 때, 물이 아닌 암벽, 토벽, 암석, 돌담및 육상식물 등에 서식하는 조류를 말하며, 토양조류를 기중조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2 석조문화재에 기중조류가 서식함으로써 변색에 의하여 미적가치의 감소를 가져오고3 ,조류의 높은 수분 보유 능력으로 인하여 수분의 해동과 동결이 반복됨으로써 암석에 물리적인 압력이 가해져 암석표면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하여 비 생물적인 풍화현상을 촉진시킨다.
기중조류에 의한 석조문화재의 생물학적 풍화에 관한 연구가 진행 중인 이유는? 기중조류(aerial algae)는 독립영양생물체인 조류를 서식처에 따라 분류했을 때, 물이 아닌 암벽, 토벽, 암석, 돌담및 육상식물 등에 서식하는 조류를 말하며, 토양조류를 기중조류에 포함시키기도 한다. 1,2 석조문화재에 기중조류가 서식함으로써 변색에 의하여 미적가치의 감소를 가져오고3 ,조류의 높은 수분 보유 능력으로 인하여 수분의 해동과 동결이 반복됨으로써 암석에 물리적인 압력이 가해져 암석표면의 구조적인 변화를 초래하여 비 생물적인 풍화현상을 촉진시킨다.2,4 또한 기중조류가 분비하는 대사산물에 의한 화학적인 풍화현상이 야기되며, 다른 생물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풍화를 촉진시키고5 , 이러한 풍화작용은 대부분 복합적(생물, 물리, 화학)으로 발생한다. 4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8)

  1. 정준, "한국담수조류도감 ". 아카데미출판사, 서울, 496pp, (1993). 

  2. Sze, P., "A biology of the Algae". 3rd Edition, McGraw-Hill Companies, Inc, 288pp, (1997). 

  3. Warscheid, T. and Braams, J., "Biodeterioration of stone: a review".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46, p343-368, (2000). 

  4. Jain, K.K., Mishra, A.K. and Singh, T., "Biodeterioration of stone: A review of mechanisms involved". In: Garg, K.L., Garg N. and Mukerji, K.G.(Eds.), Recent Advances in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1, p323-354, (1993). 

  5. Ortega-Clavo, J.J., Hernandez-Marine, M. and Saiz- Jimenez, C., "Experimental strategies for Investigating Algal Deterioration of Stone". In: Podrigues J., Henriques F. and Jeremias F.(Eds.), Proceedings of th 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of stone, Lisbon, Portugal, p541-549, (1992). 

  6. Gaylarde, C.C and Gaylarde, P.M.,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jor microbial biomass of biofilms on exteriors of building in Europe and Latin America".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5, p131-139, (2005). 

  7. Tian, Y., Zhang, J., Song, L. and Bao, H., "A study on aerial algae communities on the surface of carbonate rock of the yunnan stone forest". Carsologica sinica, 22, p203-211, (2003). 

  8. Sarro, M.I., Garcia, A.M., Rivalta, V.M., Mereno, D.A. and Arroyo, I., "Biodeterioration of the Lions Fountain at the Alhambra Lalace, Granada(Spain)", Build. Environ". Build. Environ, 41, p1811-1820, (2006). 

  9. Zurita, Y.P., Cultrone, G., Castillo, P.S., Sebastian, E. and Bolivar, F.C., "Microalgae associated with deteriorated stonework of the fountain of Bibatauin in Granada, Spain".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5, p55-61, (2005). 

  10. Crispim, C.A., Gaylarde, C.C and Gaylarde, P.M., "Biofilms on church walls in Proto Alegre, RS, Brazil, with special attention to cyanobacteria".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4, p121-124, (2004). 

  11. Lamenti, G., Tiano, P. and Tomaselli, L., "Biodeterioration of ornamental marble statues in th Boboli Gardens (Florence, Italy)". J. phycol., 12, p427-433, (2000). 

  12. Cezar, A.C., Peter, M.G., Christine, C.G., Brett, A.N., "Deteriogenic cyanobacteria on historic buildings in Brazil detected by culture and molecular technique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7, p239-243, (2006). 

  13. Neilan, B.A., Jacobs, D., Del, D. T., Blackall, L.L., Hawkins, P.R., Cox, P.T. and Goodman, A.E., "rRNA Sequences and Evolutionary Relationships among Toxic and Nontoxic Cyanobacteria of the Genus Microcystis", J. Bacteriol., 47, p693-697, (1997). 

  14. Miller, A.Z., Laiz, L., Gonzalez, J.M., Dionisio, A., Macedo, M.F., Saiz-Jimenez, C., "Reproducing stone monument photosynthetic-based colonization under laboratory conditions". Sci. Total Environ., 405, p278-285, (2008). 

  15. Kim, G.H., Klotchkova, T.A. and Suh, M.C., "The effect of chemical treatments on biodeterior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Kor. J. Environ. Biol, 19, p101-105, (2001). 

  16. Klotchkova, T.A and Kim, G.H., "Ornamented resting spores of a green alga, Chlorella sp., collected from the stone standing buddha statue ar Jungwon Miruksazi in Korea". Algae, 20, p295-298, (2005). 

  17. Klotchkova, T.A., Cho, G.Y., Pueschel, C.M., West, J.A. and Kim, G.H., "Biology of a terrestrial green alga Chlorococcum sp. (Chlorococcales, Chlorophyta) collected from the Miruksazi stupa in Korea". Phycologia, 45, p349-358, (2006). 

  18. 임안숙, 이옥민, "국내 5기의 석조문화재에 분포하는 기중 조류와 생물학적 등급에 관한 연구". Algae, 23, p63-69, (2008a). 

  19. 임안숙, 이옥민, "경기도내 5기 석조문화재의 기중조류의 분포와 조류 서식 등급". Algae, 23, p269-276, (2008b). 

  20. Prieto, B., Silva, B. and Lantes, O., "Biofilm quantification on stone surfaces: comparison of various methods". Sci. Total Environ., 333, p1-7, (2004). 

  21. Schumann, R., Haubner, N. Klausch, S. and Karsten, U., "Chlorophyll extraction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green microalgae colonizing building facade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5, p213-222, (2005). 

  22. Eggert, A. Haubner, N., Klausch, S. Karsten, U. and Schumann, R., "Quantification of algal biofilms colonising building materials: chlorophyll a measured by PAMfluorometry as a biomass parameter". Biofouling, 22, p79-90, (2006). 

  23. Prieto, B., Rivas, T. and Silva, B., "Rapid Quantification of Phototrophic Microorganisms and their Physiological state through their colour". Biofouling, 18, p229-236, (2002). 

  24. Kiel, G. and Gaylarde, C.C., "Bacterial diversity in biofilms on external surfaces of historic building in Porto Alegr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2, p293-297, (2005). 

  25. Jeffrey, S.W. and Humphrey, G.F., "New spectrophotometric equations for determing chlorophylls a, b, c1 and c2 in higher plants, algae and natural phytoplankton". Biochem. Physiol. Pflanzn, 167, p191-194, (1975). 

  26. Greenberg, A.E., Clesceri, L.S. and Eaton, A.N., "Standard method for the examination of water and wastewater", 21st. ed., American Public Health Association, Washington, D.C., USA, (2000). 

  27. Donner, A., Minden, V., Rickler, M., Rasch, B., "Evaluation of algae infestation on building facades using a quantitative chlorophyll a method". Qualitat/Baisaniering Schriftenreige, 13, p89-95, (2002). 

  28. Hirose, H.M., Akiyama, T., Imahori, H., Kasaki, H., Kumano, S., Kobatasi, H., Takahashi, E., Tsumura, T., Hirano, M. and Yamagishi, T.,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go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933pp, (1977). 

  29. John, D.M., Whitton, B.A. and Brook, A.J., "The Freshwater Algal Flora of the British l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702pp, (2002). 

  30. Barberousse, H., Lombardo, R.J., Tell, G. and Coute, A., "Factors involved in the colonization of building facades by algae and cyanobacteria in France". Biofouling, 22, p69-77, (2006a). 

  31.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손상메커니즘 및 평가기술 개발 ". 연구보고서, 695pp, (2007). 

  32. Tomasellie, L., Lamenti, G., Bosco, M. and Tiano, P., "Biodiversity of photosynthetic micro-organisms dwelling on stone monument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46, p251-258, (2000). 

  33. Barberousse, H., Tell, G., Yepremian, C. and Coute, A., "Diversity of algae and cyanobacteria growing on building facades in France". Algolofical Studies, 120, p81-105, (2006b). 

  34. Bordo, I.M., Sharnoff, S.D. and Sharnoff, S., "Lichens of North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New Heaven, USA, 828pp, (2001). 

  35. Descy, J.P., "New Approach to Water Quality Estimation Using Diatoms". Nova Hedwigia. Beih., 64, p305-323, (1979). 

  36. Watanabe, T., Asai, K., and Houki, A., "Numerical simulation of organic pollution in flowing waters". Hazardous Waste Containment and Treatment, 4, p251-281, (1990). 

  37. Kelly, M.G. and Whitton, B.A., "The trophic Diatom Index: a new index for monitoring eutrophication in rivers". J. Appl. Phycol., 7, p434-444, (1995). 

  38. 김경아, 김예진, 송미정, 지기원, 유평종, 김창원,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질변화 특성조사". 한국물환경학회지, 23, p814-82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