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 9기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피복도 및 기중조류 군집
The Community of Aerial Algae and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 at 9 Stone Cultural Heritages in Korea 원문보기

보존과학회지 = Journal of conservation science, v.27 no.2, 2011년, pp.145 - 154  

김용진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김옥진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  이옥민 (경기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 국내 9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색에 따른 오염등급의 평가와 생물오염피복도를 조사하였다. 생물오염피복도는 홍천물걸리삼층석탑, 수타사삼층석탑 및 수타사홍우당부도에서 90% 정도로 나타났으며, 선태류의 생물오염피복도가 15~23%의 범위로 생물오염이 가장 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에 따른 생물오염등급은 괘석리사사자삼층석탑, 수타사삼층석탑, 수타사홍우당부도가 등급 5로 오염등급이 가장 높았으며, 여주창리삼층석탑이 등급 2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상관분석 결과 생물오염등급과 지의류의 생물오염피복도는 높은 상관성(r=0.91)을 나타냈지만, 기중조류와 선태류의 생물피복도와는 상관성은 낮게 나타나 이에 대한 보완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각 출현종과 생물오염피복도(선태류, 지의류, 기중조류)의 상관분석결과 선태류의 생물피복도와 Cosmarium decedens, Chlorella ellipsoidea, Anabaena fertilissima, Botryococcus braunii, Chroococcus turgidus, Navicula cryptocephala 및 Xenococcus acervatus가 상관계수 0.56~085의 범위로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지의류의 생물피복도는 Trebouxia sp. 및 Chroococcus varius와 상관계수 0.50 및 0.43으로 나타났으며, 기중조류의 생물오염피복도는 Achnanthes laterostrata 및 Ulothrix zonata와 상관계수 0.76 및 0.57의 상관성을 나타냈다. 생물오염피복도와 상관성이 높은 기중조류는 출현 경향성이 대체로 뚜렷하게 나타나, 지표종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was to examine the biological pollution class by color of the polluted section and calculate the biological pollution coverages of 9 stone heritages in Korea, from June to November 2008.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Mulgeol-ri, Hongcheon, Three storied stone pagoda in Suta Temple and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주창리삼층석탑 외 8기의 석조 문화재를 대상으로 서식기중조류의 분포를 밝히고, 석조문화재의 변색정도와 생물오염피복도를 통한 생물오염등급을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생물오염등급에 따른 오염 지표종을 발굴함으로써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여주창리삼층석탑 외 8기의 석조 문화재를 대상으로 서식기중조류의 분포를 밝히고, 석조문화재의 변색정도와 생물오염피복도를 통한 생물오염등급을 산정하고자 한다. 또한 생물오염등급에 따른 오염 지표종을 발굴함으로써 석조문화재의 생물오염을 손쉽게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2008년 6월에서 11월까지 국내 9기의 석조문화재를 대상으로 환경요인과 생물오염피복도의 조사와 색에 따른 오염등급을 평가 하였다. 각 방위에 따른 표면온도는 각 문화재의 전면과 후면에서 차이가 가장 컸으며, 이러한 표면온도의 차이는 습도가 높은 여름철 보다 습도가 낮은 봄과 가을에 보다 많은 차이를 나타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풍화작용은 어떻게 발생하는가? 1 석조 문화재에 기중조류가 서식함으로써 변색을 유발하고2 다른 생물들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풍화를 촉진시킨다.3,4 이러한 풍화작용은 대부분 복합적(생물, 물리, 화학)으로 발생하여3, 석조문화재에 문제를 야기 시키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생물오염피복도의 조사와 색에 따른 오염등급은 어떻게 나타났는가? 색에 따른 생물오염등급은 괘석리사사자삼층석탑, 수타사삼층석탑, 수타사홍우당부도가 등급 5로 오염등급이 가장 높았으며, 여주창리삼층석탑이 등급 2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이것은 엽록소 a와 색을 모두 사용한 결과와 일치하며, Donner et al.13의 등급은 색에 의해 결정되었음을 의미 한다. 또한 상관분석결과 지의류는 생물오염등급과 높은 상관성(r=0.
기중조류에 의한 석조문화재에 대한 본 연구의 환경요인 측정은 어떻게 되는가? 환경요인 측정은 봉상 온도계를 사용하여 기온을 측정하였으며, 표면온도는 testo 830-T1(Testo, Germany)를 이용하였고, 습도는 testo 625(Testo, Germany)와 그리고 조도는 LX-1108(Lutron, Taiwan)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료의 채집은 정면, 좌측면, 후면, 우측면 방향의 한군데 이상의 정점으로 부터 시료를 채집하였으며, 채집방법은 부드러운 솔이나 멸균된 압설자를 이용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손상메커니즘 및 평가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p695, (2007). 

  2. Warscheid Th. and Braams J., "Biodeterioration of stone: a review".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46, p343-368, (2000). 

  3. Jain K.K., Mishra A.K. and Singh T. "Biodeterioration of stone: A review of mechanisms involved". In:Garg K.L., Garg N. and Mukerji K.G.(Eds.), Recent Advances in Biodeterioration and Biodegradation, 1, p323-354, (1993). 

  4. Ortega-Clavo J.J., Hernandez-Marine M. and Saiz-Jimenez C., "Experimental strategies for Investigating Algal Deterioration of Stone". In: Podrigues J., Henriques F. and Jeremias F.(Eds.), Preceedings of th 7th international congress on Deterioration and Conservation of stone, Lisbon, Portugal, p541-549, (1992). 

  5. Gaylarde C.C and Gaylarde P.M., "A comparative study of the major microbial biomass of biofilms on exteriors of building in Europe and Latin America".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5, p131-139, (2005). 

  6. Youping Tian, Jie Zhang, Linhua Song, Haosheng Bao, "A study on aerial algae communities on the surface of carbonate rock of the yunnan stone forest". Carsologica sinica, 22, p203-211, (2003). 

  7. Kim G. H., Klotchkova T.A. and Suh M.C., "The effect of chemical treatments on biodeterioration of stone cultural properties". Kor. J. Environ. Biol, 19, p101-105, (2001). 

  8. Klotchkova T.A and Kim G.H. "Ornamented resting spores of a green alga, Chlorella sp., collected from the stone standing buddha statue ar Jungwon Miruksazi in Korea". Algae, 20, p295-298, (2005). 

  9. Klotchkova T.A., Cho G.Y., Pueschel C.M., West J.A. and Kim G.H., "Biology of a terrestrial green alga Chlorococcum sp. (Chlorococcales, Chlorophyta) collected from the Miruksazi stupa in Korea". Phycologia, 45, p349-358, (2006). 

  10. 임안숙, 이옥민, "국내 5기의 석조문화재에 분포하는 기중조류와 생물학적 등급에 관한 연구". Algae, 23, p63-69, (2008a). 

  11. 임안숙, 이옥민, "경기도내 5기 석조문화재의 기중조류의 분포와 조류 서식 등급". Algae, 23, p269-276, (2008b). 

  12. 김용진, 김옥진, 이옥민, "국내 8기 석조문화재의 기중조류 분포 및 생물오염도 평가", 보존과학회지, 26, p259-268, (2010). 

  13. Donner A., Minden V., Rickler M., Rasch B., "Evaluation of algae infestation on building facades using a quantitative chlorophyll a method". Qualitat/Baisaniering Schriftenreige, 13, p89-95, (2002). 

  14. Schumann R., Haubner N. Klausch S. and Karsten U., "Chlorophyll extraction methods for the quantification of green microalgae colonizing building facades". International Biodeterioration & Biodegradation, 55, p213-222, (2005). 

  15. Bordo I.M., Sharnoff S.D. and Sharnoff S., "Lichens of North America". Yale University Press, New Heaven, USA, p828, (2001). 

  16. Kiel G. and Gaylarde C.C., "Bacterial diversity in biofilms on external surfaces of historic building in Porto Alegre". World J. Microbiol. Biotechnol, 22, p293-297, 2005). 

  17. 정준, "한국담수조류도감". 아카데미출판사, 서울, p496, (1993). 

  18. Hirose H.M., Akiyama T., Imahori H., Kasaki H., Kumano S., Kobatasi H., Takahashi E., Tsumura T., Hirano M. and Yamagishi T., "Illustrations of the Japanese freshwater algae". Uchidarokakugo publishing Co., Ltd., Tokyo, Japan. p933, (1977). 

  19. John D.M., Whitton B.A. and Brook A.J., "The Freshwater Algal Flora of the British lsles". Cambridge University Press, Cambridge, UK, p702, (2002). 

  20. Barberousse H., Lombardo R.J., Tell G. and Coute A., "Factors involved in the colonization of building facades by algae and cyanobacteria in France". Biofouling, 22, p69-77, (2006). 

  21. Zurita Y.P., Cultrone G., Castillo P.S., Sebastian E. and Bolivar F.C., "Microalgae associated with deteriorated stonework of the fountain of Bibatauin in Granada, Spain". International Biodeterioratin & Biodegradation, 55, p55-61, (2005). 

  22. 김경아, 김예진, 송미정, 지기원, 유평종, 김창원 "다변량 통계분석을 이용한 낙동강 상수원수의 수질변화 특성조사". 한국물환경학회지, 23, p814-82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