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하계 진해만 광역조사 -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단기변화와 수평적 분포특성 -
The Study of Summer Season in Jinhae Bay - Short-term Changes of Community Structure and Horizont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Phytoplankton -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8 no.3, 2010년, pp.115 - 124  

백승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김영옥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평적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16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밀도와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66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8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라피도조류순으로 관찰되었다. 규조류의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 C. didymus, C. pseudo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chia pungens, Skeletonema costatum으로 나타났고, 와편모조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mnodinium impudicum, Karenia mikimotoi, Prorocentrium minimum, Protoperidium bipes, Scrippsiella trochoidea로 관찰되었다. 각 정점별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바탕으로 한 MDS와 Cluster 분석에서 하계 진해만 광역해역은 크게 2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제1그룹은 마산만 내측 정점으로 담수기원으로 높은 영양염 농도와 낮은 염분농도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곳이다. 제2그룹은 나머지 다른 외측 정점으로 구분되었다. 정준대응을 근거로 한 분석(CCA)에서도 만 내측에 우점 출현한 크기가 작은 와편모조류 K. mikimotoi, P. minimum, P. bipes, S. trochoidea와 중심목 규조류 S. costatum, C. pseudocurvisetus는 DIN (암모니윰, 질산염, 아질산염)과 상관관계를 보였다. 이러한 결과는 본 해역에서 만 내측과 외측의 정점으로 식물 플랑크톤의 군집조성이 확연히 구분되고 있고, 특히 만내측에서 높은 Chl.a농도와 더불어 식물플랑크톤의 현존량이 높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적으로 내만의 얇은 수심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대증식을 유발할 수 있었던 것은 높은 질소기원의 영양염과 수온에 의한 영향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find out the short-term phytoplankton dynamics during summer season in Jinhae Bay, we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factors and phytoplankton population densities at 16 stations. A total of 66 phytoplankton species were appeared, diatoms occupied more than 80% of total species, and the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마산∙진해만의 광역해역에서 하계에 선택적으로 우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수평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각 정점별 출현종과 현존량을바탕으로 MDS(Multidimensional Scaling)와 Cluster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해양환경요인과 그들의 관계를 다변량 분석방법인 정준대응분석을 행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군집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는 마산∙진해만의 광역해역에서 하계에 선택적으로 우점 출현하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구조의 수평적 분포특성을 파악하고자 각 정점별 출현종과 현존량을바탕으로 MDS(Multidimensional Scaling)와 Cluster 분석을 행하였다. 또한 해양환경요인과 그들의 관계를 다변량 분석방법인 정준대응분석을 행하여 식물플랑크톤의 군집특성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진해만 광역해역에 출현한 식물플랑크톤 중, 규조류의 우점종은 무엇인가? 식물플랑크톤은 총 66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8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라피도조류순으로 관찰되었다. 규조류의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 C. didymus, C. pseudocurvisetus, Leptocylindrus danicus, Pseudo-nitzchia pungens, Skeletonema costatum으로 나타났고, 와편모조류는 Cochlodinium polykrikoides, Gymnodinium impudicum, Karenia mikimotoi, Prorocentrium minimum, Protoperidium bipes, Scrippsiella trochoidea로 관찰되었다. 각 정점별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를 바탕으로 한 MDS와 Cluster 분석에서 하계 진해만 광역해역은 크게 2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은 몇 종이 출현하였는가? 진해만 광역해역에서 하계 식물플랑크톤의 수평적 군집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서 16개 정점에서 식물플랑크톤 개체수 밀도와 환경요인을 조사하였다. 식물플랑크톤은 총 66종이 출현하였고, 전체의 80% 이상이 규조류의 점유율을 보였고, 다음으로 와편모조류와 라피도조류순으로 관찰되었다. 규조류의 우점종은 Chaetoceros affinis, C.
식물플랑크톤은 무엇인가? 해양 생태계는 매우 다양한 생물군이 복잡 다양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이들의 군집구조를 명확하게 파악하는 것은 당 해역을 효율적으로 이용 관리하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 중 식물플랑크톤은 무기물을 유기물로 전환시켜주는 해양의 기초생산자로서 해양생태계 먹이 망의 하위 영양단계를 구성하는 주요 인자이며, 그들의 출현 종조성과 군집구조의 분포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생산성과 먹이망을 통하여 물질전달과정을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김종구, 박청길, 김광수. 1994. 하계 마산만의 부영양화 제어를 위한 생태계모델의 적용. 한국환경과학회지. 3:185-195. 

  2. 김학균, 정창수, 임월애, 이창규, 김숙양, 윤성화, 조용철, 이삼근. 2001. 한국연안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변천. 한국수산학지. 34:691-696. 

  3. 박종규, 허성희, 정해진. 2001. 진해만의 식물플랑크톤: 1 광환경에 따른 광합성 특성과 일차 생산력. Algae 16:189-196. 

  4. 박주석. 1980. 한국 남해안의 식물성 Plankton의 출현량 및 조성과 이들이 먹이와 적조로서 양식생물에 미치는 영향. 수진연보. 23:7-157. 

  5. 박주석. 1982. 진해만 적조의 특성과 환경변화. 수진연보. 28:55-88. 

  6. 박주석, 이삼근. 1990. 한국남해의 식물플랑크톤의 분포와 수괴특성. 한국수산학지. 23:208-214. 

  7. 백승호, 시모데 신지, 한명수, 키쿠치 토모히코. 2008. 춘계와 하계의 영양염 농도와 그 구성비가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에 미치는 영향평가. Algae 23:277-288. 

  8. 백승호, 신경순, 현봉길, 장풍국, 김현수, 황옥명. 2010. 초여름 남해광역권의 수괴별 식물플랑크톤의 군집구조 특성. Ocean Polar Res. 32:1-13. 

  9. 유광일, 이종화. 1976. 마산만의 환경학적 연구 2. 식물플랑크톤의 년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11:34-38. 

  10. 유만호, 송태윤, 김은수, 최중기. 2007. 진해만 서부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특성.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305-314. 

  11. 이진환, 한명수, 허형택. 1981. 진해만의 적조원인생물에 관한 연구. 해양연구소 소보. 3:97-105. 

  12. 이창규, 이옥희, 이삼근. 2005. 한국연안에서 분리한 적조형성 미세조류 10종의 성장에 미치는 온도, 염분, 광도의 영향.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10:79-91. 

  13. 임동일, 김영옥, 강미란, 장풍국, 신경순, 장 만. 2007. 한국 남해 마산만에서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기초생산 제한인자. Ocean Polar Res. 29:349-366. 

  14. 임월애, 강창근, 김숙양, 이삼근, 김학균, 정익교. 2003. 여름철 남해도 연안 식물플랑크톤 군집의 단기 변화. Algae 18:49-58. 

  15. 정해진, 박종규, 최현용, 양재삼, 심재형, 신윤근, 이원호, 김형섭, 조경제. 2000.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 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5:27-36. 

  16. 조경제, 최만영, 곽승국, 임성호, 김대윤, 박종규, 김영의. 1998. 마산- 진해만 수질 부영양화 및 계절 변동. 한국해양학회지- 바다. 3:193-202. 

  17. 조은섭, 최용규. 2005.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동태. 한국환경과학회지. 14:177-184. 

  18. 한명수, 유광일. 1983. 진해만의 쌍편모조류에 관한 분류학적 연구. 제1보. 유각류와 무각류. 해양연구소 소보. 5:37-47. 

  19. Cho CH. 1981. On the Gymnodinium red tide in Jinhae Bay. Bull. Korean Fish. Soc. 14:227-232. 

  20. Clarke KR and RM Warwick. 2001. Change in Marine Communities: An Approach to Statistical Analysis and Inter-pretation, 2nd ed. PRIMER-E, Plymouth. 179pp. 

  21. Grzebyk D and B Berland. 1996. Influences of temperature, salinity and irradiance on growth of Prorocentrum minimum( Dinophyceae) from the Mediterranean Sea. J. Plankton Res. 18:1837-1849. 

  22. Hajdu S, L Elder, I Olenina and B Witek. 2000. Spreading and establishment of the potentially toxic dinoflagellate Prorocentrum minimum in the Baltic Sea. Int. Rev. Hydrobiol. 85:561-575. 

  23. Han MS, K Furuya and T Nemoto. 1992. Species-specific productivity of Skeletonema costatum in the inner part of Tokyo Bay. Mar. Ecol. Prog. Ser. 79:267-273. 

  24. Han MS, SW Kim and YO Kim. 1991. Influence of iscontinuous layer on plankton community structure and distribution in Masan Bay, Korea. Bull. Korean Fish. Soc. 24:459-471. 

  25. Ishikawa A and A Taniguchi. 1994. The role of cysts on population dynamics of Scrippsiella spp. (Dinophyceae) in Onagawa Bay, northeast Japan. Mar. Biol. 119:39-44. 

  26. Kamphake L, S Hannah and J Cohen.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earch 1:205-216. 

  27. Kim OK and MS Han. 2000. Seasonal relationships between cyst germination and vegetative population of Scrippsiella trochoidea (Dinophyceae). Mar. Ecol. Prog. Ser. 204:111-118. 

  28. Parsons TR, Y Maita and CM Lalli. 1984. A Manual of Chemical and Biological Methods for Seawater Analysis. Pergamon Press, Oxford. 173pp. 

  29. Yoo KI and JB Lee. 1986. Taxonomical studies on dinoflagellates in Masan Bay. 1. Genus Prorocentrum Ehrenberg. J. Oceanol. Soc. Korea 21:46-55. 

  30. Yoo KI and JH Lee. 1979.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1. Annual cycle of phytoplankton in relation to phytoplankton population dynamics. J. Oceanol. Soc. Korea 14: 26-31. 

  31. Yoo KI and JH Lee. 1980. Environmental studies of the Jinhae Bay. 2. Environmrntal parameters in relation to phytoplankton population dynamics. J. Oceanol. Soc. Korea 15:62-6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