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진해만에서 부유생물을 이용한 해양생태계 건강성평가 예비조사
A Prelimiary Study for Marine Ecosystem Health Assessment Using the Planktonic Organism in Jinhae Bay 원문보기

환경생물 =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al biology, v.28 no.3, 2010년, pp.125 - 132  

백승호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  최현우 (한국해양연구원 본원) ,  김영옥 (한국해양연구원 남해연구소)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하계 진해만 16개의 정점에서 해양생태계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플랑크톤 건강 지수를 살펴보았다. 해양생태계 건강지수 산출은 부유성 플랑크톤 생물 엔테로박테리아 Escherichia coli, HB, ANF, HNF, HABs 그리고 섬모충류 등과 더불어 무기와 유기 오염원인 DOC, COD, 그리고 Chl.a 등을 각각 조사하였다. 그 중 플랑크톤 지수 산출은 오염압력의 반응에 민감한 Chl.a, HABs, HB, E. coli 등 4개의 지표를 시범적 선정하였다. 또한 점수산정기준은 과거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학적 기법으로 해석하였으며, 그들 건강지수 등급도 4개로 나누었다. 그 결과 진해만 해역은 전반적으로 "좋음"의 B등급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플랑크톤 건강지수는 진해만의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로 고려하여도 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assess the effect of pollution on marine ecosystem, we examined the plankton health assessment at 16 stations during summer season in Jinhae Bay. The organic and inorganic pollutant sources (dissolved organic carbon; DOC, chemical oxygen demand; COD and Chlorophyll a; Chl.a), including p...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김 등의 2편의 총설 “연안해역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의미와 국내 적용 방향” (김 등 2007a)과 “부유생물을 이용한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김 등 2007b)를 바탕으로 오염압력이 큰 해역인 진해만의 생태계 기반 요소를 모니터링하여 해양 생태계 건강성을 평가할 수 있는 부유생물건강지수를 산출할 수 있는 기초적인 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 수계내 오염원 평가를 위해서 용존유기탄소(Dissolved organic carbon: DOC)와 현재 우리나라에서 해양환경 오염현황의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화학적 산소요구량(COD)을 참고값(Reference value)으로 활용하기 위해서 측정하였다. 용존유기탄소농도는 GF/F여과지 (사용전 550℃에서 5시간 태움)로 여과한 해수 중에 용존되어 있는 유기물을 금속촉매를 이용한 고온 연소장치에 의해 완전히 산화시킨 후 발생되는 이산화탄소의 양을 비분산형 적외선 감지기로 측정하여 정량화하였다(해양수산부 1998).
  • 1987; Okaichi 1989; 한 1999; 김 2005). 유해성 미세조류는 종의 특성에 따라 독성의 범위와 위해성의 차이는 있으나 안정성을 고려하여 최소치를 적용하면 그들의 개체수는 105 cells L-1의 농도 이상이면 어폐류를 치사하거나 폐독의 원인이 됨으로 잠정적으로 이 값을 목표치로 설정하였다.
  • coli)을 조사하였다. 추가적으로 지수로 활용할 수 있는 후보군(자가영양편모충류, 종속영양편모충류, 섬모충,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투명도)에 대해서도 검토하였다. Chl.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해양 생태계 건강성이라는 용어는 1990년 이후 어떻게 정의되었는가? 해양 생태계 건강성(Marine ecosystem health: MEH)이라는 용어는, 건강한 바다는 자연의 모습을 그대로 간직하며 바다 생물이 서로 어우러져 살며 각종 수산물이 풍성하게 수확되고 쾌적한 레저활동이 가능한 피상적인 이미지로 설명되었으나, 1990년 이후 과학적인 근거를 바탕으로 체계적으로 “바다의 생물이 활성이 있고, 생태계 구조와 유기적 관계를 유지하고 시공간적 넓은 범위의 스트레스에 저항력이 있는 상태”로 정의되었다(Rapport 1998; Epstein 1999; 김 등 2007a). Constanza (1992)는 생태계의 건강은 항상성, 안정성과 회복성, 성장과 활성, 균형성 등의 요소에 초점을 두고 이들을 잘 대변하는 적절한 지표가 요구된다고 언급하였고, Jφrgense (2005)는 건강성 평가를 위한 지표의 선별요건은 1) 생태계 구조와 기능에 관련성이 있어야 하며, 2) 각각의 항목을 조합하여 통합적으로 선별되어야 하며, 3) 공인된 기준을 갖춘 가이드라인에 의해 선별되어야 한다고 언급하고 있다.
국내에서 해양환경오염의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무엇을 근거로 평가하고 있는가? 이와 같이 연안역의 생태계를 위협하는 다양한 오염원의 압력에 대응하는 종합적인 평가 기법이 국내에서도 절실히 요구된다. 지금까지 국내에서는 해양환경오염의 지표로 사용하고 있는 것은 화학적 산소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을 근거로 평가하고 있으나, 이 기준은 수질의 등급과 목표를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결론적으로 현재 우리나라에서는 해양 생태계의 건강도를 종합적으로 평가하거나 환경오염의 상태를 공인된 기준을 갖춘 가이드라인에 따라 평가할 수 있는 방법은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하계 진해만 16개의 정점에서 해양생태계의 오염 정도를 평가하기 위해서 플랑크톤 건강 지수를 살펴본 결과, 진해만 해역은 전반적으로 어떤 등급을 받았는가? 또한 점수산정기준은 과거자료를 바탕으로 통계학적 기법으로 해석하였으며, 그들 건강지수 등급도 4개로 나누었다. 그 결과 진해만 해역은 전반적으로 “좋음”의 B등급을 받았다. 본 연구에서 산출한 플랑크톤 건강지수는 진해만의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를 하기 위한 좋은 방법 중 하나로 고려하여도 될 것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국립수산진흥원. 1991. 연안 양식어장 환경용량 산정에 관한 연구. 

  2. 권영수, 안광국. 2006. 금호강 수계에서 생물학적 하천 건강도 및 이화학적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39:145-156. 

  3. 김영옥. 2009. 해양생태게 건강지수 개발을 위한 기획연구. 한국해양연구원 보고서. 121pp. 

  4. 김영옥, 심원준, 염기대. 2007a. 연안해역 생태계 건강성 평가의 의미와 국내 적용 방향. Ocean Polar Res. 29:319-326. 

  5. 김영옥, 최현우, 장민철, 장풍국, 이인제, 신경순, 장 만. 2007b. 부유생물을 이용한 해양생태계 건강성 평가. Ocean Polar Res. 29:327-337. 

  6. 김학균. 2005. 해양적조. 다솜출판사. 466pp. 

  7.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61-371. 

  8. 이의행, 최지웅, 이재훈, 안광국. 2007. 어류모델 메트릭, 물리적 서식지 변수 및 수질특성 분석에 의한 섬진강의 생태 건강성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40:184-192. 

  9. 이주연, 한명수. 2007. 마산만 식물플랑크톤의 대발생 양상의 변화와 군집동태. 한국해양학회지-바다. 12:147-158. 

  10. 이찬원, 권영택. 1994. 마산만 준설에 따른 해양환경 종합 모니터링.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보고서. 264pp. 

  11. 임동일, 김영옥, 강미란, 장풍국, 신경순, 장 만. 2007. 한국 남해 마산만에서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기초생산 제한인자. Ocean Polar Res. 29:349-366. 

  12. 한명수. 1999. 유독 플랑크톤에 의한 연안역 폐류 독화 및 확산 예측. 해양수산부. 238pp. 

  13. 해양수산부. 1998. 해양환경공정시험법. 해양수산부고시 제 1998-4호. 316pp. 

  14. Azam F, T Fenchel, JG Field, JS Gray, LA Meyer-Reil and F Thingstad. 1983. The ecological role of water column microbes in the sea. Mar. Ecol. Prog. Ser. 126:97-102. 

  15. Buchanan C, RV Lacouture, HG Marshall and M Olson. 2005. Phytoplankton reference communities for Chesapeake Bay and its tidal tributaries. Estuaries 28:138-159. 

  16. Caron DA. 1983. Technique for enumeration of heterotrophic and phototrophic nanoplankton, using epifluorescent microscopy, and comparison with other procedures. Appl. Environmental Microb. 46:491-498. 

  17. Costanza, R. 1992. Toward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ecosystem health. pp.236-253. In Ecosystem Health: New Goals for Environmental Management (Costanza R et al. eds). Island Press, Washington, D.C. 

  18. Epstein PR. 1999. Large marine ecosystem health and human health. pp.417-438. In The Gulf of Mexico Large Marine Ecosystem: Assessment, Sustainability, and Management. Blackwell Science, Boston, MA. 

  19. Jorgense SE, FL Xu, F Salas and JC Marques. 2005. Application of indicators for the assessment of ecosystem health. pp.5-66. In Handbook of Ecological Indicators for Assessment of Ecosystem Health. CRC Press, Florida. 

  20. Kamphake L, S Hannah and J Cohen. 1967. Automated analysis for nitrate by hydrazine reduction. Water Res. 1:205-216. 

  21. Lacouture RV, JM Johnson, C Buchanan and HG Marshall. 2006. Phytoplankton Index of biotic integrity for Chesapeake Bay and its tidal tributaries. Estuaries and Coast 29:598-616. 

  22. Ogata T, T Ishimaru and M Kodama. 1987.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light intensity on growth rate, and toxicity change in Protogonyaulax tamarensis. Mar. Biol. 95:217-220. 

  23. Okaichi T. 1989. Red tide problems in the Seto Inland Sea, Japan. pp.137-142. In Red Tide Biology, Environmental Science, and Toxicology (Okaichi T, DM Anderson and T Nemoto eds.). Elsevier, NY. 

  24. Poter KG and YS Feig. 1980. The use of DAPI for identifying and counting aquatic microflora. Limnol. Oceanogr. 25: 943-948. 

  25. Rapport DJ. 1998. Dimensions of ecosystem health. pp.34-40. In Ecosystem Health. Blackwell, Oxford. 

  26. Schantz EJ, JM Lynch, G Vayvada, K Matsumoto and H Rapport. 1966. The purification and characterization of the poison produced by Gonyaulax catenella in axenix culture. Biochemistry 5:1191-1195.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