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국내 31개 호소 지점을 대상으로 동식물플랑크톤 생체량 및 생태학적 모델 적용을 고려한 호소간의 플랑크톤 동태 비교에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의 동물플랑크톤(윤충류 70종, 지각류 14종, 요각류 5종)과 554종의 식물플랑크톤(규조류 176종, 녹조류 237종, 남조류 68종 그리고 기타 73종)이 동정 확인 되었다. 플랑크톤 밀도 및 종 다양도는 지점별 및 계절별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전체 호소의 연평균 총 식물플랑크톤 밀도는 $7,350{\pm}15,592$ cells $mL^{-1}$ (n=124)이었으며, 가장 낮은 지점에서는 평균 $855{\pm}448$ cells $mL^{-1}$ (n=4), 가장 높은 지점에서는 평균 $72,048{\pm}13,4631$ cells $mL^{-1}$ (n=4)인 것으로 파악되어 호소별 식물플랑크톤 밀도 차가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동물플랑크톤 군집은 소형 동물플랑크톤인 윤충류가 우점하였으며, 지각류 및 요각류의 출현 종수는 낮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각 조사지점별 출현한 총 동물플랑크톤 종수는 상이하였으며, 호소별 평균 출현 종수는 약 3~10여 종인 것으로 나타났다. 상관관계 분석SOM 모형의 적용 결과 동식물플랑크톤의 종수와 밀도는 호소의 규모가 작을수록 높아지는 경향이 존재하고 있음을 파악할 수 있다. 조사대상 호소에 대해서 플랑크톤 군집 구조 관점에서 수자원 관리가 실시될 경우 대형 호소보다는 중소형 호소에 보다 초점을 맞추어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compares and contrasts the dynamics of plankton in 31 temperate lakes and reservoirs, and considers particularly the biomass ratio of zooplankton to phytoplankton and ecological model application. A total of 89 species of zooplankton were identified (70 rotifers, 14 cladocerans and 5 cop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국내의 경우 정수생태계에서 플랑크톤의 군집 동태, 섭식효과, 분포 등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대형 호수생태계를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며 (이 등 2005; 엄과 황 2006), 농업용 저수지 및 중소형 호소 생태계를 대상으로 한 부유생물상 간의 구조 등에 대한 비교 연구는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남서부 지역에 위치한 여러 호수 및 저수지 생태계 간의 주요 부유생물인 동물 및 식물플랑크톤 동태 변화를 비교 분석하여 수질 및 생물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국내 31개 호소 지점을 대상으로 동식물플 랑크톤 생체량 및 생태학적 모델 적용을 고려한 호소 간의 플랑크톤 동태 비교에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의 동물플랑크톤 (윤충류 70종, 지각류 14종, 요각류 5종)과 554종의 식물플랑크톤 (규조류 176종, 녹조류 237종, 남조류 68종 그리고 기타 73종)이 동정 확인 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농업용 저수지와 관련해 발생하고 있는 문제는? 국내의 호소생태계는, 대형강에 조성된 일부 인공호수 를 제외할 경우, 수심이 얕고 규모가 작은 소형호수가 대부분이며, 유역권 내 산재하는 오염원에 의해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90년대 이후 대다수의 농업용 저수지는 집수역으로부터 유입된 인과 질소로 인하여 부영양화 상태를 보이고 있고, 식물플랑크톤의 생산력 증가와 대번성 현상 등에 의해 저수지 생태계교란이 발생하고 있다 (최와 김 2002). 국내 약 18,000여개의 농업용 저수지 중 수질 등에 대해 모니터링이 실시 되고 있는 저수지는 약 1/6 수준이며, 부유 생물상 등에 대한 지속적인 모니터링은 미흡한 실정이다 (농업기반공사 2000; 이 등 2007).
인위적 간섭에 의한 호소 생태계 영양물질 순환의 변화는,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 인위적 간섭에 의한 호소 생태계 영양물질 순환의 변화는 식물플랑크톤 군집과 먹이 연쇄에서 상호 연관성이 높은 동물플랑크톤 군집 동태에 영향을 미친다(Bürgi and Stadelmann 2002). 또한, 호소 생태계별 서식환경의 차이는 부유생물상의 분포와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Kim et al.
국내 31개 호소 지점 동식물플랑크톤을 동정한 결과, 몇 종의 플랑크톤이 확인 되었나? 본 연구는 국내 31개 호소 지점을 대상으로 동식물플 랑크톤 생체량 및 생태학적 모델 적용을 고려한 호소 간의 플랑크톤 동태 비교에 목적이 있다. 조사기간 동안 총 89종의 동물플랑크톤 (윤충류 70종, 지각류 14종, 요각류 5종)과 554종의 식물플랑크톤 (규조류 176종, 녹조류 237종, 남조류 68종 그리고 기타 73종)이 동정 확인 되었다. 플랑크톤 밀도 및 종 다양도는 지점별 및 계절별 상이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3)

  1. 농업기반공사. 2000. 농업생산기반정비사업통계연보. 농림부. 

  2. 라긍환, 이학영, 김현우. 2008. 인공호수(옥정호)내 동물플랑크톤 동태 및 군집 여과율의 수직적 변화. 환경생물. 26:392-401. 

  3. 서화중. 1978. 신축 인공호의 수질본태와 오화진행에 관한 위생화학적연구 -영산강 상류, 광주호, 나주호, 장성호를 중심으로-. 한국육수학회지. 11:67-79. 

  4. 水野壽彦. 1978. 日本淡水プランクトン鑑.育社保. 351pp. 

  5. 엄성화, 황순진. 2006. 팔당호 생태계에서 동물플랑크톤과 식물플랑크톤의 섭식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9:390-401. 

  6. 유광일, 임병진, 최청일. 1987. 영산호의 동물플랑크톤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0:61-72. 

  7. 이재연, 이재훈, 신경훈, 황순진, 안광국. 2007. 우리나라 농업용 저수지의 영양상태 및 수질 특성. 한국육수학회지. 40:223-233. 

  8. 이지민, 이정준, 박종근, 이정호, 장천영, 윤성명. 2005. 대청호 남조류 대발생시기의 동물플랑크톤相및 Microcystis aeruginosa와 물벼룩류 개체군 변동의 상관관계. 한국육수학회지. 38:146-159. 

  9. 이학동, 강병찬, 김민영. 1994. 예당호 수질의 계절별 변화에 대하여. 한국육수학회지. 27:219-226. 

  10. 전지홍, 윤춘경, 함종화, 김호일, 황순진. 2002. 농업용 저수지의 물리적 인자가 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5:28-35. 

  11. 鄭濬. 1993. 韓國淡水藻類圖鑑. 아카데미서적. 496pp. 

  12. 조현영, 홍사욱. 1970. 저수지의 육수학적 연구. 한국육수학회지. 3:5-9. 

  13. 최선화, 김호일. 2002. 우리나라 수자원과 농업용수 수질오염 실태. 농어촌과 환경. 12:93-103. 

  14. Anderssen T and DO Hessen. 1991. Carbon, nitrogen and phosphorous content of freshwater zooplankton. Limnol. Oceanogr. 36:807-814. 

  15. Auer B, U Elzer and H Arndt. 2004. Comparison of pelagic food webs in lakes along a trophic gradient and with seasonal aspects: influence of resource and predation. J. Plank. Res. 26:697-709. 

  16. Bonecker CC, MY Nagae, MCM Bletller, LFM Velho and FA Lansac-Toha. 2007. Zooplankton biomass in trophical reservoirs in southern Brazil. Hydrobiologia. 579:115-123. 

  17. Burgi H and P Stadelmann. 2002. Change of phytoplankton composition and biodiversity in Lake Sempach before and during restoration. Hydrobiologia. 469:33-48. 

  18. Chon TS, YS Park, KH Moon and EY Cha. 1996. Patternizing communities by using an artificial neural network. Ecol. Modelling 90:69-78. 

  19. Dumont HJ, I Van De Velde and S Dumont. 1975. The dry weight estimate of biomass in a selection of Cladocera, Copepoda and Rotifera from the plankton, periphyton and benthods of continental waters. Oecologia. 19:75-97. 

  20. Einsle U. 1993. Crustacea, Copepoda, Calanoida und Cyclopoida. Susswasswefauna von Mitteleuropa, vol. 8, part 4-1. Gustav Fisher Verlag, Stuttugart. 

  21. Ejsmont-Karabin J. 1998. Empirical equations for biomass calculation of planktonic rotifers. Pol. Arch. Hydrobiol. 45:513-522. 

  22. Fielding AH. 1999. Machine Learning Methods for Ecological Applications. Kluwer Academic Publishers, Massachusetts. 

  23. Fillery IR, JR Simpson and SK Datta. 1986. Contribution on ammonia volatilization to total nitrogen loss after application of urea to wetland rice fields. Fertilizer Research 8:193-202. 

  24. Havens KE, TL East, J Marcus, P Essex, B Bolan, S Raymond and JR Beaver. 2000. Dynamics of the exotic Daphnia lumholtzii and native macro-zooplankton in a subtrophical chain-of-lakes in Florida, USA. Freshwater Biol. 45:21-32. 

  25. Jeong KS, DK Kim, A Pattnaik, K Bhatta, B Bhandari and GJ Joo. 2008. Patterning limnological characteristics of the Chilika lagoon (India) using a self-organizing map. Limnology 9:231-242. 

  26. Jeong KS, DK Kim, TS Chon and GJ Joo. 2005. Machine learning application to the Korean freshwater ecosystems. Kor. J. Ecology 28:405-415. 

  27. Kim HW, GJ Joo and N Walz. 2000. Differences of zooplankton development along a lake and a river stretch of the river spree (Germany). Korean J. Limnol. 33:197-205. 

  28. Kim HW, SJ Hwang, KH Chang, GJ Joo and N Walz. 2002. Longitudinal difference in zooplankton grazing on phytoand bacterioplankton in the Nakdong River (Korea). Int. Rev. Hydrobiol. 87:281-293. 

  29. Kobayashi T, P Gibbs, PI Dixon and RJ Shiel. 1996. Grazing by a river zooplankton community: Importance of microzooplankton. Mar. Freshwat. Res. 47:1025-1036. 

  30. Kohonen T. 1998. The self-organizing map. Neurocomputing: 1-6. 

  31. Kohonen T, J Hynninen, J Kangas and J Laaksonen. 1996. SOM PAK: The self-organizing map program package. Helsinki University of Technology. 

  32. Koste W. 1978. Rotatoria. Die Radertiere Mitteleuropes begrunder von Max Voigt, 2nd edn., Vol. 1. Textband, 673p., Vol. 2. Tafelband, 234p., Borntraeger, Stuttgart. 

  33. Krebs CJ. 2001. Ecology-The Experimental Analysis of Distribution and Abundance (5th eds.). Benjamin Cummings, San Francisco. 

  34. Lampert W and U Sommer. 1993. Limnookologie. Thieme Verlag. Stuttgart. 

  35. Lek S, JL Giraudel and JF Guegan. 2000. Neuronal networks: algorithms and architectures for ecologists and evolutionary ecologists. pp.3-27. In Artificial Neuronal Networks (Lek S and JF Guegan, eds.). Application to Ecology and Evolution. Springer-Verlag, Berlin. 

  36. Mullin MM, PR Sloan and RW Eppley. 1966. Relationship between carbon content, cell volume, and area in phytoplankton. Limnol. Oceanogr. 11:307-310. 

  37. Pace ML and JD Orcutt. 1981. Relative importance of protozoans, rotifers and crustaceans in a freshwater zooplankton community. Limnol. Oceanogr. 26:822-830. 

  38. Smirnov NN and BV Timms. 1983. A revision of the Australian Cladocera (Crustacean). Rec. Aust. Mus. Suppl. 1:1-132. 

  39. Spearman C. 1987. The proof and measurement of association between two thing. Am. J. Psychiat. 15:72-101. 

  40. Strathmann RR. 1967. Estimating the organic carbon content of phytoplankton from cell volume or plasma volume. Limnol. Oceanogr. 12:411-418. 

  41. WAMIS. 2010. http://water.nier.go.kr/front/waterEasy/polic01.jsp. 

  42. Zar JH. 2001. Biostatistical Analysis. Prentice Hall, NJ. 

  43. Zingel P. 1999. Pelagic ciliated protozoa in shallow eutrophic lake: community structure and seasonal dynamics. Arch. Hydrobiol. 146:495-511.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유발과제정보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