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Development of a Simulation Scenario on Emergency Nursing Care of Dyspnea Patients 원문보기

중환자간호학회지 = Journal of Korean critical care nursing, v.3 no.2, 2010년, pp.61 - 76  

강혜원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construct an algorithm of dyspnea emergency care and develop a simulation scenario for emergency care of dyspnea based on the algorithm. Methods: The first stage of this methodological study was to construct a preliminary algorithm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c...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교육을 위해서 Waxman (2010)은 현재 개발되어서 공유할 수 있는 시나리오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방대한 양의 검증된 시나리오가 개발되고 공유하여 사용될 때 까지 계속적으로 이론적 근거를 가진 시나리오를 개발하고 검증하는 것이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하다고 하였다. 또한 시나리오 개발 시 동료검토, 임상전문가 검토, 근거 검토, 사전시험 과정을 통한 타당도를 검증이 시나리오 개발에 있어 필수적인 과정이라고 하였는데, 본 연구에 있어서도 시나리오 작성 후 다양한 분야의 시뮬레이션 전문가의 타당도 검증 및 의견 수렴을 통하여 현실감을 높이고 시뮬레이션 교육 시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을 보완하는 과정을 거쳐 시나리오의 완성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갑작스럽게 발생한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관리에 대한 교육을 위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호흡곤란 응급관리 알고리듬을 작성하였으며 알고리듬에 근거하여 호흡곤란 응급관리를 위한 환자 시뮬레이터용 시나리오를 개발하여 임상적용성까지 확인 하였다.
  • 본 연구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기 위한 방법론적 연구이다.
  • 호흡곤란은 다양한 질환에 의해 발생하는 증상으로 신속하고 정확한 사정과 중재를 통한 감별진단을 요하는 증상으로서 증상관리를 위한 간호사 교육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간호사를 위한 갑자기 발생한 중등도 이상의 호흡곤란 응급 관리 알고리듬을 작성하고 이에 기반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환자 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개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사들을 대상으로 갑자기 발생한 중등도 이상의 호흡곤란을 호소하는 환자의 응급관리에 대한 교육을 위한 환자 시뮬레이터용 시나리오를 개발하는 것이다.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호흡곤란 환자 관리를 위한 선행연구로는 무엇이 있는가? 호흡곤란 환자 관리를 위한 선행연구들은 질환에 따른 호흡 곤란 발생 시 관리지침(Frakes, 1997; Jantarakupt & Porock, 2005)이나 원인질환에 대한 감별진단 지침(Shiber & Santana, 2006; Zoorob & Campbell, 2003)이 있으며, 호흡곤란의 응급관리를 위해서는 의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 관리 알고리듬(Braithwaite & Pernia, 2010)이 개발되어 있고,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환자의 응급관리에 대한 지침은 McEnroe와 Lappin (2004)이 제시한 것이 있는데 이것은 응급실에 내원한 환자의 증상을 신속하게 완화시키고 악화되지 않도록 중재하는 것의 중요성은 강조하고 있으나 실제 간호업무를 위한 지침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Yang (2005)이 신속한 의사결정을 통한 간호업무 향상을 도모하기 위하여 호흡곤란 환자 응급 간호 관리를 위한 알고리듬을 개발하였으나 호흡곤란과 관련된 전반적인 질환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며 원인 질환에 대한 감별과정이 포함되어 있지 않아 감별진단을 할 수 있는 알고리듬 개발이 필요로 된다.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질환에는 무엇이 있는가? 호흡곤란을 야기하는 질환은 급성 관상동맥 증후군, 심부전과 같은 심혈관계 질환과 폐색전, 만성 폐쇄성 폐질환, 폐렴, 천식과 같은 호흡기계 질환을 들 수 있으며(Ahmed, Hock berger, & Grazel., 2009; Jevon & Ewens, 2001; Shiber & Santana, 2006), 이러한 심폐질환으로 인한 폐의 환기/관류 불균형은 환자의 생명을 위협할 잠재성이 있기 때문에 (McEnroe & Lappin, 2004) 신속한 처치 및 원인의 감별을 통한 정확한 중재 제공이 필수적이다.
시뮬레이션 교육 중에서 환자와 유사한 인형을 활용하는 교육으로 무엇이 있는가? 간호계에서는 간호사 교육을 위하여 시뮬레이션을 교과과정에 통합하고 있는데 시뮬레이션 교육은 단순 수기술 마네킨을 비롯하여 환자시뮬레이터, 표준화 환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이루어지고 있다(Waxman, 2010). 최근 교육자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것은 환자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교육인데 환자 시뮬레이터는 컴퓨터로 조정되는 환자와 유사한 인형으로 간호학 교육에서는 신체사정, 무균술, 기본간호수기술, 기본소생술, 전문심장소생술, 기도관리, 출산 등에서 이용되고 있다(Lee, Eom, & Lee, 200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