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시뮬레이션기반 교육이 간호학생의 지식과 수행자신감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simulation based education, for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v.18 no.1, 2012년, pp.111 - 119  

허혜경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  박소미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 간호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n knowledge and performance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in the emergency care of patients with dyspnea after simulation education using a human simulator. Method: The research design wa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test-posttes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대조군에게도 학습목표와 알고리즘, 그리고 시뮬레이션 실습실에서 시나리오가 구동되는 방법에 대하여 시청각 자료를 이용한 강의를 실험군과 함께 실시하였으며, 그 후 학생들에게 실습의 진행의 순서를 공지하여 본인이 실험군인지 대조군인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게 하여 실험의 확산 효과를 막고자 하였다. 윤리적인 고려로 대조군에게도 사후 조사 후에 실험군과 동일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제공하였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호홉곤란 응급관리 사례 시나리오를 가지고 환자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를 평가하였다. 호홉곤란 응급관리 사례를 선정하기 위하여 성인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어떤 내용이 시뮬레이션 교육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와 취업병원으로부터 졸업생들에게 부족하다고 지적되어 온 내용을 검토하였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에게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한 환자시뮬레이터 시뮬레이션 교육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한 대조군 사전 사후 유사실험 설계를 사용하였다.
  • 본 연구에서 수행자신감은 구체적으로 호흡곤란 응급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자신감 정도를 측정하는 것으로 알고리즘 내용과 학습목표를 기초로 연구자들이 개발하였다. 작성된 문항은 임상경력이 3년 이상인 간호학과 대학원생 2명과 간호학과 4학년 2명을 대상으로 어휘 및 내용 검토를 거쳐 수정보완 하였다.
  • 본 연구의 목적은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호흡곤란 응급관리에 대하여 환자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 한 후 적용효과를 평가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가설은 다음과 같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학과 학생을 대상으로 호흡곤란 응급관리를 주제로 개발된 시뮬레이션 시나리오를 환자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을 실시하여 적용효과를 평가하는 연구를 실시하였다.
  • 이에 본 연구서도 주요 요인을 고려하여 시행하였으나, 학생들은 시뮬레이션 상황에 처음 노출되었고, 한 번씩만 노출된 점을 고려한다면 학생들이 경험했을 불안이 학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일선 등, 2010; Lasater, 2007; Jeffries & Rizzlol, 2006; Smith & Roehrs, 2009)고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학생들에게 시뮬레이션 교육의 목적이 평가가 아니라 학습이라는 점에 대한 설명과 함께 실제 환자가 아니기 때문에 실수를 두려워하지 않도록 하는 지지를 제공하였으며, 시뮬레이션 실습실에서 시나리오 적용 과정에 대한 시범을 보인 후에 실습을 실시하였다.
  • 본 연구는 일 대학 간호학과 학생들에게 호홉곤란 응급관리 사례 시나리오를 가지고 환자시뮬레이터를 이용한 시뮬레이션 교육 효과를 평가하였다. 호홉곤란 응급관리 사례를 선정하기 위하여 성인간호학 교육과정에서 어떤 내용이 시뮬레이션 교육에 의해서 이루어져야 할 것인가를 기존 선행연구의 결과와 취업병원으로부터 졸업생들에게 부족하다고 지적되어 온 내용을 검토하였다. 이는 시뮬레이션 교육의 많은 장점과 효과가 보고되고 있으나 비용 효과 측면에서 비싼 장비의 구입에서부터 실험실 설치와 실습 운영에서 교수의 시간과 노력 및 실습실 운영 인력의 투입 등의 비용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고일선 등, 2010; 이은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이주희, 최모나, 2011; Durham & Alden, 2008)이었다.

가설 설정

  • 가설 1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은 그룹(이하 “실험군”)은 시뮬레이션 교육을 받지 않은 그룹(이하 “대조군”)에 비하여 호흡곤란 응급관리 지식이 증가할 것이다.
  • 가설 2 실험군은 대조군보다 호흡곤란 응급관리 수행자신감이 증가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학이란 무엇인가? 간호학은 과학적 지식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의사결정을 하고 상황에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을 길러내는 학문이므로(Liaschenko & Peter, 2004) 간호교육은 간호실무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의 간호수행능력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간호실무현장에서는 의료 환경의 복잡성과 환자의 중등도 증가, 의료소비자들의 권리 의식 신장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대로 상황에 맞는 올바른 판단과 대처 능력을 가져야 하며 환자 요구에 맞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를 요구하고 있다(김윤희, 장금성, 2011;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이규영, 2009).
시뮬레이션 교육의 장점은 무엇인가? 시뮬레이션 교육은 환자나 타인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으면서 임상실무 교육을 반복할 수 있으며 실패의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실제 임상에서 일어나면 안 되는 경험을 통해 다양한 것을 배울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Durham & Alden, 2008) 응급상황 대처 교육에 효과적이다. 특히 현장 재현형인 환자시뮬레이터(Human Patient Simulator: HPS)를 활용한 교육은 임상현장을 복제한 안전한 교육환경에서 시나리오를 이용하여 임상상황에서의 문제를 직접 해결하는 과정에서 학습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며(Bond & Spillane, 2002), 임상 상황과 같은 시뮬레이션 실습을 통해 안전한 간호를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출 수 있도록 한다(Durham & Alden, 2008).
간호교육 전략은 기술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비판적사고와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전략을 개발하고 사용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간호학은 과학적 지식체를 바탕으로 실무에서 의사결정을 하고 상황에 적절한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전문인을 길러내는 학문이므로(Liaschenko & Peter, 2004) 간호교육은 간호실무에서 요구하는 일정 수준의 간호수행능력을 갖춘 간호사를 배출할 수 있어야 한다. 간호실무현장에서는 의료 환경의 복잡성과 환자의 중등도 증가, 의료소비자들의 권리 의식 신장으로 의료서비스에 대한 요구 증대로 상황에 맞는 올바른 판단과 대처 능력을 가져야 하며 환자 요구에 맞는 간호를 제공할 수 있는 간호사를 요구하고 있다(김윤희, 장금성, 2011;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이규영, 2009). 따라서 간호교육 전략은 기술수행능력 뿐만 아니라 비판적사고와 의사결정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Durham & Alden, 2008) 전략을 개발하고 사용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강혜원, 허혜경(2010). 간호사를 위한 호흡곤란 응급관리 시뮬레이션 시나리오 개발. 중환자간호학회지, 3(2), 59-74. 

  2. 고일선, 김희순, 김인숙, 김소선, 오의금, 김은정, 이주희, 강세원(2010). SimMan 시뮬레이션 학습 시나리오의 개발 및 학습 수행 평가. 기본간호학회지, 17(3), 371-381. 

  3. 김윤희, 장금성(2011). 시뮬레이션기반 심폐응급간호교육이 신규간호사의 지식, 임상수행능력 및 문제해결과정에 미치는 효과. 대한간호학회지, 41(2), 245-255. 

  4. 백지윤(2008). 시뮬레이션교육이 간호사의 전문심장소생술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중환자간호학회지, 1(1), 59-71. 

  5. 이명선, 한숙원(2011). 시뮬레이션을 활용한 실습교육이 간호학생의 간호수행능력과 문제해결 과정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26-234. 

  6. 이선옥, 엄미란, 이주희 (2007). 시뮬레이션 교육의 간호학 적용.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1), 90-94. 

  7. 이숙정, 노영숙, 김주옥, 장기인, 류언나, 박영미(2010). 호흡곤란환자 간호의 실습교육평가에서Multi-mode와 SimMan 시뮬레이션 활용 비교.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1), 51-60. 

  8. 이우숙, 조갑출, 양선희, 노영숙, 이규영(2009). 시뮬레이션 연계 문제중심학습이 간호학생의 간호기본역량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6(1), 64-72. 

  9. 이은옥, 임난영, 박현애, 이인숙, 김종임, 배정이, 이선미 (2009). 간호연구와 통계분석. 서울:수문사. 

  10. 이주희, 김소선, 여기선, 조수진, 김현래(2009). 일 대학 간호대학생의 시뮬레이션 교육 경험 분석.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83-193. 

  11. 이주희, 최모나(2011). 시뮬레이션을 적용한 임상추록 교과목의 적용효과: 일 대학의 예를 중심으로. 성인간호학회지, 23(1), 1-9. 

  12. 임경춘(2011). 간호학 실습교육에서 시뮬레이션기반학습의 방향고찰.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7(2), 246-256. 

  13. 장선주, 권은옥, 권영옥, 권희경(2010). 시뮬레이션 교육이 중환자실 신규간호사의 응급상황 관련 지식과 자기효능감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성인간호학회지, 22(4), 375-383. 

  14. Bland, A. J., Topping, A. & Wood, B. (2011). A concept analysis of simulation as a learning strategy in the education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Nurse Eduction Today, 31(7), 664-670. 

  15. Bond, W. F. & Spillane, L. (2002). The use of simulation for emergency medicine resident assessment. Academy Emergency Medicine, 9, 1295-1298. 

  16. Brannan, J. D. & Bezanson, J. L. (2008). Simulator effects on cognitive skills and confidence level.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7(11), 495-500. 

  17. Cant, R. P., & Cooper, S. J. (2009). Simulation-based learning in nurse education: systematic review. Journal of Advanced Nursing, 66(1), 3-15. 

  18. Durham, C. F. & Alden, K. R. (2008). Enhancing patient safety in nursing education through patient simulation. In R.G. Hughes (Ed.). Patient safety and quality : An evidence-based handbook for nurses. Rockville: Agency for Health Research and Quality. 

  19. Kim, H. S., Hwang, S. Y., Oh, E. G. & Lee, J. E. (2006).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BL-based continuing education for clinical nurses: A pilot study.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36(8), 1308-1314. 

  20. Jeffries,, P. R. & Rizzolo, M. A. (2006). Designing and implementing models for the innovative use of simulation to teach nursing care of ill adults and children: A national, multi-site, multi-method study. NY: National League for Nursing. 

  21. Lapkin, S. Fernandez, R., Levett-Jones, T. & Bellchambers, H. (2010). The effectiveness of nursing human patient simulation manikins in the teaching of clinical reasoning skills to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a systematic review. JBI Library of Systematic Review, 8(16), 661-694. 

  22. Lasater, K. (2007). High fidelity simulation and the developemtn of clinical judgement: students' experiences. Journal Nursing Education, 46(6), 269-275. 

  23. Liaschenko, J. & Peter, E. (2004). Nursing ethics and conceptualizations of nursing: Profession, practice and 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46(5), 488-495. 

  24. Schneider Sarver P. A. & Senczakowicz, E. A. (2010). Development of simulation scenarios for an adolescent patient with diabetic ketoacidosi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0), 578-586. 

  25. Smith, S. J. & Roehrs, C. J. (2009). High fidelity simulation: Factors correlated with nursing student satisfaction and self confidence. Nursing Education Perspective, 30(2), 74-78. 

  26. Waxman, K. T. (2010). The development of evidence-based clinical simulation scenarios: Guidelines for nurse educator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49(1), 29-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