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미술치료를 위한 컴퓨터 심리진단 장치
Computerized Psychological Test System for Art Therapy 원문보기

정보과학회논문지. Journal of KIISE. 컴퓨팅의 실제 및 레터, v.16 no.2, 2010년, pp.135 - 143  

전인호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송이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  김기현 (LG 전자 모바일 사업부) ,  임은지 (삼성 DMC) ,  김영억 (광운대학교 전자공학과)

초록

본 논문에서는 미술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아동심리 진단용 컴퓨터 장치를 제안하고 그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하고자 한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진단 대상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색상과 관련된 요소뿐만 아니라 사용된 선의 특성, 필압(pen pressure), 그림의 위치, 크기 등의 다양한 정보를 컴퓨터로 구현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 후 분석된 결과를 기반으로 치료사에게 치료 대상자에 대한 보다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진단의 신뢰성을 높이고자 한다. 미술치료는 근본적으로 진단 대상자의 그림을 평가하는 치료사의 주관이 개입될 수 있다는 단점이 존재한다. 대상자의 그림으로부터 어떤 정보를 어떻게 추출할 것인지부터 추출된 정보로부터 대상자의 심리 상태에 대한 해석에 이르기까지 전적으로 치료사가 어떤 이론을 적용하는지에 따라 달라지며, 치료사의 학문적 깊이에 따라서도 달라지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여러 정보 중에 '무엇'을 치료 대상자의 그림에서 얻어낼 수 있는지와 '어떻게' 읽어낼 것인지를 알아보고, 치료 대상자의 심리 상태를 객관적으로 판단 하기 위한 기준을 마련하는데 유용한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컴퓨터를 기반으로 한 심리 진단용 시스템을 제안하며, 대상자가 제안된 장치에 그리게 되는 그림을 통해 주제 색, 선의 특성, 필압, 그림의 위치 등의 의미 있는 데이터를 추출해 내며 이를 수치화함으로써, 미술심리치료 분석에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paper, we propose a computerized psychological test system for art therapy. The proposed system with the computerized devices can measure various information, such as colors, characters of lines, pen pressure, size of objects, position of objects, and so on, from the drawn pictures by the ch...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였다. 또한 컴퓨터를 이용한 자료 관리와 분석자료의 디지털화를 통하여 효율적인 자료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기존의 심리 진단 시스템과 본 논문에서 제안한 컴퓨터 심리 진단 장치의 성능을 표 1 에 정비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기존의 미술치료에서의 주관적 평가에 대한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미술치료 이론을 기반으로 하는 아동 심리 진단용 컴퓨터 장치를 제안하고 그에 대한 연구결과를 소개하였다. 제안된 시스템에서는 아동이 그린 그림으로부터 색의 분포, 필압, 선의 특성, 그림의 크기, 그림의 중심 위치, 펜의 사용 비율, 그림 그린 소요시간 등의 다양한 정보를 컴퓨터로 구현된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하며, 측정된 분석 결과를 기반으로 심리 진단자에게 아동에 대한 보다 많은 유용한 정보를 제공하여 치료의 효과를 높이고자 하였다.
  • 본 논문에서는 현재 미술 심리 진단 방법의 문제점을보완하고, 미술 심리 진단자의 그림 분석 시간을 줄여주며, 정확하고 객관적인 심리 진단을 도와주기 위한 컴퓨터 시스템을 제안한다, 본 시스템은 아동이 끄림을 그리는 과정을 컴퓨터화하여 수치화돤 정보를 추출한다.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술 심리 진단자가 아동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보다 정확한 심리 진단을 할 수 있게하고자 한다.
  • 추출된 정보를 기반으로 미술 심리 진단자가 아동의 심리상태를 진단하여 보다 정확한 심리 진단을 할 수 있게하고자 한다. 터치 스크린과 특수 제작된 터치 폔을 사용하여 기존의 미술 활동과의 차이를 줄이려 노력하였고, 아동의 미술 작업을 통해서 얻을 수 있는 정보를 디지털 처리가 가능하도록 하여, 선의 두께나 필압, 그리고 그림을 그린 순서 등의 심리 분석 시 필요한 다양한정보를 제공하고자 하였으며, 다시 보기 기능을 추가하여 치료자가 대상 아동을 직접 대면하지 못한 상황이나그림을 그리는 대상 아동을 콴찰함으로 인해 그림을 그리는 순서 등과 같이 누락돨 수 있는 정보 또한 제공할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진단 결과를 HTML 파일 형식의 문서로 제공하여, 미술 심리 진단자가 효율적인 자료관리를 할 수 있게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Thomas, G.V. and A.M.J. Silk, An Introduction to the Psychology of Children's Drawing, Harvester/ Wheatsheal, Hemel Hempstead, Herts, 1990. 

  2. White, C. R., Wallace, J., & Huffman, L. C. (2004). Use of drawings to identify impairment among students with emotional and behavioral disorders: An exploratory study. Art Therapy: Journal of the American Art Therapy Association, 21, pp.210-218. 

  3. Leavitt, C. G., & Schimmel, B. (1991). Assessing depression in children and adolescents using the diagnostic drawing Series modified for chileren (DDS-C). The Arts in Psychotherapy, 18, pp.353-356. 

  4. Hartwich, P. and R. Brandecker, "Computer based Art Therapy with Inpatients: Acute and Chronic Schizophrenics and Borderline Cases,"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24, pp.367-375, (1997). 

  5. 김성인, 류석, 명노해, 김승권(2005). 그림에 의한 심리 진단 전문가 시스템의 지식 체제: 한국지능정보 시스템학회 논문지 제11권 제1호 2005년 6월 (pp.65-93). 

  6. 김성인, 배준, 김재민(2005). 그림진단을 위한 주제색 및 불균형 판단의 자동화: 한미일 미술치료 국제학술 대회. 

  7. Seong-in Kim, Ph.D., Hyung-Seok Kang, B.A., Youn-Hee Kim, M.A. "A computer system for art therapy assessment of elements in structured mandala" The Arts in Psychotherapy, vol.36 (2009), pp.19-28. 

  8. Cicchetti, D.V. and S.S. Sparrow, "Developing Criteria for Establishing the Inter-rater Reliability of Specific Items in a Given Inventory," American Journal of Mental Deficiency, vol.86, pp.127-137, (1982). 

  9. Hollins, S., Horrocks, C., & Sinason, V. (1998). I can get through it. London: Gaskell/St. George Hospital Medical School. 

  10. Alschuler, R.H. and L.W. Hattwick, Painting and Personality: A Study of Young Children, Univ. of Chicago Press, Chicago, IL., 1947.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