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
A Study on the Feasibility and Future of Digital Art Therapy 원문보기

한국HCI학회 2009년도 학술대회, 2009 Feb. 09, 2009년, pp.1309 - 1315  

이상희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  원광연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  우성주 (한국과학기술원 문화기술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은 건강과 관련한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각종 사이버 상담을 비롯하여 원격 진료, 게임과 VR을 활용한 치료 등에 이르기까지 그 영역도 다양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자연스럽게 HCI 분야에서도 각종 Health Technology와 관련한 이슈에 대해 관심을 갖고 점점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러한 흐름에서 본 연구는 최근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대두되고 있는 미술치료를 화두로 디지털기술과의 다양한 접목의 가능성을 모색해보았다. 1999년 Cathy A Malchiodi는 그의 저서에서 "컴퓨터의 사용증가와 디지털기술의 발전이 다른 헬스 케어 영역에서처럼 미술치료의 영역에도 커다란 변화를 일으킬 수 있다." 라고 언급했지만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미술치료는 여전히 생소하고 낯선 개념이다. 비록 몇 몇 선구적인 연구자들이 각종 디지털기술을 미술치료와 결합하려는 시도를 하고 있긴 하지만, 많은 현장에서는 이에 대해 미술치료의 본질을 해칠지 모른다며 우려감을 표명하고 있다. 그럼에도 미술치료 영역에 디지털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조금씩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 관련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그 흐름을 분석하였다. 나아가 이 내용을 바탕으로 한국의 미술치료사를 대상으로 앞으로 디지털기술을 활용한 미술치료가 점차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나갈 수 있을 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실제적 연구방법을 통해 디지털미술치료가 향후 전통적 방식의 미술치료가 갖는 한계점을 보완하며 그 가능성을 넓혀 갈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방향은 치료보다는 예방차원에서, 단일미술치료보다는 다양한 매체와 감각을 활용하는 통합적 치료로, 또 언제 어디서든 활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끝으로 대상의 특성에 맞는 세분화된 형태의 디지털미술치료 서비스로 정리해볼 수 있었다. 즉 디지�� 미술치료, 나아가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예술치료가 현대인의 건강과 웰빙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서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해보았다. 본 연구는 새로운 콘텐츠를 위한 기반 연구로서 향후 미술치료를 비롯한 예술치료와 엔지니어 사이의 자연스러운 협업을 위한 기초 자료로서 자리매김 하였다는 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apid growth in computer and digital-base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changes in various human services including psychotherapy. This paper will look into one of these changes, focusing on a rising area of mental health therapy : Art therapy. Although development of art therapy is not so fast comp...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미술치료에 활용해온 몇 몇 사례별 연구를 흐름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냄으로서 디지털미술치료, 디지털예술치료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현장연구를 진행함으로서 디지털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에 대한 의미 있는 제안을 이끌어냈다. 즉 본 연구는 새로운 HCI 콘텐츠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디지털예술치료의 연구를 자극하고, 향후 미술치료와 엔지니어 사이의 자연스러운 협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자리매김한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 이런 배경에서 본 연구는 현재까지의 관련된  연구에 대한 체계적인 분석과 흐름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미술치료 전문가를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여 앞으로 디지털미술치료가 현대인의 건강과 웰빙을 위한 새로운 콘텐츠로서 충분히 자리매김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음을 확인해보았다.
  • 이런 상황에서 본 연구는 보다 대중화된 정신건강 치료를 위해 디지털을 활용한 미술치료를 화두로 삼았다. 컴퓨터를 비롯한 디지털 기술의 빠른 발전은 이미 건강 관련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를 일으키기 시작했다.
  • 이들을 대상으로 먼저 현재 미술치료 과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디지털기술의 종류와 사용목적에 관하여 조사한 후, 앞선 문헌연구를 통해 제시된 새로운 형태의 미술치료 내용을 바탕으로 이의 적용 가능성과 활용방안, 나아가 발전방향에 대한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후 도출된 내용을 바탕으로 기술전문가에게 자문을 구해 향후 디지털미술치료의 발전 방향에 대한 현실적 가능성과 타당성을 검증하는 절차를 거쳤다.
  • 본 연구는 디지털 기술을 직간접적으로 미술치료에 활용해온 몇 몇 사례별 연구를 흐름을 분석하고 그 의미를 찾아냄으로서 디지털미술치료, 디지털예술치료라는 새로운 분야에 대한 체계적인 접근을 시도한 최초의 연구이다, 또 문헌연구를 바탕으로 현장연구를 진행함으로서 디지털미술치료의 가능성 및 발전방향에 대한 의미 있는 제안을 이끌어냈다. 즉 본 연구는 새로운 HCI 콘텐츠를 위한 기반연구로서 디지털예술치료의 연구를 자극하고, 향후 미술치료와 엔지니어 사이의 자연스러운 협업을 위한 기초자료로서 자리매김한다는데 그 의의를 찾을 수 있겠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술치료란? 미술치료란 미술과 치료라는 두 영역의 이해 아래 다양한 미술재료를 이용하여 개인이 작업 과정 속에서 탐색하고 통찰하며 스스로 자신과의 대화를 가능케 하는 심리치료 방법이다[9,10]. 그 대상은 유아에서 노인까지 모든 연령층에게 가능하며 미술에 대한 개인적 자질이나 흥미가 없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개인의 문제나 갈등을 수용하거나 치료하는데 많은 힘을 발휘한다.
미술치료가 가능한 대상은? 미술치료란 미술과 치료라는 두 영역의 이해 아래 다양한 미술재료를 이용하여 개인이 작업 과정 속에서 탐색하고 통찰하며 스스로 자신과의 대화를 가능케 하는 심리치료 방법이다[9,10]. 그 대상은 유아에서 노인까지 모든 연령층에게 가능하며 미술에 대한 개인적 자질이나 흥미가 없다고 하더라도 충분히 접근할 수 있는 치료법으로 개인의 문제나 갈등을 수용하거나 치료하는데 많은 힘을 발휘한다. 현재 한국에서도 대체의학의 한 분야로 유아에서 노인 등 전 연령층에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되어지며 점차 많이 활용되고 있다[10].
미술치료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가? 미술치료를 위한 기본적인 요소들은 미술치료가 진행되기 위해 필요한 시간(Time)1), 활동이 이루어지는 물리적인 공간 내담자가 사용하게 되는 각종 재료 (Space), (Material), 활동과정의 기록 및 내담자가 만들어 낸 작품의 보관 (Recording/Archiving), 내담자 사태의 진단과 치료과정 평가(Diagnosis/Assessment) 치료사와 내담자 및 그 보호자, 와의 적절한 관계형성(Relationship)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이 요소들이 모두 적절하게 구비되고 뒷받침되었을 때 제대로 된 미술치료와 바람직한 치료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9].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