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상 신생아의 출생 후 흡인에 따른 산소포화도, 활력징후 및 구토
A Study on Oxygen Saturation, Vital Signs, and Vomiting by Routine Suctioning to Healthy Newborns at Nursery 원문보기

아동간호학회지 =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v.16 no.2, 2010년, pp.128 - 135  

최혜미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아동간호학) ,  이자형 (이화여자대학교 건강과학대학 간호과학부 아동간호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aimed to confirm the effect of routine suctioning at a nursery for healthy newborns who have undergone immediate oronasopharyngeal bulb suctioning after birth in a delivery room through the observation of their oxygen saturation level, heart rate, respiration rate, the vomiting s...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신생아실에 입원한 신생아에게 상례적인 흡인시행이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 및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출생 후 분만실에서 벌브시린지를 사용하여 구인두흡인 시행 후, 신생아실에 입원한 건강한 신생아를 대상으로 흡인 유무와 종류에 따른 대상자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 수의 변화를 비교하고 구토의 유무와 횟수를 관찰하여 신생아실에서 행해지는 상례적인 흡인이 신생아에게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출생 후 신생아에게 시행하는 흡인방법과 흡인유무에 따른 신생아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 그리고 구토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며 본연구의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흡인의 유무 및 흡인의 종류가 신생아의 산소포화도, 심박동수, 호흡수 및 구토유무에 어떠한 차이를 가져오는지를 확인하기 위한 무작위 통제군 전후 실험설계(pretest-posttest control-group design)이다.
  • 대부분의 신생아실에서는 상례적인 흡인이 간호사들에게 익숙하고, 선택적인 흡인은 선호도가 적으며 오히려 흡인을 하지 않음으로 생기는 부작용을 막자는 실정이다. 이에 신생아 흡인에 대한 과학적인 간호중재를 위해 표준화된 흡인 지침 확립의 기반을 세우기 위해 상례적으로 신생아에게 행해지는 흡인이 신생아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흡인 종류와 흡인유무를 통해 대상자의 산소포화도와 심박동수, 호흡수, 구토유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신생아실에서의 상례적 흡인을 계속적으로 권유해야 할지, 정당한 사정을 통해 흡인이 필요한 경우만 선택적으로 해야 하는지 규명함으로써 체계적이고 과학적인 흡인 간호중재를 통해 신생아가 최적의 건강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신생아는 출생 후 몇 초 이내에 호흡하지 않으면 질식의 위험이 있는가? 신생아는 출생 직후 울음을 통해 첫 호흡이 시작되며 유지된다. 출생 후 30초 이내에 호흡을 하지 않으면 질식의 위험이 있다. 신생아가 울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점액 및 양수 등에 의한 기도폐쇄이다.
출생 시 신생아가 울지 않는 가장 큰 이유는? 출생 후 30초 이내에 호흡을 하지 않으면 질식의 위험이 있다. 신생아가 울지 않는 가장 흔한 이유는 점액 및 양수 등에 의한 기도폐쇄이다. 또한 폐와 장의 기능이 미숙하기 때문에 양수를 많이 먹게 되면 구토가 유발되기도 한다.
흡인을 받은 신생아에게 더 나은 산소화를 기대할 수 있는 이유는? 흡인은 신생아가 태어나서 첫 숨을 쉴 때 입과 코의 흡인(aspiration)을 예방하기 위해서 벌브 시린지 혹은 카테터로 흡인을 할 수 있다(Murray & Mckinney, 2006). 흡인은 기도 내로 흘러나온 폐의 분비물 제거를 도와주고 기도를 깨끗하게 해주며, 폐의 환기(aeration)를 촉진한다. 즉, 폐에 채워져 있는 액체의 제거를 돕고 기능적인 잔류공간을 확보함으로써 산소화를 증가시키는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초기에 호흡이 시작될 때 태변 착색된 양수, 태변, 점액이나 혈액의 흡인(aspiration)을 예방한다. 따라서 흡인을 받은 신생아는 더 나은 산소화를 기대할 수 있고 흡인(aspiration)이나 호흡곤란의 발생을 줄일 수 있다(Di & Saps, 2004; McCartney, 2000; Velaphi & Vidyasagar, 200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Ahn, Y. M. (1988). The effect of chest vibration prior to endotracheal suctioning on oxygenation and the amount of lung secretions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The Korean Journal of Child Health Nursing, 4, 245-254. 

  2. Carrasco, M., Martell, M., & Estol, P. C. (1997). Oronasopharyngeal suction at birth: Effects on arterial oxygen saturation. Journal of Pediatrics, 130, 832-834. 

  3. Corderro, L. Jr., & Hon, E. H. (1971). Neonatal bradycardia following nasopharyngeal stimulation. Journal of Pediatrics, 78, 441- 447. 

  4. Cunningham, F. E., Gant, N. F., Leveno, K. J., Gilstrap, L. C., Hauth, J. C., & Wenstrom, K. D. (2001). Williams' obstetrics. in the newborn infant (21st ed.). New York, NY: McGraw-Hill. 

  5. Deckardt, R., Schneider, K. T., & Graeff, H. (1987). Monitoring arterial oxygen saturation in the neonate. Journal of Perinatal Medicine, 15, 357-360. 

  6. Di, L. C., & Saps, M. (2004). Gastric suction in newborns: guilty as charged or innocent bystander? The Journal of Pediatrics, 144, 417-420. 

  7. Gausche-Hill, M., Fuchs, S., & Yamamoto, L. (2004). The Pediatric Emergency Medicine Resource (4th ed.). Boston, MA: Jones and Bartlett. 

  8. Gungor, S., Kurt, E., Teksoz, E., Goktolga, U., Ceyhan, T., & Baser, I. (2006). Oronasopharyngeal suction versus no suction in normal and term infants delivered by elective cesarean section: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Gynecologic and Obstetric Investigation, 61, 9-14. 

  9. Gungor, S., Teksoz, E., Ceyhan, T., Kurt, E., Goktolga, U., & Baser, I. (2005). Oronasopharyngeal suction versus no suction in normal, term and vaginally born infants: A prospective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ustralian and NewZealand Journal of Obstetrics and Gynaecology, 45, 453-456. 

  10. Kim, M. S., Ahn, Y. M., Park, I. O., Choi, S. J., & Yoo, M. Y. (1988). The effects of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ETS) and close ETS on oxygen saturation and heart rate in premature infants with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28, 529-539. 

  11. McCartney, P. R. (2000). Bulb syringes in newborn care. The American Journal of Maternal Child Nursing, 25, 217. 

  12. Mercer, J. S., Erickson-Owens, D. A., Graves, B., & Haley, M. M. (2007). Evidence-based practices for the fetal to newborn transition. Journal of Nurse Midwifery & Women's Health, 52, 262- 272. 

  13. Michelle, L. C., & Cheryl, L. K. (1999). Infant nasal-pharyngeal suctioning: Is it beneficial? Pediatric Nursing, 25, 193-197. 

  14. Murray, S. S., & Mckinney, E. S. (2006). Foundations of Maternal-Newborn Nursing (4th ed.). St. Louis, MO: Elservier Saunders. 

  15. Park, Y. Y. (1997). A comparative study on closed vs. open endotracheal suctioning on the newborn infants treated with ventilator.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3, 47-62. 

  16. Spitzer. A. R. (1996). Intensive care of the fetus and neonate (3rd ed.). St. Louis, MO: Mosby. 

  17. Varney, H. (2003). Varney's midwifery (4th ed.). Boston, MA: Jones and Bartlett. 

  18. Velaphi, S., & Vidyasagar, D. (2008). The pros and cons of suctioning at the perineum(intrapartum) and post-delivery with and without meconium. Seminars in Fetal & Neonatal Medicine, 13, 375-382. 

  19. Waltman, P. A., Brewer, J. M., Rogers, B. P., & May, W. L. (2004). Building evidence for practice: A pilot study of newborn bulb suctioning at birth. Journal of Midwifery and Woman's Health, 49, 32-38. 

  20. Widstrom, A. M., Ransjo-Arvidson, A. B., Christensson, K., Matthiesen, A. S., Winberg, J., & Uvnas-Moberg, K. (1987). Gastric suction in healthy newborn infants: Effects on circulation and developing feeding behavior. Acta Paediatrica Scandinavica, 76, 566-5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