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onobacter sakazakii 분리배지의 성능 비교
Performance Comparison of 3 Different Isolation Media of Cronobacter sakazakii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39 no.5, 2010년, pp.764 - 768  

김현정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연구단) ,  구민선 (한국식품연구원 안전성연구단) ,  오세욱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식품공전에 Cronobacter sakazakii 분리배지로 등재되어 있는 3종의 분리배지에 대한 평가실험을 실시하였다. 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Enterobacter sakazakii agar가 VRBG agar에 비하여 뚜렷한 색택과 모양의 집락을 생성하였다. 3종의 분리배지 모두 30종의 Cronobacter sakazakii에 대한 sensitivity가 100%로 측정되었지만 Cronobacter sakazakii 이외의 Enterobacteriaceae 균주를 이용한 specificity 실험에서는 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Enterobacter sakazakii agar가 100%로 측정되었지만 VRBG agar는 0%로 측정되었다. 인위적으로 접종한 식품에서의 회수율은 실험에 공시된 3종 배지에서 커다란 차이가 없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ree different isolation media for Cronobacter sakazakii have been recommended by 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rom 2007. Performance comparison test was carried out between recommended Cronobacter sakazakii isolation medium. Chromogenic Enterobacter sakazakii agar (CESA) and Enterobacter sak...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논문에서는 식품공전에 등재된 3종의 Cronobacter sakazakii 분리배지에 대하여 sensitivity, specificity를 측정하였으며 위양성 생성여부 및 식품에서의 회수 효율에 대하여 비교실험을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onobacter sakazakii의 선택적인 검출을 위한 보고된 다양한 방법들은 어떤 것이 있습니까? Cronobacter sakazakii의 선택적인 검출을 위해 사용되는 선택배지는 모두 다른 조성을 가지고 있어 미생물 성장에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선택성에서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Gurtler와 Beuchat(10)은 spiral plating 방법을 이용하여 stressed cell에서 회복하는 특성을 조사한 결과 TSAP(tryptic soy agar supplemented with 0.1% pyruvate) agar와 LBDC (Leuschner, Baird, Donald, and Cox) agar 같은 비선택배지(non-selective medium)가 stressed cell에 대한 회복 효율이 높았다고 하였으며 Oh and Kang(OK) agar와 Druggan-Forsythe-Iversen(DFI) agar와 같은 선택배지가 stressed cell에 대한 회복 효율이 낮았다고 하였다. Iversen과 Forsythe(18)는 DFI agar, VRBG(violet red bile glucose) agar, mLST (modified LST) agar와 E. sakazakii isolation agar에 대한 비교실험에서 DFI agar가 검출율이 높았다고 하였으며 ESIA가 DFI에 비하여 위양성(false positive) 콜로니를 적게 형성하였다고 하였다.
Cronobacter sakazakii는 어떤 생물인가요? Cronobacter sakazkaii는 다양한 식품에서 분리되는 등 자연에 널리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 균이지만 주로 영아용 조제분유(1-5)와 분유(6-8)를 통하여 질병을 유발하는 것으로 추측되고 있다. Cronobacter sakazakii는 운동성이 있고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통성혐기성균이며, 그람 음성의 간균으로 주로 저체중신생아를 대상으로 괴사성 장염, 패혈증 및 뇌수막염을 유발하는 장내미생물이다(9). Cronobacter sakazakii 감염은 주로 생후 3일부터 4년까지의 신생아와 어린이를 대상으로 병을 유발하며, 2003년까지 적어도 76건의 감염사례가 보고되고 있다(10).
Cronobacter sakazakii와 관련된 가장 유력한 오염경로는 무엇인가요? 신생아뿐만 아니라 면역결핍인 어른에 대한 감염사례도 일부 보도되고 있다(11,12). 아직까지 Cronobacter sakazakii와 관련된 감염원 및 감염경로는 정확히 밝혀져 있지 않지만, 역학적 조사 결과에 따르면 조제분유, 분유를 탄 장소의 환경조건, 사용한 기구 등이 가장 유력한 오염경로라고 인정되고 있다(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Bar-Oz B, Preminger A, Peleg O, Block C, Arad I. 2001.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 in the newborn. Acta Paediatr 90: 356-358. 

  2. Biering G, Karlsson S, Clark NC, Jonsdottir KE, Ludvigsson P, Steingrimsson O. 1989. Three cases of neonatal meningitis caused by Enterobacter sakazakii in powdered milk. J Clin Microbiol 27: 2054-2056. 

  3. Nazarowec-White M, Farber JM. 1997. Incidence, survival, and growth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infant formula. J Food Prot 60: 226-230. 

  4. Clark NC, Hill BC, O'Hara CM, Steingrimsson O, Cooksey RC. 1990. Epidemiologic typing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two neonatal nosocomial outbreaks. Diagn Microbiol Infect Dis 13: 467-472. 

  5. Van Acker, de Smet F, Muyldermans G, Bougatef A, Naessens A, Lauwers S. 2001. Outbreak of necrotizing enterocolitis associated with Enterobacter sakazakii in powdered milk formula. J Clin Microbiol 39: 293-297. 

  6. Farmer JJ, Asbury MA, Hickman FW, Brenner DJ, the Enterobacteriaceae Study Group. 1980. Enterobacter sakazakii, new species of Enterobacteriaceae isolated from clinical specimens. Int J Syst Bacteriol 30: 569-584. 

  7. Kandhai MC, Reij MW, Gorris LG, Guillaume-Gentil O, van Schothorst M. 2004. Occurrence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food production environments and households. Lancet 363: 39-40. 

  8. Muytjens HL, Roelofs WH, Jaspar GHJ. 1988. Quality of powdered substitutes for breast milk with regard to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J Clin Microbiol 26: 743-746. 

  9. Jin Seong Uni-Tech. 2007. Food-borne pathogens. Handbook, Seoul, Korea. p 491-498. 

  10. Gurtler JB, Beuchat LR. 2005. Performance of media for recovering stressed cells of Enterobacter sakazakii as determined using spiral plating and ecometric techniques. Appl Environ Microbiol 71: 7661-7669. 

  11. Hawkins RE, Lissner CR, Sanford JP. 1991. Enterobacter sakazakii bacteremia in an adult. South Med J 84: 793-795. 

  12. Lai KK. 2001.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s among neonates, infants, children, and adults: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80: 113-122. 

  13. Simmons BP, Gelfand MS, Haas M, Metts L, Ferguson J. 1989.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s in neonates associated with intrinsic contamination of a powdered infant formula. Infect Control Hosp Epidemiol 10: 398-401. 

  14.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2008. Food code. Seoul, Korea. 

  15. European Commission. 2005. Commission regulation (EC) number 2073/2005 of 15 November 2005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tuffs. Official J Eur Union L 338: 1-26. 

  16. Iversen C, Druggan P, Forsythe SJ. 2004. A selective differential medium for Enterobacter sakazakii. a preliminary study. Int J Food Microbiol 96: 133-139. 

  17. Oh SW, Kang DH. 2004. Fluorogenic selective and differential medium for isola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Appl Environ Microbiol 70: 5692-5694. 

  18. Iversen C, Forsythe SJ. 2007. Comparison of media for the isola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Appl Environ Microbiol 73: 48-52. 

  19. Cooke, VM, Miles RJ, Rrice RG, Richardson AC. 1999. A novel chromogenic ester agar medium for detection of Salmonellae. Appl Environ Microbiol 65: 807-812. 

  20. Manafi M, Kremsmaier B. 2001. Comparative evaluation of different chromogenic/fluorogenic media for detecting Escherichia coli O157:H7 in food. Int J Food Microbiol 71: 257-262. 

  21. Weagant SD, Bound AJ. 2001. Evaluation of techniques for enrichment and isolation of Escherichia coli O157:H7 from artificially contaminated sprouts. Int J Food Microbiol 71: 87-92.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