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Cronobacter Species의 검출에 관한 연구동향: 총설
Research Trend of Cronobacter Species Detection Methods: A Review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8 no.4, 2015년, pp.728 - 736  

권희준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  김명희 (영남대학교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onobacter spp.는 Salmonella spp.와 함께 조제분유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중 위험도가 가장 높은 category A에 속하는 균으로 알려져 있다. 1958년 영국에서 처음으로 유아의 뇌수 막염의 원인균으로 보고되었으며, 감염 후 신생아에게서 괴사성 장염, 패혈증 등을 일으켜 후유증으로 시력과 청력 상실 및 신경마비를 일으키기도 한다. 이러한 위험성 때문에 Cronobacter spp.의 신속 검출 및 진단은 식중독 예방에 있어서 중요하다. 따라서 2002년 미국 식품의약품안전국에서는 분유에서의 Cronobacter spp.를 EE broth, VRBG 배지를 이용해 균을 분리 하고, TSA 배지에 순수분리 후 노란색을 발하는 colony를 생화학적 실험을 통해 검출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또한, 우리나라 식품공전에서도 배지를 이용하여 Cronobacter spp.를 검출 하는 방법에 대해 등재하였다. 하지만 배지배양법을 기반으로 하는 Cronobacter spp.의 검출방법은 검출에 소요되는 시간과 노동력 등이 비효율적이라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배지배양법을 보완하고자 PCR, real-time PCR 방법 및 최근에는 PCR기법ELISA, CE-LIF 등을 결합하여 검출하는 방법이 개발되어 Cronobacter spp.의 검출에 사용되기도 하였다. Cronobacter spp.의 검출에 사용되고 있는 분자생물학적 기반의 PCR 및 real-time PCR 기법은 민감도와 특이도가 좋으며, 배지배양법에 의한 검출방법에 비해 검출 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까다로운 실험과정과 조작에 있어서 필요한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함은 한계점으로 사료된다. 면역학적 방법에 의한 Cronobacter spp. 검출에 관한 연구를 통해, 분석에 소요되는 상당시간을 단축할 수 있었으며,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출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특히 일부 연구보고에서 면역학적 검출방법은 고가의 장비가 필요 없으며, 간단한 지침에 따라 모니터링 업무의 수행이 가능하다고 하였다. 면역학적 검출방법에는 ELISA 방법 외에도 immunomagnetic bead, liposome, immunochromatographic strip 등이 개발되고 있다. 우리나라 식품의약품안전처에서는 영 유아 대상 식품의 안전관리를 강화하고자 Cronobacter spp.에 대해서는 '불검출'로 기준을 설정 운영하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이에 관한 규정을 강화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식품산업체 및 식품 의 제조, 가공, 유통 현장에서 쉽게 모니터링이 가능하며, 신속, 민감하고 특이적인 검출방법의 개발은 지속되어야 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ronobacter species (Cronobacter spp.), previously known as Enterobacter sakazakii, are gram negative food borne pathogenic bacteria. They pose a very high risk of infection to neonates and immuno-compromised individuals and can affect the human central nervous system. Consequently, survivors often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Ye 등(2011)은 α-glucosidase gene을 이용해 PCR로써 2가지의 Cronobacter spp.(ATCC 51329, ATCC 29544)의 검출방법에 대해 기술했다. 이 방법을 이용해 분유 내 103 CFU/mL 수준의 Cronobacter spp.
  • 검출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함으로써, 보다 향상된 Cronobacter spp.의 신속하고 효율적이며, 정확한 검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Cronobacter species이란? Cronobacter species (Cronobacter spp.)는 2006년 이전까지 Enterobacter sakazakii로 불리어 왔으며, 신생아와 면역이 약한 사람들에게는 고위험균으로 알려져 있는 식품매개 병원균이다(Strydom 등 2012). Cronobacter spp.
Cronobacter spp.의 특징은? Cronobacter spp.는 대장균군에 속하는 그람 음성균으로 운동성을 가지며, 포자를 형성하지 않는 간균의 형태를 띄고 있다(Nazarowec-White & Farber 1997). Cronobacter spp.
신생아가 Cronobacter spp.에 감염됐을 때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는 Salmo- nella와 함께 조제분유에서 발견되는 미생물 중 위험도가 가장 높은 category A에 속하는 균으로 분류되고 있다(FAO/WHO, 2004). 감염 후 신생아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증상은 괴사성 장염, 수막염 패혈증 등을 일으키며, 후유증으로는 시력과 청력 상실 및 신경마비를 나타내기도 한다(Gurtler 등 2005;Lai KK 2001; Farmer JJ 1999). Cronobacter spp.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6)

  1. Almeida C, Azevedo NF, Iversen C, Fanning S, Keevil CW, Viera MJ. 2009.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novel peptide nucleic acid probe for the specific detection of Cronobacter Genomospecies (Enterobacter sakazakii) in powered infant formula. Appl Environ Microbiol 75:2925-2930 

  2. Blazkova M, Javurkova B, Fukal L, Rauch P. 2011. Immunochromatographic strip test for detection of genus Cronobacter. Biosens Bioelectron 26:2828-2834 

  3. Chen F, Ming X, Chen XX, Gan M, Wang BG, Xu F, Wei H. 2014. Immunochromatographic strip for rapid detection of Cronobacter in powdered infant formula in combination with silica-coated magnetic nanoparticles separation and 16S rRNA probe. Biosens Bioelectron 61:306-313 

  4. Chon JW, Song KY, Kim SY, Hyeon JY, Kim YG, Hwang IG, Kwak HS, Seo KH. 2011. Comparison of real-time PCR and conventional culture method for detection of Cronobacter spp. in powered foods. Kor J Microbiol 47:87-91 

  5. Commission Regulation (EC). 2007. No 1441/2007 of 5 December 2007 amending regulation (EC) No 2073/2005 on microbiological criteria for foodstuffs. 2007. Official Journal of the European Union L 322/1229 

  6. Farmer JJ. III 1999. Enterobacteriaceae: introduction and identification. Manual of Clinical Microbiology (7th ed), pp. 442-458. In Murray PR, Barron EJ, Pfaller MA, Tenover FC, Yolken RH. (eds.) ASM Press Inc., Washington, D.C., USA 

  7. FDA. Isolation and enumera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dehydrated powdered infant formula. Available at http://www.cfsan.fda.gov/-common/mmesakaz.html 

  8.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World Health Organization. 2004. Joint FAO/WHO workshop on Enterobacter sakazakii and other microorganisms in powdered infant formula. Available from: http//www.who.int.foodsafety/publications/feb.2004/en/print.html. 

  9. Gurtler JB, Kornacki JL, Beuchat LR. 2005. Enterobacter sakazakii: a coliform of increased concern to infant health. Int J Food Microbiol 104:1-34 

  10. Iversen C, Forsythe SJ. 2003. Risk profile of Enterobacter sakazakii, an emergent pathogen associated with infant milk formula. Trends Food Sci Technol 11:443-454 

  11. Joker RN, Norholm Y, Siboni KE. 1965. A case of neonatal meningitis caused by a yellow Enterobacter. Danish Med Bull 12:128-130 

  12. Jung MK, Park JH. 2006. Prevalence and thermal stability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unprocessed ready-to-eat agricultural products and powdered infant formulas. Food Sci Biotechnol 15:152-157 

  13. Kang ES, Nam YS Hong KW. 2007. Rapid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using TaqMan real-time PCR assay. 2007. J Microbiol Biotechnol 17:516-519 

  14. Kim M, Kim WJ, Shin WS, Shon DH, Cha SK. 2003. Feasibility study on the use of liposomes for detecting food-borne pathogenic bacteria. Korean J Food Sci Ani Resour 23: 278-283 

  15. Korean Food Standards Codes, 2012, 3.21 Enterobacter sakazakii (Cronobacter spp.) 

  16. Lai KK. 2001.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s among neonates, infants, children, and adults. Case reports and a review of the literature. Medicine 80:113-122 

  17. Lee G. 2015. Study on liposome based immunomagnetic separation assay for the rapid detection of Cronobacter sakazakii. Master's Degree Thesis, Yeungnam Univ. Gyeongsan. Korea 

  18. Li Y, Cao L, Zhang C, Chen Q, Lu F, Bie X, Lu Z. 2013.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PCR-ELISA assay for the detection and quantification of Cronobacter spp. Int Dairy J 33:27-33 

  19. Liu Y, Cai X, Zhang X, Gao O, Yang X, Zheng Z, Luo M, Huang X. 2006b. Real time PCR using TaqMan and SYBR green for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infant formula. J Microbiol methods 65:21-31 

  20. Liu Y, Gao Q, Zhang X, Hou Y, Yang J, Huang X. 2006. PCR and oligonucleotide array for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zakii in infant formula. Mol Cell Probes 20:11-17 

  21. Muytjens HL, Roelofs-Willemse H, Jaspar GG. 1988. Quality of powdered substitutes for breast milk with regard to members of the family Enterobacteriaceae. J Clin Microbiol 26:743-746 

  22. Nair MKM, Venkitanarayanan JS. 2006. Cloning and sequencing of the ompA gene of Enterobacter sakazakii and development of an ompA-targeted PCR for rapid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infant formula. Appl Environ Microbiol 72:2539-2546 

  23. Nazarowec-White M, Farber JM. 1997. Incidence, survival, and growth of Enterobacter sakazakii in infant formula. J Food Prot 60:226-230 

  24. Park S, Shukla S, Kim Y, Oh S, Kim S, Kim M. 2012. Development of sandwich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muytjensii (formerly called Enterobacter sakazakii). Microbiol Immunol 56:471-479 

  25. Ruan J, Li M, Liu YP, Li YQ, Li YX. 2013.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Cronobacter spp. (previously Enterobacter sakazakii) in food by duplex PCR combined with capillary electrophoresis-laser-induced fluorescence detector. J Chromatogr B 921-922:15-20 

  26. Song KY, Chon JW, Kim HS, Seo KH. 2012. Current Cronobacter spp. researches on prevalence, control and detection. Kor J Microbiol 48:229-239 

  27. Song KY, Hyeon JY, Shin HC, Park CK, Choi IS, Seo KH. 2008. Evaluation of a chromogenic medium supplemented with glucose for detecting Enterobacter sakazakii. J Microbiol Biotechnol 18:579-584 

  28. Song X, Kim M. 2013. Development of an indirect non-competitive enzyme-linked immunosorbent assay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muytjensii in infant formula powder. Korean J Food & Nutr 26:936-944 

  29. Song X, Shukla S, Oh S, Kim Y, Kim M. 2015. Development of fluorescence-based liposome immunoassay for detection of Cronobacter muytjensii in pure culture. Curr Microbiol 70:246-252 

  30. Song X. 2014. Development of antibodies and immunoassay methods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species. Ph. D. Thesis, Yeungnam Univ. Gyeongsan. Korea 

  31. Stoop B, Lehner A, Iversen C, Fanning S, Stephan R. 2009.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rpoB based PCR systems to differentiate the six proposed species within the genus Cronobacter. Int J Food Microbiol 136:165-168 

  32. Strydom A, Cawthorn DM, Cameron M, Witthuhn RC. 2012. Species of Cronobacter: a review of recent advances in the genus and their significance in infant formula milk. Int Dairy J 27:3-12 

  33. Teramoto S, Tanabe Y, Okanom E, Nagashima T, Kobayashi M, Etoh Y. 2010. A first fatal neonatal case of Enterobacter sakazakii infection in Japan. Pediart Int 52:312-313 

  34.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FDA). 2002. Isolationand enumera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dehydrated powdered infant formula. Available at: http://www.cfsan.fda.gov/-dms/inf-ltr3.html 

  35. United States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US FDA). 2012. Bacteriological Analytical Manual Chapter 29 Cronobacter. Washington DC, US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http://www.fda.gov/Food/ScienceResearch/LaboratoryMethods/BacteriologicalAnalyticalManualBAM/ucm289378.htm 

  36. Wang X, Zhu C, Xu X, Zhou G. 2012. Real-time PCR with internal amplification control for the detection of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in food samples. Food Control 25:144-149 

  37. Xu F, Li P, Ming X, Yang D, Xu H, Wu X, Shah NP, Wei H. 2014a. Detection of Cronobacter species in powdered infant formula by probe-magnetic separation PCR. J Dairy Sci 97:6067-6075 

  38. Xu X, Zhang Y, Shi M, Sheng W, Du X, Yuan M, Wang S. 2014b. Two novel analytical methods based on polyclonal and monoclonal antibodies for the rapid detection of Cronobacter spp.; development and application in powdered infant formula. LWT-Food Sci Technol 56:335-340 

  39. Ye Y, Wu Q, Zhang J, Jiang H, Hu W. 2012. Detection of viable Cronobacter spp. (Enterobacter sakazakii) by one-step RT-PCR in dry aquatic product. J Food Sci 77:M616-M619 

  40. Ye Y, Wu Q, Zhang J, Lu J, Lin L. 2011. Detetion of Cronobacter in infant formula and phylogenetic analysis on ${\alpha}$ -glucosidase genes. J Food Safety 31:185-189 

  41. Yoo MK, Oh S, Kim SS. 2005. Isolation and genotyping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powered infant formula manufactured in Korea. Food Sci Biotechnol 14:875-877 

  42. Yu JH. 2009. Development of a rapid and miniaturize method for estimation of Cronobacter spp. in reconstitued infant formula. Master's Degree Thesis, Korea Univ. Seoul. Korea 

  43. Zhao Y, Xia Z, Hongwei Z, Wei L, Wenjie Z, Xitai H. 2010. Rapid and sensitive detection of Enterobacter sakazakii by cross-priming amplification combined with immuno-blotting analysis. Mol Cell Probes 24:396-400 

  44. Zhao Y, Yao Y, Xiao M, Chen Y, Charles CC. Lee L, Kelvin X, Yang S, Gu M. 2013. Rapid detection of Cronobacter sakazakii in dairy food by biofunctionalized magnetic nanoparticle based on nuclear magnetic resonance. Food Control 34:436-443 

  45. Zhou Y, Wu Q, Xu X, Yang X, Ye Y, Zhang J, 2008. Development of an immobilization and detection method of Enterobacter sakazakii from powdered infant formula. Food Microbiol 25:648-652 

  46. Zhu S, Schnell S, Fischer M. 2012. Rapid detection of Cronobacter spp. with a method combining impedance technology and rRNA based lateral flow assay. Int J Food Microbiol 159:54-58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