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지상파 TV 콘텐츠에 나타난 음주 : 황금시간대 고시청률 드라마 분석과 수용자 인식조사
Representation of Drinking in Cultural Contents: Analysis of Television Drama Texts 원문보기

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 Journal of Digital Contents Society, v.11 no.2, 2010년, pp.253 - 264  

양정혜 (계명대학교 사회과학대학 광고홍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기존의 매체 경계를 허물면서 IP TV, PMP, 온라인 등을 통해 그 도달 범위가 날로 확산되는 티비 드라마가 은주를 어떤 방식으로 재현하는지 살펴보았다. 연구자는 기존 연구들이 상대적으로 적은 관심을 할애했던 음주의 맥락과 그 사회적 함의에 중점을 두면서 두 가지 목적을 달성하고자 하였다. 첫째, 최신 인기 드라마 텍스트를 분석해 음주가 재현되는 방식을 살펴보고; 둘째, 수용자 인터뷰를 통해 드라마를 적극적으로 시청하는 수용자들이 음주 현실에 대해 어떤 인식을 형성해 있는지 알아보았다. 2008년부터 2010년 현재까지 지상파 3사에서 방영된 시청률 20% 이상 현대물 드라마 12개를 분석대상으로 선정하여 텍스트 분석한 결과 술 마시기는 일상의 정서적, 사회적 문제를 해결하는 도구로서, 남녀 간 이상적인 로맨스 매개물로서 제시되는 양상이 지배적이며 인간관계에서 갈등, 어색함을 풀고 화해와 이해를 끌어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음주자 성별 면에서는 여성 음주자의 비율이 매우 높게 나타나지만 드라마 속 여성 음주는 대부분 남성의 보호 하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나 대중문화 산물이 구성하는 음주 현실은 가부장적 가치관으로부터 자유롭지 않음을 드러내 보이고 있다. 수용자 인터뷰 결과 응답자들이 직접적으로 경험해보지 못한 유형의 음주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 음주가 관찰학습의 대상이 되고 모방욕구를 창출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imed to 1) analyze television drama text to examines how Korean television dramas represent alcohol drinking; 2) interview the actual drama audience to examine how they perceive drinking and whether or not their perception is influenced by the drama text. The author analyzed 60 drama ep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기존의 음주관련 미디어 연구들은 드라마 속 음주 장면에 대한 노출로 야기되는 음주빈도 증가, 폭력적 행위 유발 등 음주의 행위적인 영향력에 주로 주목했지만 본 연구는 이에 덧붙여서 음주가 발생하는 맥락에 중점을 두고자 한다. ‘어떤 상황에서 어떤 이유로 어떤 사람들과 술을 마시는가?’ ‘음주의 결과는 긍정적인가 부정적인가?’ 의 질문에 세밀하게 답함으로서 음주 장면이 수용자에게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의 종류와 방향성을 가늠 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 기존의 음주관련 연구들이 추정만 하고 그친 드라마와 수용자의 상호작용 방식과 메시지 내면화 여부를 소규모이기는 하지만 실제로 규명하고자 했다는데 본 연구의 가장 큰 의의가 있다. 텍스트 재현을 살펴봄에 있어서는 음주가 이루어지는 맥락을 실제 드라마 속 사례들을 질적으로 제시하면서 분석하여 기존의 계량중심 연구결과들보다 좀 더 심도있게 택스트에 대한 이해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 드라마 분석에 앞서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면접을 통해 음주에 대한 드라마 수용자들의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기존 미디어 연구들은 TV의 음주 재현이 정형화 된 방식으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지만 수용자들의 음주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과연 문화 산물 노출에 의한 결과인가를 밝혀내는 시도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였다.
  • 본 연구는 대중문화 산물들, 특히 텔레비전 드라마가 음주를 어떤 방식으로 제시하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4대 매체 중 TV는 접촉도, 신뢰도, 영향력 면에서 종합 우위에 있으며 그 중에서도 드라마는 시청률 1위에서 5위까지를 점하고 있어 영향력이 가장 큰 장르라고 할 수 있기 때문이다 (TNS 코리아, 2009년 자료).
  • 본 연구는 드라마 텍스트 분석을 주된 목적으로 하면서 텍스트 분석에 대한 타당도를 부여하기 위해 소규모 수용자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수용자 인터뷰는 미디어에 의한 음주 현실이 개인 수용자의 인식에 어느 정도의 영향력을 행사하는지 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 이 같은 미디어의 음주 재현 방식이 과연 수용자들에게는 어떻게 인식되는지 알아보기 위해 대학생 그룹을 대상으로 인터뷰 조사를 실시하였다. 인터뷰 응답자들은 드라마 속 음주자의 라이프스타일이 이상적인 것으로 간주될 경우 등장인물들의 음주 패턴을 모방하고 싶은 욕구를 표현하였으며, 아직 경험해보지 못한 직장생활에서의 음주 방식, 사회인으로서 여가 즐기기 등에 대해서는 드라마 속의 음주 방식이 적절한 모델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는 것이 드러났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미디어 속 음주 장면이 장기간으로 노출되면 청년층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동시에 미디어 속 음주 장면에 대한 노출은 즉각적인 학습을 유발시킬 수도 있고 시차를 두고 영향력을 행사할 수도 있다. 그러나 장기간에 걸쳐 보다 많은 TV 음주 장면에 노출된 수용자들일수록 더 자주, 더 많이 술을 소비하는 것은 이미 잘 입증되었으며 미디어가 제시하는 음주 행위는 특히 청년층에게 관찰과 모방을 유발시킨다[4]. 미디어를 통한 음주 학습은 행위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음주 전반에 대한 인식틀 까지 확대될 수 있는데 개인들은 미디어의 내러티브에 노출 될 때 가치관을 형성할 수도 있고[5] 규범적인 인식틀도 갖추게 되어 사회적으로 적절한 것, 부적절한 것에 대한 판단기준도 형성하게 된다[6]. 탁진영은 미디어에서 묘사되는 행위에만 주로 집중 해 일치되는 모방형태의 유무를 찾아내고자 하였던 사회적 학습이론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가 음주장면은 음주와 연관되는 다른 생각들, 예를 들면 ‘술’과 연관된 음주운전, ‘마신다’와 연관된 탄산음료 마시기 등을 유발시키는 촉발효과 (priming)를 낳는다는 것을 입증해 보이기도 하였다[7].
미디어의 음주재현 방식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는 이론은? 미디어의 음주재현 방식에 대한 사회적 우려를 정당화하는 근거가 되는 것은 아마도 관찰학습(observational learning) 이론과 배양효과 이론일 것이다. 관찰학습 이론을 정교화 해온 밴두라에 의하면 개인의 정보처리는 자신을 둘러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1].
미디어의 음주재현의 영향은? 미디어의 음주재현은 개인적인 차원에서는 행위 학습과 규범 습득의 결과를 가져오지만 좀 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사회적 주류화 효과를 낳을 수 있다. 거브너 등은 배양이론을 입증할 수 있는 실험연구들을 진행하면서 현실인식에 대한 배양효과는 궁극적으로는 주류화효과를 야기 시키는 결과를 가져온다는 논의를 하고 있다[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4)

  1. Bandura,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Mass Communication. Media Pshchology, 3(3), pp. 269-299, 2001 

  2. Russell, C.A. and Russell, D.W. "Alcohol Messages in Prime Time Television,"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43(1), pp. 108-128, 2009. 

  3. Huesmann, L.R. and Taylor, L.D. "The Role of Media violence in violent Behavior, "Annual Review of Public Health, 27(1), pp. 393-415, 

  4. Nelson, C., Mitchell,, R. and Fife, E,. "Watching, Scheming, and Drinking: The Relationships Among Television Exposure, Vengefulness, and Alcohol Use, JCSTAND pp. 57-71, 2009 

  5. Krcmar, M. and Vieira, E.T "Imitating Life, Imitating Television: the Effect of Family and Televisionmodels on Children's Moral Reasoning, Communication Research 32(3), pp. 267-294. 2005 

  6. Anderson, C. A. and Huesmann, L. R. "Human Aggression: A Social-Cognitive View," in M.A. Hogg & J. Cooper (eds.)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pp. 296-323. London, Sage 2003 

  7. 탁진영, "텔레비전 드라마의 음주와 흡연장면이 시청자의 사회적 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계명대학교 사회과학 논총 14집. pp. 337-359 

  8. Gerbner, G., Gross, L. Morgan, M., Singnorielli, N. "Living with Television: The Dynamics of the Television Cultivation Process" in Zillmann, D (eds.) Perspectives on Media Effects,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1986. 

  9. Thompson, J. Ideology ande Modern Culture, CA: Standford University Press, 1990 

  10. Furnham, A., Ingle, H. ad Gunter, B. "A Content Analysis of Alcohol Portrayal and Drinking in British Television Soap Operas. Health Education Research, 12. pp 519-529, 1997 

  11. 천성수. 김주리, "방송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vol. 9(2). pp 1-12 

  12. De Foe, J., Breed,W., Breed, L. "Drinkingon TV: A Five Year Study," Journal of Drug Education 13(1), pp. 25-38. 1983. 

  13. 김용복. "넘쳐나는 TV 속 음주장면들: 2008년도 상반기 연예.오락.교양프로그램 모니터링" 건강생활, vol.61 22-23, 2008 

  14. Atkin, C. K and Block, M. "Effectiveness of Celebrity Endorsers," Journal of Advertising Research, vol. 23, pp. 57-61. 1981 

  15. Wallack, L., Grube, J. Madden, P. Breed, W. "Portrayals of Alcohol on Prime-time Television,"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1(5). pp. 428-437, 1990 

  16. Mathios, A., Avery R. Bisogni, C. et. al "Alcohol Portrayed on Prime Time Television: Manifest and Latent Messag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9, pp. 305- 310, 1997 

  17. 방형애,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음주, 청소년 음주 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전문가 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18. 장승옥,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매스컴의 영향." 청소년 음주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 전문가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19. 장승옥, "청소년 음주에 미치는 매스컴의 영향." 청소년 음주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 전문가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20. 천성수, 김주리, "방송 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지, 제 9권 99. 1-12, 2008 

  21. 김영규, "매스미디어와 음주: 술독에 빠진 TV 드라마" 건강생활, vol. 2006(53), pp. 12-14., 2006. 

  22. Mathios, A., Avery R. Bisogni, C. et. al "Alcohol Portrayed on Prime Time Television: Manifest and Latent Message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vol. 59, pp. 305- 310, 1997 

  23. Futch, E. Lisman, A.. Geller, M. "An anlysis of Alcohol Portrayal on Prime Time Television," International Journal of the Addictions, vol. 19(4) 403-414, 1984] 

  24. 방형애, 매스미디어에 나타난 음주, 청소년 음주예방 제도개선을 위한 2차전문가 포럼, 국가청소년위원회, 2006. 

  25. 이상욱, 이지선, 유혜선, 김정인, 정혜영, 이동현, 우은경, 문혜진. TV 에서의 흡연.음주 장면 등 건강관련 행위가 국민건강에 미치는 영향분석. 건강증진기금사업지원단 보고서, 2003. 

  26. 김영규, "매스미디어와 음주: 술독에 빠진 TV 드라마" 건강생활, vol. 2006(53), pp. 12-14., 2006. 

  27. Snyder, L.B., Milici, F., Slater, M. Sun, H. Strizhakova, Y. "Effects of Alcohol Advertising Exposure on Drinking Among Youth," Archives of Pediatrics and Adolescent Medicine ," vol. 160, pp. 18-24, 2006. 

  28. Grube, J. and Wallack, "Television Beer Advertising and Drinking Knowledge, Beliefs, and Intentions Among School Children," American Journal of Public Health, vol. 84. pp. 254-259, 1994 

  29. Sobell, L.C., Sobell M.B., Toneatto, T. and Leo, G. Severely "Dependent Alcohol Abusers May Vulnerable to Cues in Television Programs,"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54(1), pp. 85-91, 1993. 

  30. 한태선, 음주의 사회문화적 의미. 대한보건사회문화 연구원, 1998. 

  31. 천성수. 김주리, "방송오락매체가 음주에 미치는 영향," 한국알코올과학회지, vol. 9(2). pp 1-12 

  32. 방형애 "급격히 증가하는 연화 속 음주장면" 건강생활 vol. 53. pp 9-11, 2006 

  33. Kotch, J.B., Coulter, M. L., Lipsitz, A. "Does Television Drinking Influence Children's Attitude Toward Alcohol?" Addictive Behavior, vol. 11, pp. 7-70, 1986. 

  34. Russell, C.A. and Russell, D.W. "Alcohol Messages in Prime Time Television," Journal of Consumer Affairs vol. 43(1), pp. 108-128, 2009.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