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평가
Quality Evaluation of Conventional Salted Cabbages 원문보기

한국식품영양학회지 = The Korean journal of food and nutrition, v.23 no.4, 2010년, pp.659 - 663  

김진희 (부경대학교 식품연구소 및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  박건영 (부산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최혜선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  양지영 (부경대학교 식품연구소 및 부경대학교 수산과학대학 식품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5개 업체의 절임배추를 구입하여 염도 등 일반특성과 미생물학적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중 구입된 절임배추는 대부분 천일염을 사용하였으며, 일부 식염 혼합, 해수를 사용하는 업체도 있었다. 세척 방법으로는 지하수 4회 세척, 자동 세척 후 3단 세척, 버블 후 3단 세척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척수로는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15개 업체 중 3개 업체 제품은 HACCP 인증을 받았다. 시중 절임배추의 염도는 0.5%에서 2.0%로서 저염도를 나타났다. pH는 최저 5.32에서 최대 6.47을 나타내었다. 물성은 최저 1,997 g에서 최대 3,665 g을 나타내었다. 일부 제품은 재세척이 필요한 제품도 있었고, 애벌레, 흙 등의 이물이 나오기도 했다. 시중 절임배추의 일반세균은 최저 3.37 log CFU/g에서 최대 6.05 log CFU/g의 분포를 나타내었다. 대장균군은 불검출에서 최대 2.93 log CFU/g로 나타났다. 이 중 대장균, 황색포도상구균, 병원성균 등은 불검출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research aimed to investigate the quality of conventional salted cabbages. Here, we studi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microbiological aspects of purchased salted cabbage samples from 15 companies. The purchased salted cabbages used a sun-dried salt, but two samples used a mixture of su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전국에 시판되는 절임배추의 절임 방법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 및 미생물학적 위생 상태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판매자가 배추를 단순히 소금에 절인 상태로 소비자가 구입 후 다시 세척 과정 등을 거쳐 섭취하는 경우에 해야 할 의무에 대해 설명하시오. 배추를 소금에 절인 후 세척 등을 하여 소비자가 더 이상의 세척 과정이 없이 바로 먹을 수 있도록 포장된 제품이라면 ‘절임류’에 해당되며, 이런 경우 식품제조업 영업신고를 하고 품목 제조 보고가 이루어져야 하며, 해당 제품에는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모든 표시사항(유통기한 포함)이 기재되어야 한다. 그러나, 배추를 단순히 소금에 절인 상태로 소비자가 구입 후 다시 세척 과정 등을 거쳐 섭취하는 경우에 해당하면, 이때는 단순가공품으로 품목 제조신고 대상 품목은 아니며, 이때의 표시사항은 투명 포장지가 아닌 박스 등에 포장하여 판매를 하는 경우에는 식품위생법에 의한 표시를 해야 하며 표시할 내용은 식품 등의 표시기준에 따라 제품명, 내용량, 업소명(생산자명) 및 소재지, 제조일자 또는 포장일자 또는 생산년도, 보관 및 취급방법 등을 표시하면 된다. 그럼에도 중국산 신선배추와 절임배추를 국내에서 김치로 제조하거나, 중국산 김치에 국산 부추 등 양념류를 추가한 후 국내산으로 거짓 표시 판매하는 형태의 새로운 위반수법이 사용되고 있어 소비자의 신뢰가 흔들리고 있다.
시중 구입한 절임배추에 사용된 소금은 무엇인가? 시중 절임배추의 품질 특성을 조사하기 위하여 15개 업체의 절임배추를 구입하여 염도 등 일반특성과 미생물학적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시중 구입된 절임배추는 대부분 천일염을 사용하였으며, 일부 식염 혼합, 해수를 사용하는 업체도 있었다. 세척 방법으로는 지하수 4회 세척, 자동 세척 후 3단 세척, 버블 후 3단 세척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으며, 세척수로는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본 실험에서 사용한 시중 절임배추들의 세척 방법과 세척수는 무엇인가? 구입한 시중 절임배추 제품의 제조장소는 Table 3과 같았으며, 절임에 사용된 소금은 천일염을 대부분 사용하였으나, 2개의 제품은 천일염에 정제소금을 혼합하여 사용하였다. 세척 방법은 해수절임을 하는 제품도 2개 있었다. 세척 방법으로는 지하수 4회 세척, 자동 세척 후 3단 세척, 버블 후 3단 세척하는 방법을 사용하였으며, 세척 방법을 표시하지 않은 제품도 6개 제품이 있었으며, 그 외는 모두 지하수를 사용하고 있었다. 1개의 제품은 저염절임법을 사용하고 있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한국식품의약품안전청. 2009. 식품공전, pp.70-176 

  2. An HJ, Kim JG, Kim JH, Kim DH, Lee JU, Lee YS, Byeon MU. 2003. Quality and preservation of minimum processing salted cabbage using $\gamma$ ray. Abstract P-56, International Ann. Meeting The Korean Soc. of Food Preserv. Seoul 

  3. Han ES, Seok MS, Park JH, Lee HJ. 1996.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with the package pressure and storage temperature. Korean J Food Sci Technol 28:650-656 

  4. Han ES, Seok MS, Park JH. 1998. Quality changes of salted baechu with packaging methods during long term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0:1307-1311 

  5. Han ES. 1994. Quality changes of salted Chinese cabbage by packaging method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283-287 

  6. Han KY, Noh BS. 1996. Characterization of Chinese cabbage during soaking in sodium chloride solution. Korean J Food Sci Technol 28:707-713 

  7. Hwang ES. 2010. Changes in myrosinase activity and total glucosinolate levels in Korean Chinese cabbages by salting conditions. Korean J Food Cookery Sci 26:104-109 

  8. Kim DH, Yun HJ, Song HP, Lim SY, Jo MH, Jo CR. 2009. Comparison of a PCR kit and a selective medium to detect pathogenic bacteria in eggs. Korean J Food Preserv 16: 965-970 

  9. Kim DK, Han KY, Noh BS. 1997. Change of lipoxygenase activity in Chinese cabbages submerged in brines. Korean J Food Sci Technol 29:576-580 

  10. Kim HO, Suh SR, Choi YS, Yoo SN, Kim YT. 2007. Optimal conditions for mechanized salting process of salt-inserting method for winter cabbage to produce Kimchi. Korean J Food Preserv 14:695-701 

  11. Kim YW, Jung JK, Cho YJ, Lee SJ, Ki SH, Park KY, Kang SA. 2009. Quality changes in brined baechu cabbage using different types of polyethylene film, and salt content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Preserv 16:605-611 

  12. Koh HY, Choi DS. 1996. Effect of calcium treatments on storage quality of salted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Preserv 3:1-5 

  13. Lee IS, Park WS, Koo YJ, Kang KH. 1996. Changes in some characteristics of brined Chinese cabbage of fall cultivars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26:239-245 

  14. Lee MH, Lee GD, Son KJ, Yoon SR, Kim JS, Kwon JH. 2002. Changes in organoleptic and rheological properties of Chinese cabbage with salting condition.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417-422 

  15. Lee SW, Cho SR, Han SH, Rhee C. 2009. Effects of the low temperature and low salt solution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Korean J Food & Nutr 20:377-386 

  16. Paik JE. 2007. Effects of potato on the storage of Kimchi. Korean J Food & Nutr 22:421-426 

  17. Park UP. 2004. Quality characteristics of salted Chinese cabbage treated with electrolyzed-acid water during storage. Korean J Food Sci Technol 36:367-369 

  18. Park WP, Park KD, Kim JH, Cho TB, Lee MJ. 2000. Effect of washing conditions in salted Chinese cabbage on the quality of Kimchi. J Korean Soc Food Sci Nutr 29:30-34 

  19. Shim YH, Ahn GJ, Yoo CH. 2003. Characterization of salted Chinese cabbage in relation to salt content, temperature and time. Korean J Food Cookery Sci 19:210-21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