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제련소 주변토양 중금속 존재형태
Existing Forms of Heavy Metals in the Vicinity of a Smelter 원문보기

지하수토양환경 = Journal of soil and groundwater environment, v.15 no.5, 2010년, pp.16 - 22  

우상덕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김건하 (한남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  김영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  남경필 (서울대학교 건설환경공학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Heavy metals in soils exist in various forms dependent upon surrounding conditions. As the Janghang smelter area is of concern for its high elevated heavy metal concentrations, Korean government decided to remediate the area. Main objectives of this research were; to analyze heavy metal concentrati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장항제련소 주변토양에 대하여 중금속 존재형태를 분석하고 동시에 용출법과 왕수법 전처리를 거친 중금속 농도를 분석하여 규제 및 정화에 이용되는 농도값의 타당성을 평가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장항제련소 주변의 토양은 어떤 경로에 의해 오염된 것인가? 2008년도 환경부에서 실시한 장항제련소 주변지역 주민건강 영향조사 결과, 조사군의 혈중과 뇨중 카드뮴 농도, 혈중 납 농도, 혈청중 구리 및 니켈 농도, 뇨중 비소 농도가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높았다(환경부, 2008). 주변토양 오염경로는 제련소 굴뚝에서 배출되는 분진과 광석의 운반과정 중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환경부, 2009a). 따라서 정부는 2009년 7월 장항 제련소 주변 토양오염을 개선하기 위하여 관계부처와 합동으로 장항제련소 주변지역을 토양오염 개선 종합대책을 확정 발표하였다(환경부, 2009b).
Tessier 연속추출법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중금속 존재형태는 무엇인가? , 1999)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Tessier 연속추출법 (Tessier et al., 1979)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중금속 존재형태는 다음과 같다: 1) Exchangeable fraction(교환 가능한 양): 점토질, hydrate oxide, humic acid에 흡착, 탈착 되어 있는 양이며 pH의 영향이 크다; 2) 탄산염과 결합되어 있는 양(carbonate bound fraction): 토양 중 존재하는 탄산염과 결합되어 있는 양이며 pH에 민감하다; 3) 철 또는 망간과 결합된 양(iron and manganese oxide bound fraction): 환원조건에서 유출된다; 4) 유기물질과 결합된 양(organic bound fraction): 착화합물(complexation)을 생성, 산화조건에서 금속류가 유출된다; 5) 모두 유출된 후 남은 잔유물(residuals fraction): 결정 중 포함된 양이므로 자연적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중금속의 존재형태를 분석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공정시험법에 명시되어 있지 않지만 존재형태를 분석하는 방법으로 연속추출법(Sequential Extraction Technique)이 많이 사용되는데 중금속의 존재형태는 토양/지하수 내 거동 및 생물이용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므로 환경에 대한 영향을 예측할 수 있다. 존재형태 분석방법 중 BCR(Community of Bureau of Reference)법(Sahuquillo et al., 1999)과 함께 많이 사용되는 Tessier 연속추출법 (Tessier et al., 1979)을 이용하여 분석할 수 있는 중금속 존재형태는 다음과 같다: 1) Exchangeable fraction(교환 가능한 양): 점토질, hydrate oxide, humic acid에 흡착, 탈착 되어 있는 양이며 pH의 영향이 크다; 2) 탄산염과 결합되어 있는 양(carbonate bound fraction): 토양 중 존재하는 탄산염과 결합되어 있는 양이며 pH에 민감하다; 3) 철 또는 망간과 결합된 양(iron and manganese oxide bound fraction): 환원조건에서 유출된다; 4) 유기물질과 결합된 양(organic bound fraction): 착화합물(complexation)을 생성, 산화조건에서 금속류가 유출된다; 5) 모두 유출된 후 남은 잔유물(residuals fraction): 결정 중 포함된 양이므로 자연적으로 유출되지 않는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4)

  1. 국립환경과학원, 2005, 토양오염기준 평가 및 확립에 관한 연구 (II), 2005-08-753 

  2. 서지원, 2007, 울산 달천광산 토양내 중금속의 존재형태 및 오염도 연구, 석사학위논문, 대전대학교. 

  3. 환경부, 2008, (구)장항제련소 주변지역 주민건강영향조사 결과 환경부보도자료 

  4. 환경부, 2009a, 토양보전법 기본계획, 발간등록번호11-1480000-001048-01, p. 70-73. 

  5. 환경부, 2009b, 토양환경보전법 시행규칙 일부개정령, 환경부령 제 333호. 

  6. 환경부, 2009c, 2008년도 토양측정망 및 토양오염 실태조사결과, 발간등록번호 11-1480000-000669-10. 

  7. Anju, M. and Banerjee, D.K., 2010, Comparison of two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s for heavy metal partitioning in mine tailings, Chemosphere, 78(11), 1393-1402. 

  8. Eltantaway, I.N. and Arnold, P.W., 1973, Reappraisal of ethylene glycol mono-ethyl ether (EGME) method for surface area estimation of clays, Soil Science. 24, 232-238. 

  9. Loeppert, R.H. and Suarez, D.L., 1996, Carbonate and Gypsum, Method of Soil Analysis: 3. Chemical Analysi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437-474. 

  10. Sahuquillo, A. and Lopez-Sanchez, J. F., 1999, Use of a certified reference material for extractable trace metals to assess sources of uncertainty in the BCR three-stage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Analytica Chimica Acta, 382(3), 317-327. 

  11. Summer, M.E. and Miller, W.P., 1996, Cation exchange capacity and exchange coefficients, Method of Soil Analysis: 3. Chemical Analysi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201-1229. 

  12. Swift, R.S., 1996, Organic matter characterization."Method of Soil Analysis: 3. Chemical Analysi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1011-1069. 

  13. Tessier, A., Campbell, P. G. C., and Bisson, M., 1979, Sequential extraction procedure for the speciation of particulate trace metals. Analytical Chemistry, 51(7), 844-850. 

  14. Thomas, G.W., 1996, Soil pH and soil acidity, Method of Soil Analysis:3. Checmical Analysis, Soil Science Society of America, 475-4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