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Bi(脾 Spleen) is a major organ which controls digestion and absorption in Korean medicine, there also introduced another function of bi, which is called 'bitonghyul(脾統血)' that means the spleen controls(holdings) the blood. While the spleen is involved in the function of blood generation thro...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韓醫學에서 말하는 ‘脾統血’의 의미에 대해 고찰하고, ‘脾統血’이 의미하는 현대 생리학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비교해 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臟象이란? 韓醫學은 인체 내부에 존재하는 臟器의 기능을 이해하는 방법에 있어서 ‘臟象’이라는 측면으로 접근했다. ‘臟象’은 인체의 生命現狀중 하나인 臟器의 生命現狀을 유기체적인 기능현상으로 이해1)하려는 방법으로 내부에 보이지 않아 파악하기 난해한 臟器의 기능을 인체의 외부에 나타나는 현상을 통해 이해하는 것으로 물질적 구조의 파악을 통해 전체적인 臟器의 기능을 설명하려하는 현대의 생리학과는 접근 방법에 있어서 차이가 있어서, 臟象으로 표현되는 부분을 현대 생리학과 비교해 보면 많은 부분에서 동일한 인식을 보이기는 하지만, 쉽게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도 있다.
韓醫學에서 ‘脾의 기능은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 韓醫學에서 ‘脾’의 기능은 주로 소화기의 흡수기능을 총괄하고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말에서 ‘비위’는 ‘어떤 음식물을 먹어 삭여 내는 힘’2)을 뜻하고 傷寒論의 陽明病 胃家實에서 ‘胃家’는 곧 脾胃, 大腸, 小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여기며3), 十二經脈에 있어서도 手陽明大腸經과 手太陽小腸經의 六府下合穴은 각각 上巨虛, 下巨虛로 모두 足陽明胃經에 속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脾胃系統이라고 하면 해부학적인 脾臟, 胃腸 뿐만 아니라 口脣, 食道, 胃, 小腸, 大腸 등의 소화기계통에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기능4)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脾’는 단순히 해부학적인 ‘脾臟(spleen)’과 ‘膵臟(pancreas)’의 의미가 아니라 우리 인체에서 음식물을 분해하여 흡수하는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위, 소장, 대장 등의 腸管과 간, 췌장 등의 소화액분 비선을 포함한 모든 소화기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영양분 흡수의 기능적인 과정 전체를 총괄하여 표현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韓醫學에서 脾의 기능이 주로 소화기의 흡수기능을 총괄하고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는 것에 대한 예로는 어떤것이 있는가? 韓醫學에서 ‘脾’의 기능은 주로 소화기의 흡수기능을 총괄하고 있다고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우리말에서 ‘비위’는 ‘어떤 음식물을 먹어 삭여 내는 힘’2)을 뜻하고 傷寒論의 陽明病 胃家實에서 ‘胃家’는 곧 脾胃, 大腸, 小腸을 포괄하는 개념으로 여기며3), 十二經脈에 있어서도 手陽明大腸經과 手太陽小腸經의 六府下合穴은 각각 上巨虛, 下巨虛로 모두 足陽明胃經에 속해 있으며, 일반적으로 脾胃系統이라고 하면 해부학적인 脾臟, 胃腸 뿐만 아니라 口脣, 食道, 胃, 小腸, 大腸 등의 소화기계통에서 발생하는 생리적인 기능4)을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脾’는 단순히 해부학적인 ‘脾臟(spleen)’과 ‘膵臟(pancreas)’의 의미가 아니라 우리 인체에서 음식물을 분해하여 흡수하는 일련의 과정에 참여하는 위, 소장, 대장 등의 腸管과 간, 췌장 등의 소화액분 비선을 포함한 모든 소화기에서 행하여지고 있는 영양분 흡수의 기능적인 과정 전체를 총괄하여 표현하고 있다고 해야 할 것이다. 이러한 ‘脾’의 기능을 ‘脾主運化’, ‘脾主四末’, ‘脾主肌肉’, ‘脾統血’ 등으로 표현되는데, 현대의학에서 보는 관점에서는 주로 음식물의 소화와 흡수 대사의 기능 단위군에 해당5)하고, 영양분의 소화와 흡수를 통해, 전신에 영양을 공급하고, 이를 통해 四肢의 肌肉이 유지되고 있으므로, ‘脾主運化’, ‘脾主四末’, ‘脾主肌肉’은 기능면에서 서로 연관된다고 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우원홍, 정우열. 장부론의 현대적 재인식. 대한동의병리학회지 12(2), 1998. 

  2. 한글학회. 우리말큰사전. 서울. (주)어문각, 1992. 

  3. 김현제, 홍원식 편역. 한의학사전. 서울, 신광문화사, 1991. 

  4. 정우열, 안규석 편저. 한방임상병리학. 서울, 영림사, 1998. 

  5. 원광대학교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과학. 익산, 원광대학교출판국, 1996. 

  6. 壽註. 尹暢烈외 編譯. 難經本義. 대전, 주민출판사, 2003. 

  7. 武之望. 濟陰綱目.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8. 

  8. 薛立齊. 薛立齊醫學全書.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9. 尤在涇. 金?翼. 北京, 中國中醫藥出版社, 1999. 

  10. 唐宗海. 血證論. 台北, 力行書局有限公司印行. 

  11. 金赫濟, 金星元編著. 明文漢韓大字典. 서울, 明文堂. 

  12. 王琦主編. 中醫藏象學. 北京, 人民衛生出版社. 

  13. 袁鐘等主編. 中醫辭海. 北京, 中國醫藥科技出版社, 1995. 

  14. 柳志允, 金永坂編著. 辨證施治臨床要綱. 서울, 영림사, 1993. 

  15. 전국한의과대학 비계내과학교실. 비계내과학. 서울, 군자출판사, 2009. 

  16. 강신성, 안태인 역. Vander's 인체생리학. 서울, 지코사이언스, 2008. 

  17. 해리슨내과학 편찬위원회 편. 해리슨 내과학. 서울, 도서출판 정담, 1997. 

  18. 이우주. 약리학강의. 서울, 선일문화사, 1984.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