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 대비한 중등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특성에 대한 인식
Perception Survey on Characteristics of Scientific Literacy for Global Science-Technology-Society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원문보기

한국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v.30 no.6, 2010년, pp.850 - 869  

유효숙 (이화여자대학교) ,  최경희 (이화여자대학교)

초록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에 필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중 고등학생들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 경기 지역 소재 중 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952명을 대상으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학생들은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해 과학에 대한 태도(Orientation)가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과학 관련 지식(Scientific knowledge)과 탐구와 문제해결능력(Habits of mind)이 그 다음으로 나타났다. 학생들은 여학생의 경우 다수가 과학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반면, 남학생들은 과학에 대한 태도만큼이나 과학 지식도 중요한 요소로 꼽았다. 중 고등학생들은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의 특성을 고려하여, 사회적 이슈와 관련된 과학 지식을 알고 타인과의 의사소통능력이나 협동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능력, 새로운 환경에 적응하는 능력 등을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과학 및 기술의 발달로 인한 부작용에 대해 아는 것도 매우 중요 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글로벌 시민으로서의 책임감이나 다양성에 대한 존중, 공동체 의식 등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중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를 위한 과학적 소양 교육에 더욱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of scientific literacy in the $21^{st}$ century through the survey. Subjects were 952 students from 13 participating schools. 482 middle school students and 470 high school students, 471 male students and 481 female were...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에 대해 조사하여, 중고등학생들의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1세기에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의 세부 요소들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어떤 요소가 더욱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또한 이를 학교급별, 성별 등으로 분석하여 각 집단에서 나타나는 경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에 대해 조사하여, 중고등학생들의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21세기에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의 세부 요소들에 대해 중고등학생들은 어떻게 인식하는지, 어떤 요소가 더욱 필요할 것이라고 생각하는지, 그 이유는 무엇인지에 대해 조사하였다.
  • 확정된 각 세부항목에 대해서 학생들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정도를 리커트 척도로 표시하게 하였으며, 중요도가 크게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을 고려하여 세부항목 중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3개의 항목만을 추가적으로 선택하게 하였다. 또한 Table2에 나타난 전체 영역 중에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갖추어야 할 가장 중요한 영역을 묻는 선택형 문항과 더불어, 해당 영역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이유를 묻는 개방형 문제를 포함하여 학생들이 해당 항목을 선택한 배경에 대해 파악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21세기에 필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중∙고등학생들의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지역 소재 중∙고등학교에 재학중인 학생 952명을 대상으로, 21세기 글로벌 과학기술사회에서 중요한 과학적 소양에 대한 인식과 관련된 설문을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과학적 소양이라는 용어는 언제 처음 사용되었나? 과학적 소양이라는 용어는 1950년대 말, Hurd에 의해 ‘과학 소양: 미국 학교에서 과학 소양의 의미(Science Literacy: It’s Meaning for American Schools)’라는 논문에서 처음 사용되었다. Hurd는 이를 통해 과학지식에 대한 폭넓고 대중적인 이해를 강조하며 현대 시민을 위한 과학적 소양을 과학교육의 목표로 제시하였다(Hurd, 1958; Kim, 2007).
과학적 소양에 대한 연구는 언제부터 시작되었는가? 과학적 소양에 대한 연구는 이미 1950년대부터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왔으며, 이는 세계 각국의 과학교육과정에서 강조되고 있는 과학교육의 흐름이기도 하다(신동희, 노국향, 2002). 미국에서는 Project 2061(AAAS, 1989)을 근간으로‘모든 미국인을 위한 과학(Science for all Americans)’및‘과학적 소양을 위한 기준(Benchmarks for the scientific literacy)’(AAAS, 1993)을 제시하여 현대 사회의 시민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과학적 소양을 강조한 바 있으며, 이는 20세기 초 중등 과학교육과정에 나타난 큰 개혁적 변화의 하나라고도 하였다(Shamos, 1995).
중∙고등학생들 과학기술사회에서 과학적 소양 중 과학에 대한 태도가 가장 중요하다고 응답한 이유는? 그 이유에서 밝히고 있는 바와 같이, 지식이나 탐구능력 등도 중요하지만 태도가 다른 요소들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라 사회 안에서의 과학의 사용이나 과학 관련 문제에 대한 행동이 달라질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그 외의 항목으로는 과학 관련 지식(Scientific knowledge)과 탐구와 문제해결능력(Habits of mind)이 이어 나타났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곽대오, 김영수, 성민웅(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견해.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0(1), 1-12. 

  2. 교육인적자원부(1997). 제7차 과학과 교육과정. 

  3. 교육인적자원부(2007). 2007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4. 교육과학기술부(2009). 2009개정 과학과 교육과정. 

  5. 노진일, 이경훈, 경재복, 우종옥(1998). 고등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19(3), 276-282. 

  6. 박정(2006). 우리나라 여학생과 남학생의 OECD/PISA 과학적 소양 평가 문항에서의 차별기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440-449. 

  7. 박현주, 노민아(2007). 여중생의 과학 본성에 대한 이해와 과학성적. 중등교육연구, 55(3), 1-19. 

  8. 신동희, 노국향(2002). 우리나라 학생들의 과학적 소양 성취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76-92. 

  9. 이명제(2009). '과학적 소양'의 정의를 향하여. 초등과학교육, 28(4), 487-494. 

  10. 이현주, 정가윤, 유정숙(2010). 글로벌 사회에서 요구하는 과학적 소양에 대한 한국과 미국 과학교사의 인식 탐색. 교육과정평가연구, 13(1), 143-163. 

  11. 정영란, 최진미(2007). 중학생과 고등학생의 과학적 소양 평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1), 9-17. 

  12.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89). Science for all Americans, A project 2061 report on literacy goals in science, mathematics, and technology. Washington, DC: AAAS. 

  13.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1993). Benchmarks for science literac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4. Brown, B. A., Reveles, J. M. & Kelly, G. J.(2005). Scientific literacy and discursive identity: A theoretical framework for understanding science learning. Science Education, 89(5), 770-802. 

  15. Chiapetta, E., Sethna, G. & Fillman, D.(1993). Do middle school life science textbooks provide a balance of scientific literacy them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0(7), 787-797. 

  16. Choi, K., Kim, S., Lee, H., & Krajcik, J. S.(2010). Re-conceptualization of scientific literacy for the 21st century in Korea.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17. DeBoer, G. E.(1991). A history of ideas in science education: Implications for practice. New York and London: Teachers College Press, Columbia University. 

  18. DeBoer, G. E.(2000). Scientific literacy: Another look at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meanings and its relationship to science education refor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7(6), 582-601. 

  19. Fortunato, I., Hecht, D., Tittle, C. K., & Alvarez, L.(1991). Metacognition and problem solving. Arithmetic Teacher, 38(4), 38-40. 

  20. Gallagher, J.(1971). A broader base for science teaching. Science Education, 55(3), 329-338. 

  21. Holbrook, J., Rannikmae, M.(2007).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 for enhancing scientific literacy.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9(11), 1347-1362. 

  22. Hurd, P. D.(1958). Science Literacy: It's Meaning for American Schools. Educational Leadership, 16(1), 13-16, 52. 

  23. Kim, Mijung(2007). Rethinking K-6 Scientific literacy: A case study of using science books as tool to cultivate a fundamental sense of scientific literac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for Science Education, 27(8), 711-723. 

  24. Laughsch, R. C.(2000). Scientific literacy: A conceptual overview. Science Education, 84(1), 71-94. 

  25. Manhart, J. J.(1998). Gender differences in scientific literacy.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Council on Measurement in Education. 

  26. Millar, R.(2006). Twenty first century science: insights from the design and impementation of a scientific literacy approach in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28(13), 1499-1521. 

  27. Norris, S., Phillips, L.(2003). How literacy in its fundamental sense is central to scientific literacy. Science Education, 87(2), 224-240. 

  28. Shamos, M. H.(1995). The myth of scientific literacy. New Brunswick, New Jersey: Rutgers University Press. 

  29. Swanson, H. L.(1990). Influence of metacognitive knowledge and aptitude on problem solv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2), 306-314. 

  30. Zeidler, D. L., Sadler, T.D.(2008). Social and Ethical Issues in Science Education: A Prelude to Action. Science & Education, 17(8), 799-803. 

저자의 다른 논문 :

LOADING...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