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중풍 후 강직의 침구치료에 대한 계통적 연구
A Systematic Review of Clinical Trials on Acupuncture on the Post-stroke Muscle Spasticity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7 no.6, 2010년, pp.1 - 10  

서병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백용현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박동석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ystematic review was to assess the efficacy of acupuncture and its relevant modality on post-stroke muscle spasticity Methods : We included 7 randomized controlled trials(RCTs) and 1 crossover study on acupuncture on the post-stroke muscle spasticity. Articles searches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2009년 10월까지 database와 개별 journal 들에 대한 검색을 통해 총 38편의 논문이 검색되었으며 중복게재되었거나, observational study, case report, review, letter, 기초 문헌고찰, 약물 등 비침구요법이 main treatment modality로 활용된 연구를 제외하여 총 8편의 연구를 선정하고, 중풍 후 강직에 다양한 침구 치료의 효과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계통적 연구를 시행하였다.
  • 이에 저자는 2009년 10월까지 발표된 중풍 후 강직에 침구치료를 시행한 임상연구들을 분석하여 침구치료가 중풍 후 강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보다 신뢰성 있는 결론을 도출하기 위한 계통적 연구를 시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중풍환자는 어떤 임상 증상을 보이는가? 상위 운동 신경원이 손상되는 경우 alpha와 gamma motoneuron activity를 저해하고 class Ia와 2 muscle spindle afferent에 대한 sensitivity를 증가시키게 된다4). 중풍환자 견관절의 adduction과 internal rotation pattern, 주관절의 flextion과 pronation, 손목과 손가락 관절의 flexion과 모지 adduction, 슬관절의 extension, 그리고 족관절의 plantar flexion과 inversion pattern을 임상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다5). 강직은 동통을 야기할 수 있으며, 기능을 제한하고, 심미적으로 좋지 못하며 결과적으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6).
강직의 정의는 무엇인가? 강직 spasticity이란 “tendon jerks의 강화에 동반된 tonic stretch reflexes(muscle tone)의 velocitydependent increase와 그에 의한 stretch reflex의 hyperexcitability를 유발하는, upper motor neuron syndrome의 한 부분”으로 정의된다1). 정확한 강직의 유병률은 알려져 있지 않으나 전세계적으로 약 1,200만 명이상의 환자들이 강직에 의한 증상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2), 중풍 환자의 약 65%에서 강직과 관련된 증상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중풍에 의해 상위 운동 신경원이 손상되면 어떤 결과가 나타나는가? 중풍은 상위 운동 신경원에 손상을 가하며 결과적으로 강직을 야기하게 된다. 상위 운동 신경원이 손상되는 경우 alpha와 gamma motoneuron activity를 저해하고 class Ia와 2 muscle spindle afferent에 대한 sensitivity를 증가시키게 된다4). 중풍환자 견관절의 adduction과 internal rotation pattern, 주관절의 flextion과 pronation, 손목과 손가락 관절의 flexion과 모지 adduction, 슬관절의 extension, 그리고 족관절의 plantar flexion과 inversion pattern을 임상에서 전형적으로 볼 수 있다5).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2)

  1. Lance JW. Symposium synopsis. In: Feldman FG, Young RR, Koella WPs, eds. Spasticity : Disorder of Motor Control. Chicago, III : Year Book Medical. 1980 ; 485-94. 

  2. Brin MF. Preface. Mescle Nerve Supple. 1997 ; 6 : 1. 

  3. McGuire JR, Harvey RL. The prevention and management of complications after stroke. Phys Med Rehabil Clin North Am. 1999 ; 10 : 857-74. 

  4. Roth E, Harvey R. Rehabilitation of stroke syndromes. In : Braddom R, editor.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iladelphia : WB Saunders. 1996 ; 1053-87. 

  5. Mayer NH, Esquenazi A, Childers MK. Common patterns of clinical motor dysfunction. Muscle Nerve Suppl. 1997 ; 6 : S21-35. 

  6. Katz RT. Management of spasticity. In : Braddom R, editor.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Philadelphia : WB Saunders. 1996 : 580- 604. 

  7. 통계청. 사망원인통계연보. 2007. Available from : URL : http//www.kosis.kr/ 

  8. Bogey RA, Geis CC, Bryant PR, Moroz A, O'neill BJ. Stroke and neurodegenerative disorders. 3. Stroke : rehabilitation management. Arch Phys Med Rehabil. 2004 ; 85(3) : S15-20. 

  9. Moher D, Cook DJ, Jadad AR, Tugwell P, Moher P, Jones A, Pham B, Klassen TP.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trials: Implications for the conduct of meta-analyses. Health Technology Assessment. 1999 ; 3(12) :1-98. 

  10. Jadad AR, Moore RA, Carroll D, Jenkinson C, Reynolds DJM, Gavaghan DJ, McQuay HJ. Assessing the quality of reports of randomized clinical trials : is blinding necessary? Control Clin Trials. 1996 ; 17 : 1-12. 

  11. 이향숙, 박종배, 서정철, 박히준, 이혜정. 침의 대조군 연구에서 실험처치 보고에 대한 표준- STRICTA 권장안 및 침 임상실험에서 최적의 치료, 거짓대조군 및 블라인딩에 관한 동의안. 대한침구학회지. 2002 ; 19(6) : 134-54. 

  12. 김우영, 이승덕, 임병묵, 김갑성. STRICTA 권장안에 기초한 침 연구방법론의 적절성 평가-새로운 평가지수를 이용한 5편 Systematic review와 그 대상인 58편 무작위대조시험의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2007 ; 24(5) : 151-70. 

  13. 김용석. 중풍경직에 전침, TENS 및 신경근 자극기의 효과에 대한 연구. 대한침구학회지. 2000 ; 17(2) : 209-20. 

  14. 유진호, 김용석, 강성길. 전침자극이 중풍환자의 경직에 미치는 효과. 대한침구학회지. 1999 ; 16 (2) : 1-12. 

  15. Moon SK, Whang YK, Park SU, Ko CN, Kim YS, Bae HS, Cho KH. Antispastic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and moxibustion in stroke patients. Am J Chin Med. 2003 ; 31(3) : 467-74. 

  16. Mukherjee M, McPeak LK, Redford JB, Sun C, Liu W. The effect of electro-acupuncture on spasticity of the wrist joint in chronic stroke survivors. Arch Phys Med Rehabil. 2007 ; 88(2) : 159-66. 

  17. Fink M, Rollnik JD, Bijak M, Borstadt C, Dauper J, Guergueltcheva V, Dengler R, Karst M. Needle acupuncture in chronic poststroke leg spasticity. Arch Phys Med Rehabil. 2004 ; 85(4) : 667-72. 

  18. Wayne PM, Krebs DE, Macklin EA, Schnyer R, Kaptchuk TJ, Parker SW, Scarborough DM, McGibbon CA, Schaechter JD, Stein J, Stason WB. Acupuncture for upper-extremity rehabilitation in chronic stroke : a randomized shamcontrolled study. Arch Phys Med Rehabil. 2005 ; 86(12) : 2248-55. 

  19. Zhao JG, Cao CH, Liu CZ, Han BJ, Zhang J, Li ZG, Yu T, Wang XH, Zhao H, Xu ZH. Effect of acupuncture treatment on spastic states of stroke patients. J Neurol Sci. 2009 ; 276 : 143-7. 

  20. Yan T, Hui-Chan CW. Transcutaneous electrical stimulation on acupuncture points improves muscle function in subjects after acute stroke :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Rehabil Med. 2009 ; 41(5) : 312-6. 

  21. Young RR. Spasticity : a review. Neurology. 1994 ; 44(Suppl) : S12-20. 

  22. Lalith E. Satkunam. Rehabilitation medicine : 3. Management of adult spasticity. CMAJ. 2003 ; 169(11) : 1173-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