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고지방 식이로 유도된 비만 생쥐에서 창출약침의 항비만 효과
Anti-obesity Effect of Rhizoma Atractylodis Herbal Acupuncture in High Fat Diet-induced Obese ICR Mouse 원문보기

大韓鍼灸學會誌= The journal of Korean Acupuncture & Moxibustion Society, v.27 no.6, 2010년, pp.31 - 42  

유은주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서병관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남상수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  강성길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침구학교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nti-obesity potential and mechanisms of action of Rhizoma Atractylodis(RA) herbal acupuncture in high fat diet- induced obese ICR mice. Methods : Sample solutions for herbal acupuncture were prepared from the Rhizoma Atractylodis water extra...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ACC는 미토콘드리아에서 지방산 산화를 억제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malonyl-CoA 합성을 조절하는 율속단계 효소로, AMPK 활성화는 ACC를 억제하고 그 결과줄어든 malonyl-CoA에 의해 지방산 산화가 촉진된다50,51).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창출약침이 AMPK 인산화를 촉진하여 지방분화과정과 지방산 산화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Western blot으로 AMPK, ACC 단백질의 인산화 정도를 그룹간 비교해 보았다. pAMPK, pACC 단백질은 창출약침 비치료군인 정상식이 대조군과 고지방식이 대조군에서는 거의 발현하지 않았지만 창출약침 치료를 시행한 결과 농도의존적으로 이 단백질들의 발현이 증가함이 관찰되었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지방식이로 유도된 비만 생쥐에서 蒼朮藥鍼을 腎兪(BL23)에 시행한 후, 체중변화, 혈청학적 지표, 지방조직의 형태학적 소견, 지방분화 관련 유전자 및 AMPK 활성을 관찰하여 유의한 결과를 얻었기에 이에 보고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창출이란? 창출은 한의학 임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약재 중 하나로, ≪동의보감≫에 수재된 처방만 232종이 된다11). 창출은 국화과(Compositae)의 삽주속(Astractylodes) 의 근경으로서12), 주피가 붙어 있고 불규칙하게 구부러진 원주형 또는 덩어리로 바깥 면이 갈색의 약재로그 효능에 있어 芳香化濕藥으로 분류되며13), 性溫, 味苦辛, 無毒하여 上中下焦의 濕疾을 다스려서 조습건비, 거풍습의 효능이 있어14), 다양한 복합 탕약에서 효과적으로 비만을 개선시킴이 보고되고 있다15-18). 창출은 위장관의 움직임을 개선시키는 효능 이외에19,20), platelet aggregation 억제 효과가 있으며21), 면역력을 강화시키고22), 안태작용이 있으며23,24), 무산소성 손상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으며25), 특히 이뇨효과26)와 혈압강압효과27), 혈청 중 cholesterol 감소효과28)가 보고되었고, 창출약침을 豊隆․陽陵泉 穴位에 시행하여 체중, 식이섭취량, HDL, TG, free fatty acid, AST, ALT의 감소를 보고한 연구가 있으나29), 腎兪(BL23)에 시행한 창출약침의 항비만, 항고지혈, 항고혈당 효과에 대한 기전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되지 않았다.
비만이란? 비만은 에너지 불균형에 의하여 과도하게 지방이 침착되는 만성질환으로1), 유전적·영양적·환경적 및 사회적 요인 등 다양한 원인들이 관여하는 복잡한 증후군이다2). 비만환자에서 제2형 당뇨병, 고혈압, 심혈관질환, 고관절 및 슬관절 등 체중지지관절의 골관절염, 악성종양, 폐쇄성 수면무호흡증, 담낭질환 등 동반 질환의 발생률이 높으며, 체질량 지수가 30kg/m2를 초과하는 경우 사망률의 증가와 관련된다3,4).
창출약침이 비만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ICR mouse에 고지방식이로 비만과 고혈당, 고지혈을 유도하면서 腎兪(BL23) 상응 혈위에 일정한 방법으로 창출(150mg/kg, 300mg/kg)약침을 시행하여 체중, insulin resistance, 혈중 glucose, insulin, NEFA, cholesterol, triglyceride, AST, ALT 농도를 평가하고 epididymis의 조직학적 관찰과 지방분화 유전자를 관찰하여 얻은 결과는? 1. 창출약침은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체중의 증가를 억제하였다. 2. 창출약침은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혈중 glucose, insulin level 및 insulin resistance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3. 창출약침은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혈중 NEFA, cholesterol, TG, ALT의 상승을 억제하였다. 4. 창출약침은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지방조직의 증식을 억제하였으며, 지방조직 크기의 분포를 정상화하였다. 5. 창출약침은 고지방식이 투여로 인한 PPAR-γ, C/EBPα, aP2, LPL, FAS, SCD-1의 발현 증가를 억제하였다. 6. 창출약침은 AMPK, ACC를 활성화시켰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51)

  1. 박혜순. 비만의 발생 기전과 그 치료를 위한 에너지 조절. 가정의학회지. 2000 ; 22(8) : 1287-95. 

  2. Peebles R. Adolescent obesity : etiology, office evaluation, and treatment. Adolesc Med State Art Rev. 2008 ; 19(3) : 380-405. 

  3. 홍은경. 당뇨병 Statement : 성인 비만의 병인 및 관련질환. 임상당뇨병. 2008 ; 9(3) : 148-52. 

  4. Sullivan PW, Ghushchyan VH, Ben-Joseph R. The impact of obesity on diabetes, hyperlipidemia and hypertension in the United States. Qual Life Res. 2008 ; 17(8) : 1063-71. 

  5. Kim DM, Ahn CW, Nam SY.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 Obes Rev. 2005 ; 6(2) : 117-21. 

  6. Park HS, Park CY, Oh SW, Yoo HJ. Prevalence of obesity and metabolic syndrome in Korean adults. Obes Rev. 2008 ; 9(2) : 104-7. 

  7. Seidell JC.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diabetes- a worldwide epidemic. Br J Nutr. 2000 ; 83(Suppl 1) : S5-8. 

  8. Cornier MA, Dabelea D, Hernandez TL, Lindstrom RC, Steig AJ, Stob NR, Van Pelt RE, Wang H, Eckel RH. The metabolic syndrome. Endocr Rev. 2008 ; 29(7) : 777-822. 

  9. 김철희. 비만의 약물치료. 임상당뇨병. 2008 ; 9(3) : 173-7. 

  10. 이재성, 이성현. 한방치료의 체지방 및 복부비만 감소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1 ; 1(0) : 33- 42. 

  11. 허준. 동의보감. 서울 : 남산당. 2000. 

  12. 대한약학대학협의회 약전분과학회 편. 대한약전 제7개정해설서. 서울 : 문성사. 2001 : 1093-4. 

  13. 전국한의과대학 공동교재편찬위원회. 본초학. 서 울 : 영림사. 2004 : 334-6. 

  14. 허준. 동의보감. 서울 : 남산당. 2000 : 1180. 

  15. 최정식, 장선규, 조충식, 김철중, 한동운. 소평탕이 Streptozotocin으로 유발된 당뇨쥐의 혈당 및 항산화 효소활성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2008 ; 29(1) : 90-103. 

  16. 공태현, 정지천. ob/ob mouse에서 오정환이 혈당, 고지혈증, polyol pathway 및 항산화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의학회지. 2007 ; 28(3) : 57-69. 

  17. 채명희, 노진구, 전덕영. 유전성 비만 마우스에 대한 항비산의 혈중 콜레스테롤 저하 효과.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2007 ; 36(1) : 27-31. 

  18. 이윤재, 류은경. 과체중 비만 소아에 대한 한방비만 치료프로그램 효과. 대한한방비만학회지. 2009 ; 9(1) : 45-51. 

  19. Nakai Y, Kido T, Hashimoto K, Kase Y, Sakakibara I, Higuchi M, Sasaki H. Effect of the rhizomes of Atractylodes lancea and its constituents on the delay of gastric emptying. J Ethnopharmacol. 2003 ; 84(1) : 51-5. 

  20. Yamahara J, Matsuda H, Huang Q, Li Y, Fujimura H. Intestinal motility enhancing effect of Atractylodes lancea rhizome. J Ethnopharmacol. 1990 ; 29(3) : 341-4. 

  21. Nasu Y, Iwashita M, Saito M, Fushiya S, Nakahata N. Inhibitory effects of Atractylodis lanceae rhizoma and Poria on collagen- or thromboxane A2-induced aggregation in rabbit platelets. Biol Pharm Bull. 2009 ; 32(5) : 856-60. 

  22. Li R, Sakwiwatkul K, Yutao L, Hu S. Enhancement of the immune responses to vaccination against foot-and-mouth disease in mice by oral administration of an extract made from Rhizoma Atractylodis Macrocephalae(RAM). Vaccine. 2009 ; 27(15) : 2094-8. 

  23. Zhong XH, Shi WY, Ma AT, Gong XC, Zhai XH, Zhang T, Wang XD. Effects of Radix scutellariae and Rhizoma atractylodis on LPSinduced abortion and the uterine IL-10 contents in mice. Am J Chin Med. 2008 ; 36(1) : 141-8. 

  24. Zhong XH, Zhou ZX, Li TS, Wang EQ, Shi WY, Chu SM. Anti-abortive effect of Radix scutellariae and Rhizoma atractylodis in mice. Am J Chin Med. 2002 ; 30(1) : 109-17. 

  25. Yamahara J, Matsuda H, Naitoh Y, Fujimura H, Tamai Y. Antianoxic action and active constituents of atractylodis lanceae rhizoma. Tokyo : Chem Pharm Bull. 1990 ; 38(7) : 2033-4. 

  26. Satoh K, Yasuda I, Nagai F, Ushiyama K, Akiyama K, Kano I. The effects of crude drugs using diuretic on horse kidney(Na+ + K+)- adenosine triphosphatase. Yakugaku Zasshi. 1991 ; 111(2) : 138-45. 

  27. 고석태, 문영희, 김성오. 창출이 가토의 혈압에 미치는 영향. 대한약학회지. 1973 ; 17(2) : 103-10. 

  28. 한혜경, 윤수진, 김건희. 국화과 식물의 섭취가 Streptozotocin 유발 당뇨 흰쥐의 혈당과 지질 수준에 미치는 영향. 한국식품영영과학회지. 2009 ; 38(6) : 674-82. 

  29. 주준성, 윤대환, 나창수, 조명래, 채우석. 풍륭 음릉천에 대한 약침(창출, 의이인)이 고지방식이로 유발된 비만백서에 미치는 영향. 대한침구학회지. 2004 ; 21(2) : 131-54. 

  30. Matthews DR, Hosker JP, Rudenski AS, Naylor BA, Treacher DF, Turner RC.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 insulin resistance and beta-cell function from fasting plasma glucose and insulin concentrations in man. Diabetologia. 1985 ; 28(7) : 412-9. 

  31. WHO. Obesity and overweight. 2009. 

  32. Karamadoukis L, Shivashankar GH, Ludeman L, Williams AJ. An unusual complication of treatment with orlistat. Clin Nephrol. 2009 ; 71(4) : 430-2. 

  33. Thurairajah PH, Syn WK, Neil DA, Stell D, Haydon G. Orlistat(Xenical)-induced subacute liver failure. Eur J Gastroenterol Hepatol. 2005 ; 17(12) : 1437-8. 

  34. 금연섭, 변성희, 금상찬, 국만, 조응행. 비만 치료 및 예방에 대한 한약의 효능 연구 IV. 대한본초학회지. 2000 ; 15(2) : 37-43. 

  35. 강성길. 수침혈위에 관한 연구. 동양의학. 1985 ; 11(1) : 34-48. 

  36.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침구학(중). 서울 : 집문당. 2008 : 408-35. 

  37. 이문호, 손인철. 약침요법의 소개 및 문제점 고찰. 대한침구학회지. 1998 ; 15(2) : 511-8. 

  38. 안영기. 경혈학총서. 서울 : 성보사. 1995 : 362-3. 

  39. 대한침구학회 교재편찬위원회 편저. 침구학(상). 서울 : 집문당. 2008 : 136-7. 

  40. Colditz GA, Willett WC, Stampfer MJ, Manson JE, Hennekens CH, Arky RA, Speizer FE. Weight as a risk factor for clinical diabetes in women. Am J Epidemiol. 1990 ; 132(3) : 501-13. 

  41. Riccardi G, Giacco R, Rivellese AA. Dietary fat, insulin sensitivity and the metabolic syndrome. Clin Nutr. 2004 ; 23(4) : 447-56. 

  42. Grundy MS, Abate N, Chandalia M. Diet composition and the metabolic syndrome : What is the optimal fat intake? Am J Med. 2002 ; 113(9) : 25-9. 

  43. Storlien LH, Pan DA, Kriketos AD, Baur LA. High fat diet induced insulin resistance. Lessons and implications from animal studies. Ann NY Acad Sci. 1993 ; 683 : 82-90. 

  44. Woods CS, Seeley JS, Rushing AP, D'alessio D, Tso P. A controlled high-fat diet induces an obese syndrome in rats. J Nutr. 2003 ; 133 : 1081-7. 

  45. Axen VK, Dkeakos A, Sclafani A. High dietary fat promotes syndrome X in nonobese rats. J Nutr. 2003 ; 133 : 2244-9. 

  46. Abbasi F, Brown BW, Lamendola C. Relationship between obesity, insulin resistance, and coronary heart disease risk. J Am Coll Cardiol. 2003 ; 40 : 937-43. 

  47. 장일무, 마응천, 김제훈, 염정록, Michio Takido. 출류에 관한 연구(II) : 한국산 창출과 백출의 사염화탄소 간독성에 대한 보간효과 비교. 생약학회지. 1989 ; 20(2) : 96-100. 

  48. 허자경, 황덕상, 이창훈, 이경섭. 한방 비만 치료후 간기능 개선을 보인 비알코올성 지방간 환자1례 보고. 한방비만학회지. 2007 ; 7(2) : 85-94. 

  49. Koppen A, Kalkhoven E. Brown vs white adipocytes : the PPARgamma coregulator story. FEBS Lett. 2010 ; 584(15) : 3250-9. 

  50. Viollet B, Lantier L, Devin-Leclerc J, Hebrard S, Amouyal C, Mounier R, Foretz M, Andreelli F. Targeting the AMPK pathway for the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Front Biosci. 2009 ; 14 : 3380-400. 

  51. Steinberg GR, Kemp BE. AMPK in Health and Disease. Physiol Rev. 2009 ; 89(3) : 1025-7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