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짚신나물 추출물의 알레르기 반응 억제 효과
The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Extract on Allergic Reaction 원문보기

韓國藥用作物學會誌 =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v.18 no.6, 2010년, pp.398 - 404  

김영미 (덕성여자대학교 약학대학 약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medicines are considered as a promising research field to develop new therapies for various allergic disease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anti-allergic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AP) by using passive cutaneous anaphylaxis in mice and its mechanism of ac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다음으로 본 연구자들은 짚신나물 추출물의 비만세포에서 탈과립 억제를 유도하는 기전을 알아보았다. 짚신나물 추출물의 비만세포 활성화의 억제기전을 연구하기위해 다양한 초기신호전달물질의 활성화에 대한 짚신나물 추출물의 억제 효과를 측정하였다.
  • 본 연구를 요약하면 짚신나물추출물의 in vitro 비만세포 및 제 1형 알레르기동물모델에서 항알레르기 효과와 그 작용기전을 연구하였다. 짚신나물추출물은 RBL-2H3 및 골수유래의 비만세포 (BMMC)에서 항원자극에 대해 농도의존적인 항알레르기 효과 (IC50 = 약 50 ㎍/㎖)를 보였다.
  • 본 연구에서는 우선 짚신나물 추출물의 Syk kinase의 인산화에 대한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짚신나물 추출물은 비만세포의 신호전달에 중요한 Syk kinase의 항원에 의한 타이로신 잔기 인산화를 농도 의존적으로 억제하였다 (Fig.
  •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항원에 의한 탈과립 현상을 측정하기 위해 RBL-2H3 세포 및 골수유래의 비만세포(BMMC)에서 항원 자극에 의해 세포밖으로 분비되는 β-hexosaminidase의 짚신나물 추출물에 의한 억제 효과을 측정하였다.
  • , 2006). 이 동물 모델은 생쥐의 귀에 IgE를 피내 주사하여 국소 비만세포를 감작시키고 항원을 꼬리 정맥주사 후 귀에 존재하는 비만세포 활성화에 의한 에반스 블루 색소의 혈관으로부터의 귀 조직으로의 유출정도를 측정하는 실험이다. 항원에 의한 에반스 블루의 혈관으로부터의 유출은 항원자극에 의해 현저히 증가함을 관찰할 수 있었으며 (Fig.
  • 왜냐하면 약물의 비가역적인 작용은 인체에 투여 되었을 때 치명적인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자들은 짚신나물 추출물의 비만세포에서의 탈과립 억제 효과의 가역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IgE로 감작한 비만세포를 1시간 동안 짚신나물 추출물로 처리한 다음 두 그룹으로 나누어 한 그룹은 추출물을 PIPES 완충액으로 제거하고 다른 그룹은 제거하지 않은 상태에서 항원으로 자극하여 탈과립 활성의 가역성을 비교 측정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짚신나물은 어떤 효능을 가지고 있는가? 키는 15-60 ㎝ 정도 자라고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버들잎 모양 또는 긴 타원 꼴의 쪽잎이 어긋나게 나있으며, 6-7월에 꽃대위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짚신나물은 지혈, 소염, 항균, 항암, 혈당강하, 조혈작용 등의 효능이 민간에서 보고 되고 있으나 실험적으로 증명이 되진 않았으며 최근 항산화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및 iNOS 억제를 통한 항염증효과가 실험적으로 증명되어 보고되어 있다 (Jung et al., 2010; Shin et al.
짚신나물의 외형은 어떠한가? 짚신나물은 우리나라의 야산이나 길가, 들판 등에 흔히 자라는 여러해살이 풀로써 선학초 및 용아초 등의 여러 이름으로 불리운다. 키는 15-60 ㎝ 정도 자라고 전체에 흰털이 있으며 버들잎 모양 또는 긴 타원 꼴의 쪽잎이 어긋나게 나있으며, 6-7월에 꽃대위에 노란색의 작은 꽃이 모여서 핀다. 짚신나물은 지혈, 소염, 항균, 항암, 혈당강하, 조혈작용 등의 효능이 민간에서 보고 되고 있으나 실험적으로 증명이 되진 않았으며 최근 항산화 효과, 항바이러스 효과 및 iNOS 억제를 통한 항염증효과가 실험적으로 증명되어 보고되어 있다 (Jung et al.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에는 무엇이 있는가? 알레르기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서 현재 다양한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적은 양의 항원을 오랜 기간 동안 환자에 투여하여 특정항원에 대해 탈감작을 유도하는 면역요법 (Noon, 1911; Passalacqua et al., 2009),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주요한 IgE 항체를 중화시키는 IgE 항체 투여법 (Holgate and Polosa, 2008), IL-4의 활성을 억제하는 IL-4 수용체의 투여법(Milgrom, 2004) 등이 있으나 현재 광범위하게 실시하고 있는 치료법은 임상증상을 완화시키는 항히스타민제제의 투여가 일반적이며 약제내성 등으로 치료의 목적을 완전히 달성하기는 어려우므로 아직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다. 이러한 이유로 최근 많은 연구자들에 의해서 제 1형 알레르기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비만세포의 활성화에 중요한 tyrosine kinase 억제제의 개발을통한 치료제 개발 연구가 여러 연구팀에 의해서 시도되고 있다(Krauth et al.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Bach MK and Brashler JR. (1973). On the nature of the presumed receptor for IgE on mast cells. I. The effect of sialidase and phospholipase C treatment on the capacity of rat peritoneal cells to participate in IgE-mediated, antigen-induced histamine release in vitro. Journal of Immunology. 110:1599-1608. 

  2. Bischoff SC. (2007). Role of mast cells in allergic and non-allergic immune responses: comparison of human and murine data. Nature Review of Immunology. 7:93-104. 

  3. Chu DH, Morita CT and Weiss A. (1998). The syk family of protein tyrosine kinases in T-cell activation and development. Immunological Reviews. 165:167-180. 

  4. Gilfillan AM and Rivera J. (2009). The tyrosine kinase network regulating mast cell activation. Immunology Review. 228:149-169. 

  5. Gilfillan AM and Tkaczyk C. (2006). Integrated signalling pathways for mast cell activation. Nature Reviews Immunology. 6:218-230. 

  6. Gu H, Saito K, Klaman LD, Shen J, Fleming T, Wang Y, Pratt JC, Lin G, Lim B, Kinet JP and Neel BG. (2001). Essential role for Gab2 in the allergic response. Nature. 412:186-190. 

  7. Holgate ST and Polosa R. (2008). Treatment strategies for allergy and asthma. Nature Review Immunolology. 8:218-230. 

  8. Jensen BM, Swindle EJ, Iwaki S and Gilfillan AM. (2006). Generation, isolation, and maintenance of rodent mast cells and mast cell lines. Current Protocols in Immunology. 3:3.23. 

  9. Jung CH, Kim JH, Park S, Kweon DH, Kim SH and Ko SG. (2010). Inhibitory effect of Agrimonia pilosa Ledeb on inflammation by suppression of iNOS and ROS production. Immunological Investigations. 39:159-170. 

  10. Kabu K, Yamasaki S, Kamimura D, Ito Y, Hasegawa Y, Sato E, Kitamura H, Nishida K and Hirano T. (2006). Zinc Is required for $Fc{\varepsilon}RI$ - mediated mast cell activation. Journal of Immunology. 177:1296-1305. 

  11. Kim JM, Kim DJ, Kim TH, Baek JM, Kim HS and Choe M. (2010). Effects of water extract of Glycyrrhiza uralensis on $\beta$ - hexosaminidase release and expression of the cytokines of RBL-2H3 mast cell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231-237. 

  12. Kim YM. (2008). Crassirhizomae rhizoma exhibits anti-allergic activity through inhibition of Syk kinase in mast cells.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6:27-32. 

  13. Krauth MT, Mirkina I, Herrmann H, Baumgartner C, Kneidinger M and Valent P. (2009). Midostaurin (PKC412) inhibits immunoglobulin E-dependent activation and mediator release in human blood basophils and mast cells. Clinical Experimental Allergy. 39:1711-1720. 

  14. Law CL, Chandran KA, Sidorenko SP and Clark EA. (1996). Phospholipase C-gamma1 interacts with conserved phosphotyrosyl residues in the linker region of Syk and is a substrate for Syk. Molecular and Cellular Biology. 16:1305-1315. 

  15. Lee JH, Kim JW, Ko NY, Mun SH, Kim DK, Kim JD, Kim HS, Lee KR, Kim YK, Radinger M, Her E and Choi WS. (2008). Camellia japonica suppresses immunoglobulin Emediated allergic response by the inhibition of Syk kinase activation in mast cells. Clinical and Experimental Allergy. 38:794-804. 

  16. McPherson VA, Sharma N, Everingham S, Smith J, Zhu HH, Feng GS and Craig AW. (2009). SH2 domain-containing phosphatase-2 protein-tyrosine phosphatase promotes Fc (epsilon) RI-induced activation of Fyn and Erk pathways leading to TNF (alpha) release from bone marrow-derived mast cells. Journal of Immunology. 183:4940-4947. 

  17. Metzger H. (2004). The high affinity receptor for IgE, Fcepsilon RI. Novartis Found Symposium. 257:51-59. 

  18. Milgrom H. (2004). Anti-IgE therapy in allergic disease. Current Opinion Pediatrics. 16:642-647. 

  19. Noon L. (1911). Prophylactic inoculation against hay fever. Lancet. 1:1572-1573. 

  20. Mocsai A, Ruland J and Tybulewicz VL. (2010). The SYK tyrosine kinase: a crucial player in diverse biological functions. Nature Reviews Immunology. 10:387-402. 

  21. Parravicini V, Gadina M, Kovarova M, Odom S, Gonzalez- Espinosa C, Furumoto Y, Saitoh S, Samelson LE, O'Shea JJ and Rivera J. (2003). Fyn kinase initiates complementary signals required for IgE-dependent mast cell degranulation. Nature Immunology. 3:741-748. 

  22. Passalacqua G, Compalati E and Canonica GW. (2009). Advances in allergen-specific immunotherapy. Current Drug Targets. 10:1255-1262. 

  23. Pivniouk VI, Martin TR, Lu-Kuo JM, Katz HR, Oettgen HC and Geha RS. (1999). SLP-76 deficiency impairs signaling via the high-affinity IgE receptor in mast cells. Journal of Clinical Investigation. 103:1737-1743. 

  24. Rossi AB, Herlaar E, Braselmann S, Huynh S, Taylor V, Frances R, Issakani SD, Argade A, Singh R, Payan DG and Masuda ES. (2006). Identification of the Syk kinase inhibitor R112 by a human mast cell screen. Journal of Allergy Clinical Immunology. 118:749-755. 

  25. Saitoh S, Arudchandran R, Manetz TS, Zhang W, Sommers CL, Love PE, Rivera J and Samelson LE. (2000). LAT is essential for Fc (epsilon)RI-mediated mast cell activation. Immunity. 12:525-535. 

  26. Shin WJ, Lee KH, Park MH and Seong BL. (2010). Broadspectrum antiviral effect of Agrimonia pilosa extract on influenza viruses. Microbiology and Immunology. 54:11-19. 

  27. Stone KD, Prussin C and Metcalfe DD. (2010). IgE, mast cells, basophils, and eosinophils.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125:S73-S80. 

  28. Xu ML, Hu JH, Wang L, Kim HS, Jin CW and Cho DH. (2010). Antioxidant and anti-diabetes activity of extracts from Machilus thunbergii S. et Z. Korean Journal of Medicinal Crop Science. 18:34-39. 

  29. Zhu L, Tan J, Wang B, He R, Liu Y and Zheng C. (2009). Antioxidant activities of aqueous extract from Agrimonia pilosa Ledeb and its fractions. Chemistry and Biodiversity. 6:1716-172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