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뇌졸중 환자의 기능수준에 따른 FIM 신체적 기능 항목의 라쉬분석
Rasch Analysis of FIM Physical Items in Patients With Stroke in Korea 원문보기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 Physical Therapy Korea, v.17 no.2, 2010년, pp.51 - 59  

박소연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원종임 (전주대학교 대체의학대학 물리치료학과) ,  이미영 (아주대학병원 재활의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is widely used to determine the dependency of activity of daily living in rehabilitation patient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valuate the unidimentionality of the FIM physical items and to analyze the validity of cross-functional levels in stroke su...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93로알려져 있다(Finch 등, 2002). 본 연구에서는 신체적 기능 영역과 사회인지적 영역 중 물리치료 분야에서 보다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신체적 기능 영역을 분석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FIM은 신체적 기능과 사회인지적 기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어떤 규칙으로 점수를 부여하하는가? FIM은 뇌졸중, 척수손상, 외상성뇌손상, 암환자, 정형외과환자 등을 대상으로 신체적 기능(physical function)과 사회인지적 기능(social cognitive function)을 평가하기 위하여 각각 13항목과 5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다(Hwang과 Cho, 2001;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1993). 각 항목들은 환자의 기능정도에 따라 1점에서 7점 서열척도로 점수를 부여하게 된다. 즉, 모든 항목에서 완전 의존상태를 보이는 경우에는 최소 점수인 18점을 부여받게 되며, 완전히 독립적인 경우에는 126점을 받게 된다.
뇌졸중이란 무엇인가? 뇌졸중(cerebrovascular accident, stroke)은 뇌혈류 이상으로 인해 갑작스레 유발된 국소적인 신경학적 결손 증상을 통칭하는 용어로 우리나라의 경우 고령자 3대 사망원인 중 하나이다(통계청, 2005). 뇌졸중 환자의약 75%에서 일상생활동작에 장애를 초래하며(Sturm 등, 2002), 65세 이상에서 뇌졸중이 발병하면 약 80% 정도는 만성적인 장애가 발생된다(Barker와 Mullooly, 1997).
뇌졸중 재활치료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뇌졸중 환자의약 75%에서 일상생활동작에 장애를 초래하며(Sturm 등, 2002), 65세 이상에서 뇌졸중이 발병하면 약 80% 정도는 만성적인 장애가 발생된다(Barker와 Mullooly, 1997). 뇌졸중 재활치료의 주요 목적은 가정 및 지역사회로 복귀하여 독립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게 하기 위함이므로, 재활 프로그램에서 일상생활동작을 독립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가에 대한 평가가 시행되어야 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김원호, 박정일, 이세훈 등. 발병 3-6개월의 뇌졸중 환자에서 부가적 운동치료가 하지의 기능수행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5;12(2):58-72. 

  2. 박소연, 유은영. 한국 작업치료사의 평가도구 사용에 관한 연구.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2;10(2):99-108. 

  3. 안덕현. 단기 가정방문물리치료 시행이 일상생활동작의 개선에 미치는 효과.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7;14(2):53-60. 

  4. 유은영, 정민예, 박소연 등. 한국 작업치료사의 영역별 평가 도구 사용 동향. 대한작업치료학회지. 2006;14(3):27-37. 

  5. 이청기, 박현, 조형제. 재활의학 분야에 사용하는 기능평가 척도의 비교. 대한재활의학회지. 1994;18(3);.500-511. 

  6. 이충휘, 박소연. 대동작 기능 평가도구(GMFM)의 Rasch분석.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2):9-16. 

  7. 이충휘. 물리치료사와 작업치료사를 위한 연구방법론. 3판. 서울, 계축문화사, 2007. 

  8. 전은영. 뇌졸중 환자의 기능적 독립 상태(FIM) 및 가정간호 요구도 분석. 재활간호학회지. 2005;8(2):149-156. 

  9. 정진화. 뇌졸중 환자의 일상생활동작 수행능력과 시지각 기능 및 상지 운동기능간의 상관성 연구. 삼육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4. 

  10. 통계청. 고령자 사망원인 분석결과. 2005. http://kostat.go.kr 

  11. 황수진, 이수영, 이정아. 노인에게 있어서 Berg 균형척도, Timed Up & Go 검사, 기능적 독립평가(FIM)의 상관관계. 한국전문물리치료학회지. 2004;11(1):27-34. 

  12. 홍순탁, 박형숙, 정은숙. FIM을 사용한 뇌졸중 환자의 퇴원시 기능상태 평가에 관한 연구. 재활간호학회지. 1998;1(1):73-82. 

  13. Barker WH, Mullooly JP. Stroke in a defined elderly population, 1967-1985. A less lethal and disabling but no less common disease. Stroke. 1997;28(2):284-290. 

  14. Bond TG, Fox CM. Applying the Rasch Model: Fundamental measurement in the human sciences. 2nd ed.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Inc., 2007. 

  15. DalImeijer AJ, Dekker J, Roorda LD, et al.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n higher performing neurological patients. J Rehabil Med. 2005;37(6):346-352. 

  16. Duncan PW, Bode RK, Min Lai S, et al. Rasch analysis of a new stroke-specific outcome scale: The Stroke lmpact Scale. Arch Phys Med Rehabil. 2003;84(7):950-963. 

  17. Dickson HG, Kohler F. The multi-dimensionality of the FIM motor items precludes an interval scaling using Rasch analysis. Scan J Rehab Med. 1996;28(3):159-162. 

  18. Finch E, Brooks D, Stratford PW, et al. Physical Rehabilitation Outcome Measures: A guide to enhanced clinical decision making. 2nd ed. Ontario, BC Decker Inc., 2002. 

  19. Granger CV, Hamilton BB, Linacre JM, et al. Performance profiles of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Am J Phys Med Rehabil. 1993;72(2):84-89. 

  20. Hwang O, Cho K. Translation and validity test of the FIM instrument and guide. The Korean Journal of Rehabilitation Nursing. 2001;4(2):232-239. 

  21. Jennett B, Bond M. Assessment of outcome after severe brain damage. Lancet. 1975;1(7905):480-484. 

  22. Jennett B, Snoek J, Bond MR, et al. Disability after severe head injury: Observations on the use of the Glasgow Outcome Scale. J Neurol Neurosurg Psychiatry. 1981;44(4):285-293. 

  23. Koyama T, Matsumoto K, Okuno T, et al. Relationships between independence level of single motor-FIM items and FIM-motor scores in patients with hemiplegia after stroke: An ordinal logistic modelling study. J Rehabil Med. 2006;38(5):280-286. 

  24. Linacre JM, Heinemann AW, Wright BD, et al. The structure and stability of the Functional lndependence Measure. Arch Phys Med Rehabil. 1994;75(2):127-132. 

  25. Lundgren-Nilsson A, Grimby G, Ring H, et al. Cross-cultural validity of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tems in stroke: A study using Rasch analysis. J Rehabil Med. 2005;37(1):23-31. 

  26. Lundgren-Nilsson A, Tennant A, Grimby G, et al. Cross-diagnostic validity in a generic instrument: An example from the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in Scandinavia. Health Qual Life Outcomes. 2006;4(55):1-8. 

  27. Rasch G. Probabilistic Models for Some Intelligence and Attainment Tests.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28. Sturm JW, Dewey HM, Donnan GA, et al. Handicap after stroke: How does it relate to disability, perception of recovery, and stroke subtype?: the north North East Melbourne Stroke Incidence Study (NEMESIS). Stroke. 2002;33(3):762-768. 

  29. Tennant A, Penta M, Tesio L, et al. Assessing and adjusting for cross-cultural validity of impairment and activity limitation scales through differential item functioning within the framework of the Rasch model: The PRO-ESOR project. Med Care. 2004:42(1 suppl):I37-I48. 

  30. Uniform Data System for Medical Rehabilitation. Guide for the Uniform Data Set for Medical Rehabilitation (Adult FIM). Ver. 4.0. Buffalo, UB Foundation Activities, Inc., 1993. 

  31. van Swieten JC, Koudstaal PJ, Visser MC, et al. Interobserver agreement for the assessment of handicap in stroke patients. Stroke. 1988;19(5):604-607. 

  32. Wade DT, Collin C. The Barthel ADL Index: A standard measure of physical disability? Int Disabil Stud. 1988;10(2):64-67. 

  33. Wright BD, Masters GN. Rating Scale Analysis. Chicago, Mesa Press, 198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