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80대 노인 여성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influence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equilibrium ability in women of octogenarians 원문보기

대한물리치료과학회지 = Journal of Korean Physical Therapy Science, v.17 no.1/2, 2010년, pp.67 - 76  

이우형 (평화신경외과 물리치료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ackground: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influence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balance ability in the women of octogenarians. Methods: Ankle strategy exercise group(n=14), leg strengthening exercise group(n=14) were measured an balance ability by Berg Balance Scale(BBS) scores an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80대의 노인 여성들을 대상으로 발목전략 운동군과 하지근력강화 운동군으로나누어 6주 동안의 발목전략 운동이 균형능력에 어떤 효과가 있는지를 알아봄으로써 넘어짐 예방을 통해 노인의 삶의 질을 높이는 중재방안을 모색하기 위함에 있다.
  • 본 연구는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80대 노인여성의 균형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으로 발목관절 전략 운동군(n=14)과 하지근력 강화 운동군(n=14)의 총 28명을 대상으로 중재 전, 중재 6주 후에 Berg 균형척도, 동요면적, 동요길이, 동요최대속도의 변수를 측정하여 분석한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 일상생활에서 균형은 인체의 무게 중심을 지지 기반 위에서 유지하는 끊임없는 과정이며 (Yaggie와 Mcgregor, 2002), 관절들이 상호작용과 균형을 유지하고 서 있는 동안 다른 면에서의 보상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Eslami 등, 2006).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정기관, 시각, 고유수용성 감각, 근골격계 기능 그리고 인지 능력이 필요하다. 즉, 균형은 시각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외부자극의 과정과 전정기관, 체성감각을 통하여 중추 신경계에서 수행하는 지속적이고 비선형적이며 복합적인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Blaszczyk 등, 2003).
자세의 흔들림에 따르는 균형의 회복에는 두 가지 전략이 사용되는데 이 중 발목관절 전략은 무엇인가? 1986). 발목관절 전략은 견고한 지지면에서 적은 동요가 있을 때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제일 먼저 나타나는 자세조절 전략으로써(Shumway-Cook와 Wollacott, 1995), 발목관절의 근육수축을 통해 똑바로 서기 균형을 일차적으로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Horak 등, 1989). 이와같이 발목의 모든 움직임은 보행 시 균형을 유지하는 것과 관련이 있으며 발과 지면 사이의 상호작용을 조절하므로 걷기와 균형에 필수적인 요소이다(Wolfson 등, 1993).
균형은 무슨 과정을 포함하고 있는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전정기관, 시각, 고유수용성 감각, 근골격계 기능 그리고 인지 능력이 필요하다. 즉, 균형은 시각으로부터 받아들이는 외부자극의 과정과 전정기관, 체성감각을 통하여 중추 신경계에서 수행하는 지속적이고 비선형적이며 복합적인 과정을 포함하고 있다(Blaszczyk 등, 2003). 체성감각계는 피부나 건, 근육의 근방추와 골지건기관(Golgi tendon organs)에 있는 다른 감지기로부터 장력과 길이의 정보를 받아들여(Gribble와 Hertel, 2004) 보상적인 앞 먹임 명령에 의해 자세를 유지하기 위해서 감각정보들을 끊임없이 받아들인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