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마비 환자의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균형 조절 능력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s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9 no.1, 2014년, pp.75 - 82  

박기현 (대구대학교 대학원 재활과학과) ,  김원복 (대구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ffect and examine the feasibility of an intervention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balance of patients with hemiplegia. METHODS: The subject were randomly allocated to three groups: ankle strategy exercise (group A), balance exercise (g...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에게 일정기간 발목관절 전략 운동과 균형 운동을 실시하였을 때 환자의 균형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시행하였다. 연구 결과 발목관절 전략 운동 그룹이 균형 운동 그룹이나 운동 치료 그룹보다 전반적인 균형 능력이 향상 된 것으로 나타났다.
  • 본 연구는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균형에 미치는 영향을 보았다. 본 연구는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균형 운동보다 환자의 균형 능력을 향상 시키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확인할수 있었다.
  • 본 연구는 발목관절 전략 운동이 편마비 환자에게 균형 증진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편마비 환자를 대상으로 6주간의 발목관절 전략 운동(그룹 A)과 균형 운동(그룹 B), 운동 치료(그룹 C)를 적용하여 균형 증진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각 그룹별 M – L COP는 그룹 A와 그룹 B에서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대응표본 검정에서도 두 그룹만 유의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은 언제 발생하는가? 뇌졸중은 혈관 파열 또는 혈행 막힘에 의해 뇌 혈액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한다(Glanz 등, 1996). 이런 뇌혈관 질환은 인구 10만 명 당 50.
신체에 따르는 균형의 회복을 위해 사용하는 것은? 신체에 따르는 균형의 회복에는 발목관절 전략(ankle strategy)이나 고관절 전략(hip strategy), 또는 두 전략을 함께 사용해서 서 있는 균형을 유지한다(Horak 와 Nashner, 1986). 발목관절 전략은 견고한 지지면에서 적은 동요가 있을 때 일상적으로 사용되며, 제일 먼저 나타나는 자세 조절 전략으로써(Shumway-Cook과 Woollacott, 2006), 발목관절의 근육 수축을 통해 똑바로 서기 균형을 일차적으로 회복하는 것을 말한다(Horak 등, 1989).
뇌졸중의 사망률은 얼마인가? 뇌졸중은 혈관 파열 또는 혈행 막힘에 의해 뇌 혈액의 공급이 차단되었을 때 발생한다(Glanz 등, 1996). 이런 뇌혈관 질환은 인구 10만 명 당 50.7명이 사망하며, 암에 이어 사망 원인 2위인 질환이다(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201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Amiridis IG, Arabatzi P, Violaris P, et al. Static balance improvement in elderly after dorsiflexors electrostimulation training. Eur J Appl Physiol. 2005;94(4):424-33. 

  2. Berg KO, Maki BE, Williams JI, et al. Clinical and laboratory measures of postural balance in an elderly population. Arch Phys Med Rehabil. 1992;73(11):1073-83. 

  3. Brouwer BJ, Walker C, Rydahl SJ, et al. Reducing fear of falling in seniors through education and activity programs: a randomized trial. J Am Geriatr Soc. 2003;51(6):829-834. 

  4. Choi SH, Kim CY. The Influences of the Intensive Ankle Joint Strategy Training on the Muscular Strength and Balancing Ability in the Elderly Women. J KAIS. 2012;13(12):5909-19. 

  5. Carr JH, Shepherd RB. Stroke rehabilitation : guidelines for exercise and training to optimize motor skill. Butterworth-Heinemann. 2003. 

  6. Chen G, Patten C. Treadmill training with harness support:selection of parameters for individuals with poststroke hemiparesis. J Rehabil Res Dev. 2006;43(4):485-98. 

  7. Glanz M, Klawansky S, Stason W, et al. Functional electrostimulation in poststroke rehabilitation: a meta-analysis of the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rch Phys Med Rehabil. 1996;77(6):549-53. 

  8. Heo BH. The Effect of Balance Exercise on Unstable Surface on Balance Abilities of Individuals with Visual Imapairment. Sahmyook University. Korea. 2007. 

  9. Horak FB, Nashner LM. Central programing of postural movements: adaptation to altered support-surfacecon Fig. urations. J Neurophysiol. 1986;55(6):1369-81. 

  10. Horak FB, Shupert CL, Mirka A. Components of postural dyscontrol in the elderly: a review. Neurobiol Aging. 1989;10(6):727-38. 

  11. Imms FJ, Edholm OG. Studies of gait and mobility in the elderly. Age Ageing. 1981;10(3):147-56. 

  12. Janice JE, Pei FT. Gait training strategies to optimize walking ability in people with stroke: Expert Rev Neurother. 2007;7(10):1417-36. 

  13. Jean-Francois B, Jean P, Boucher L et al. Balance training following stroke: effects of task-oriented exercises with and without altered sensory input. Int J Rehabil Res. 2005;29(1):51?9. 

  14. Kim YH. Effects of Realignment at Lower Extremities on the Balance and Walking in the People with Chronic Stroke. Graduate School of Rehabilitation Health science, YongIn University. Korea. 2002. 

  15. Kim KH. Effects of weight transfer training using visual perception on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Dankook Univercity. Korea. 2005. 

  16. Korea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ause of death statistics 2011. 2011. 

  17. Lee JW, Kwon OY, Lee CH, et al. Effect of Ankle Strategy Exercise on Improvement of Balance in Elderly with Impaired Balance. Korean J Health Promot Dis Prev. 2008;8(3):158-67 

  18. Lee SH. The Differences between Aero step Exercises and Weight training on Posture, Physical Fitness, Balance, and Hormone Levels in the Elderly. Ewha Womans University. Korea. 2007. 

  19. Lord SR, Castell S. Physical activity program for older persons: Effect on balance, strength, neuromuscular control, and reaction time. Arch Phys Medi Rehabil. 1994;75(6):648-52. 

  20. Lord SR, Ward JA, Williams P, et al. The effect of a 12 month exercise trial on balance, strength and falls in older wome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J Am GeriatrSoc. 1995;43(11):1198-206. 

  21. Mills EM. The effect of low-intensity aerobic exercise on muscle strength, flexibility, and balance among sedentary elderly persons. Nurs Res. 1994;43(4):207-11. 

  22. Nurse MA, Nigg BM. Thr effect changes in foot sensation on plantar pressure and muscle activity. Clin Biomech. 2001;16(9):719-27 

  23. Park YH. The Effects of Ankle Proprioceptive Control Program on the Balance and Walking in the Persons with Stroke. Sahmyook University. Korea. 2009. 

  24. Podi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 J Am Geriatr Soc. 1991;39(2):142-8. 

  25. Robinovitch SN, Heller B, Lui A, et al. Effect of strength and speed of torque development on balance recovery with the ankle strategy. J Neurophysiol. 2002;88(2):613-20. 

  26. Seo DK, Oh DW, Lee SH. Effectiveness of Ankle Visuoperceptual­Feedback Training on Balance and Gait Functions in Hemiparetic Patients. KPTSA. 2010;22(4):35-41. 

  27. Sheth P, Yu B, Laskowski ER, et al. Ankle disk training influeces reaction times of selected muscle in a stimulated ankle sprain. Am j Sports mede. 1997;25(4):538-43. 

  28. Shigematsu R, Chang M, Yabushita N, et al. Dance based aerobic exercise may improve indices of falling risk in older women. Age Ageing. 2002;31(4):261-6. 

  29. Wilson EL, Madigan ML, Davidson BS, et al. Postural strategy changes with fatigue of the lumbar extensor muscles. Gait Posture. 2006;23(6):348-5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